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114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정연복 / 한국기독교연구소 편집위원

예수는 ‘바람’처럼 주체적 자유인의 삶을 살려고 애썼지만,
그 자유는 제멋대로의 방종한 자유가 아니라 ‘성령’ 안에서의 자유였다(요 3:8).

예수는 성령의 인도하심을 따라 민중해방을 실천하는 데서 샘솟는 자유밖에 몰랐다(눅 4:18~19).

예수가 누렸던 자유는 양들이 생명을 얻고 더 얻어 풍성하게 하려고(요 10:10),
내 양들을 위하여 목숨을 바치는(요 10:15) 자유였다.

누가 나에게서 목숨을 빼앗아 가는 것이 아니라 내가 스스로 바치는 것이다.
나에게는 목숨을 바칠 권리도 있고 다시 얻을 권리도 있다.”(요 10:18)

이 말씀에는 이리 떼들과 같은 사악한 세력들이 판치는 세상에서 민중들의 삶 회복을 위해 헌신하는 것이 자기 삶의 신성한 ‘권리’라는 예수의 자의식이 담겨 있다.

그리고 예수는 당신을 믿는 유대인들에게도
“너희가 내 말을 마음에 새기고 산다면 너희는 참으로 나의 제자이다.
그러면 너희가 진리를 알게 될 것이며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할 것이다”
라고 말한다(요 8:31~32).

무슨 말인가?

‘진리’는 관념이 아니라 ‘실천’이라는 것,
예수의 진정한 ‘제자’라면 민중해방 실천의 삶 가운데서 비로소 인식되는 그런 ‘진리’의 차원에까지 가닿아야 한다는 얘기다.


이 땅의 대다수 기독교인들은 구원을 원죄(原罪)의 저주로부터의 자유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그들에게 예수의 죽음은 인간의 죄를 대속(代贖)하는 신비스럽고 종교적인 의미의 죽음으로 이해될 뿐이다.


오늘날 이 땅의 소위 ‘정통’ 기독교는 대속적 기독론의 틀 안에서 다람쥐 쳇바퀴 도는 식의 종교적 유희를 즐기고 있다는 비판을 면키 어렵다.

복음서에서 예수는 어디까지나 인간의 ‘자유’, 즉 민중들의 인간다운 삶의 회복을 위해 몸부림치다 정치범으로 십자가에 달려 죽은 것으로 보도되는데, 이 단순 명백한 역사적 사실을 외면한 채 예수를 관념적 교리와 신학의 틀로 이해하려 드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


“만인을 위해 싸울 때 나는 자유이다.”

이 땅의 신자들은 시인의 이 외마디 선언에 귀 기울여야 한다.


만인을 위해 싸우지 않고도 예수를 그리스도로 믿기만 하면 구원받고 죄에서 자유롭게 된다는 이기적이고 마술적인 신앙에서 하루빨리 벗어나야 한다.

만인을 위해, 즉 신자와 비신자, 유신론자와 무신론자, 남성과 여성, 부자와 빈자, 노동자와 농민과 도시빈민을 포함한 이 땅의 모든 사람들의 자유와 인간다운 삶의 회복을 위해 피와 땀과 눈물을 나눠 흘리지 않는 교회는 예수의 교회일 수 없다.


입술로는 예수를 말하면서도 안으로는 제 잇속만 차리고들 있는 상업화된 교회가 예수의 십자가를 버젓이 간판으로 내거는 것은 몰염치한 일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84 궁궐과 동굴에 갇힌 신앙인 / 김경재 교수 나누리 2013.06.24 1143
483 우리 한인들이 축복된 날을 갖게 하여 주옵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3.08.13 1143
482 ‘성서무오설’ 이라는 오래된 교리는 재검토하여 교정되어야 / 산들바람 나누리 2013.09.24 1143
481 주님. 참으로 이곳 오클랜드에도 행복이 있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4.06.26 1143
480 그리움에 기도합니다. 느티나무 2013.06.28 1145
479 우리가 겸허한 아버지들이 되게 하여 주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3.06.18 1145
478 성경에 대해 솔직하게.../ 정강길 나누리 2013.08.16 1145
477 신앙에세이 : 이 세대에 우리가 재물을 탐하고 사는 것이 안개와 같았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4.11.15 1148
476 오클랜드의 한인들이 열정을 버리지 않고 살도록 기도하게 하옵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4.10.26 1150
475 특별한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My Special Story For Auckland Life. 제임스앤제임스 2014.03.11 1150
474 오늘도 새벽기도를 할 수 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2.02.24 1151
473 겨울을 보내는 마지막 시간에 우리 한인 부부들의 모습이 아름다워지게 하여 주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3.08.13 1154
472 나는 하나님께 기도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3.05.10 1156
471 우리들의 자유가 다른 사람에게 불편이나 불쾌함을 주지 않고 살아가게 하여 주옵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3.08.03 1156
470 성경해석의 바른 길을 찾아서 2 / 김경재 교수 나누리 2013.04.29 1157
469 부활신앙의 원형은 ‘몸의 부활’을 믿는 것이었나 ? / 산들바람 나누리 2013.04.26 1158
468 당연한 도리라 생각하기에 / 산들바람 나누리 2013.08.22 1158
467 서로가 힘든 삶을 도우며 살게 하여 주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3.06.12 1162
466 인간 존엄의 정신 / 정연복 나누리 2013.09.02 1164
465 주님은 우리 한인들의 마음이었으면 하고 기도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3.09.02 1167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37 Next
/ 37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