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105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성경적' 이란 ?

                                                                         정강길  / 세계와 기독교 변혁연구소  연구실장

흔히 기독교인들은 "성경적"이라는 표현을 무지하게 잘 쓴다.
이러한 성경적이라는 표현은 일반 신자든 목사든 누구든 대부분의 한국 기독교인들이 입버릇처럼 달고 다닌다.
무엇을 하든 성경적으로 하라고 말한다.
 
이 "성경적"이라는 표현은 "복음적" 혹은 "기독교적"이라는 말의 쓰임과도 흡사하게 기독교인으로서 지향해야 할 최상의 지점을 의미하고 있다.

그런데 재미난 사실은 똑같은 성경책 한 권을 두고서도 저마다 그 해석을 다르게 한다는 점이다.
 어떤 때는 한 구절을 놓고도 그 해석이 서로 첨예하게 갈라진다.

심지어 같은 구절을 두고 번역본도 저마다 다르다.
킹제임스역본, NIV, RSV, 개역, 공동번역, 새번역 등등 헤아릴 수 없다. 물론 할 수만 있다면 나는 히브리어/헬라어 원문을 보길 권하며, 여의치 못할 경우 많은 번역들과 서로 대조해보면서 뜻을 찾아가길 권한다.

"성경적"이라고 하는 말의 함정에 대해 예를 들어보겠다.

성경이 쓰인 여성에 대한 입장이 그러하다.
현재 추세는 여성 안수를 지지하는 교단이 늘어가긴 하지만, 여성 안수를 반대하는 진영도 그것이 "성경적"이라고 보기 때문에 반대하는 것 이다.

실제로 성경 본문을 찾아보면 여성에 대한 비하가 허다하다.

(성경의 성차별 구절들에 대해선 http://freeview.org/bbs/tb.php/b001/18 참조)
믿기지 않는다면 직접 성경을 찾아보면서 대조해 봐도 좋다.

하나님의 말씀이라는 성경이 말이다.

노예제를 정당화 했던 그 근거 역시 성경에 기인한다.

반대로 노예제 반대 역시 성경에 기인하고 있다.
노예제 때문에 창세기 9장의 함의 저주 본문과 마태복음 5-7장의 산상수훈이 서로 부딪히기도 한다.

같은 성경끼리 부딪히는 것이다.
 
국가보안법 철폐가 성경적으로 옳은가?
아니면 존속유지가 성경적으로 옳은가?

나는 여러분들에게 분명하게 말한다.
역사적으로 기독교의 성경은 때로 사람을 살리기도 했지만 무수하게 사람을 죽이기도 하였다 는 사실을.
물론 성경을 그릇되게 해석한 자가 사람을 죽였겠지만 말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현상은 무엇을 뜻하는가.
즉, 성경은 결국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죽임의 책’이 되기도 하고 ‘살림의 책’이 되기도 한다 는 것이다.
냉정하게 말해서 성경은 무섭고도 끔찍한 책이었던 적도 많았었다.

그렇기에 분명히 알아야 한다.
 '성경적'이라는 표현은 사실상 하나마나 한 표현이며, 별로 쓸모도 없는 비생산적인 표현일 뿐이다.

성경적이라는 표현은 그냥 <가장 올바른 것> 혹은 <가장 옳고 타당한 것>이라는 의미일 뿐,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다시 말해, 우리가 흔히 쓰는 “성경적이어야 한다”는 표현은 “가장 올바르고 타당해야 한다”는 말의 동의반복에 지나지 않는다 는 사실이다.

“성경으로 돌아가라.” “성경에 기반하라.” 등등 이런 얘기들도 마찬가지로 죄다 하나마나한 말이며, 그저 “하나님 뜻에 맞게 잘해보라”는 뜻의 동의반복일 뿐이다.
실제로는 우리에겐 저마다의 다양한 성서해석들이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사실상 가장 중요한 것은 해석상의 문제다.
성경을 어떻게 해석해야 가장 좋은 것인가? 

                       
  " 솔직하고 건강한 합리성에 기반한 기독교를 위하여 !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84 특별한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My Special Story For Auckland Life. 제임스앤제임스 2014.03.11 1138
483 복음의 원형은 하늘의 뜻을 땅에 이루려는 예수운동 / 산들바람 나누리 2013.06.18 1139
482 성령안에서의 자유 / 정연복 나누리 2013.08.20 1140
481 궁궐과 동굴에 갇힌 신앙인 / 김경재 교수 나누리 2013.06.24 1142
480 그리움에 기도합니다. 느티나무 2013.06.28 1143
479 우리 한인들이 축복된 날을 갖게 하여 주옵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3.08.13 1143
478 ‘성서무오설’ 이라는 오래된 교리는 재검토하여 교정되어야 / 산들바람 나누리 2013.09.24 1143
477 우리가 겸허한 아버지들이 되게 하여 주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3.06.18 1144
476 성경에 대해 솔직하게.../ 정강길 나누리 2013.08.16 1145
475 신앙에세이 : 이 세대에 우리가 재물을 탐하고 사는 것이 안개와 같았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4.11.15 1148
474 오클랜드의 한인들이 열정을 버리지 않고 살도록 기도하게 하옵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4.10.26 1150
473 겨울을 보내는 마지막 시간에 우리 한인 부부들의 모습이 아름다워지게 하여 주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3.08.13 1154
472 나는 하나님께 기도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3.05.10 1156
471 성경해석의 바른 길을 찾아서 2 / 김경재 교수 나누리 2013.04.29 1156
470 우리들의 자유가 다른 사람에게 불편이나 불쾌함을 주지 않고 살아가게 하여 주옵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3.08.03 1156
469 부활신앙의 원형은 ‘몸의 부활’을 믿는 것이었나 ? / 산들바람 나누리 2013.04.26 1157
468 당연한 도리라 생각하기에 / 산들바람 나누리 2013.08.22 1158
467 서로가 힘든 삶을 도우며 살게 하여 주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3.06.12 1162
466 인간 존엄의 정신 / 정연복 나누리 2013.09.02 1164
465 주님은 우리 한인들의 마음이었으면 하고 기도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3.09.02 1167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37 Next
/ 37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