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한일수
2011.12.03 19:01

아, 그이가 내 사랑이었나

조회 수 413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아, 그이가 내 사랑이었나

-조수미 콘서트 두 배로 즐기기-


한 일 수 (경영학 박사/칼럼니스트)



조수미가 비올레타가 되어 우리 곁에 온다. 이탈리아의

국민 오페라 라 트라비아타 1막 4장에 나오는 아리아에서

콜로라투라를 들려주는 조수미는……


‘진실한 사랑이란 무엇인가?’, ‘남자와 여자의 본질은 무엇인가?’, ‘도덕이란 무었인가?’ 길 잃은 여인「라트라비아타
에게 묻고 싶은 내용이다.


창녀, 금권결혼, 황금만능의 세 가지 악(惡)의 꽃이 만발해 있던 19세기 중반의 파리, 우연한 일로 길을 잃고서 고급 창녀의 길로 들어섰던 불쌍한 비올레타……. 한 달 중 25일 동안은 흰 동백 꽃, 나머지 5일간은 빨간 동백꽃을 들고 나타나 귀부인 행세를 하던 사교계의 여왕- 그녀는 우리가 학교 다닐 때부터 익히 알고 있던 알렉산드르 뒤마피스의 소설(1848년 발표) 춘희(椿姬-동백 꽃 부인)에 나오는 주인공이었다. 이를 프란체스코 마리아 피아베가 이탈리아어 대본을 완성하고 베르디(Giuseppe Verdi)가 오페라로 작곡하여 라트라비아타(La traviata-길 잃은 여인의 뜻)라는 제목으로 1953년 3월에 발표하였다.


이탈리아의 국민 오페라, 라트라비아타에 대한 이탈리아인들의 애정과 집착은 상상을 초월한다. 20세기의 가장 뛰어난 소프라노 가수, 마리아 칼라스가 라 스칼라 극장에서 비올레타 역을 맡고자 했으나 번번이 실패했다. 이탈리아 출신이 아닌 그리스 계 칼라스에게 맡긴다는 것은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일이었다. 오랜 투쟁 끝에 1955년에야 꿈을 이룰 수 있었다. 칼라스 이후 40년이 넘는 세월이 흘렀고 이제 한국의 조수미가 그 뒤를 이어가고 있다.


조수미가 비올레타가 되어 우리들 곁으로 온다. 오는 12월 7일 오클랜드 타운 홀 공연에서 60인으로 구성된 오케스트라단의 오페라 라트라비아타 1막 전주곡에 이어 조수미는 1막 4장에 나오는
‘아, 그이가 내 사랑이었나’를 부를 예정이다. 환락의 세계에서 공허한 삶을 유지해오던 폐병 환자 비올레타가 순진한 청년 알프레도의 진실한 사랑에 젖으며 갈등 끝에 독백처럼 부르는 노래이다. 이 때 부르는 소프라노 아리아는 화려한 기교와 고난도의 고음으로 유명하다. 서정적인 ‘아, 그대가 내 사랑이었나(E strano! Ah, fors'e lui che l'anima)'로 사랑에 대한 동경을 노래하다가 갑자기 현란한 콜로라투라(Coloratura)로 넘어가는 성악적인 아름다움의 극치를 보여주는 장면을 연출한다.


콜로라투라는 여성 소프라노에서 가장 화려한 고음을 가장 고난도의 가창력을 발휘하여 기술적으로 표현해내는 방법이다. 초월적인 기교와 빠른 메시지를 과시하는 아주 화려한 소프라노의 한 분야로 경쾌한 움직임과 음색을 지니고 있어야하며, 특히 최고 음이 정확해야한다. 조수미 같은 세계적인 소프라노 가수만이 표현해낼 수 있는 창법이다.


조수미가 콜로라투라를 우리에게 들려주기 위해 우리 곁으로 온다. 우리에게 두 번 다시 이런 기회가 올지 의문이다. 노래의 가사를 미리 알고 참관하면 감상의 맛을 두 배로 즐길 수 있을 것 같다.


이상해! 이상해! 내 맘속에 새겨지는 그 말!

그 진실한 사랑이 내게 불행을 초래하지는 않을까?

산란한 이 마음 어이할까? 그가 내게 이러한 사랑의 불을 지르다니

오, 이 기쁨…… 나는 몰랐네……

사랑하는 것과 사랑 받는 것,

나는 이러한 것을 쓸데없는 기쁨이라고 경멸하였는데

많은 사람 중에 그이만이 내 마음 속에 남아 있네.

즐거웠던 수많은 시간들이 다 거짓이었다.

아, 그이는 수줍게도 나의 병상을 훔쳐보고

마음 졸이며 사랑의 불꽃을 태우나니, 아- 그 사랑

온 누리의 사랑의 파도가 내게 밀려오다니

그러나 이상한 것은 고통과 기쁨이라네

마음속에 있네

아 헛된 생각, 허무한 나의 환상, 가련한 내 신세여.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32 제임스앤제임스 막걸리 찬가를 소개합니다 : 설날에 막걸리와 친구들이 있어 좋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2.17 343
731 제임스앤제임스 막걸리 찬가를 소개합니다 : 친구사이의 소박한 우정이 한 눈에 들어 오는 정경이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2.16 471
730 제임스앤제임스 막걸리 찬가를 소개합니다. : 오클랜드에서 고유 전통 막걸리에 대한 흥미로운 사실들을 전해주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6.25 270
729 제임스앤제임스 막걸리 찬가를 소개합니다. : 오클랜드의 늦봄에 우리 고유술인 막걸리 한잔 하며 노가리를 까는 것이 그리웠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11.03 181
728 제임스앤제임스 막걸리 찬가를 소개합니다. : 오클랜드의 막걸리와 오클랜드의 사랑은 같지 않았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9.03 165
727 제임스앤제임스 막걸리 찬가를 소개합니다. : 오클랜드의 보타니 다운즈의 한인들의 사랑의 찬가를 부르고 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5.12 186
726 제임스앤제임스 막걸리 찬가를 소개합니다. : 오클랜드의 삶의 길목에서 함께 걷고 싶은 한인들을 만나 노년에 마시는 막걸리 한잔하고 싶습니다. 1 제임스앤제임스 2015.01.17 634
725 제임스앤제임스 막걸리 찬가를 소개합니다. : 우리가 가진 것은 오늘 오클랜드 뿐이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7.10 288
724 제임스앤제임스 막걸리 찬가를 소개합니다. : 우리는 김삿갓 김병언이 막걸리를 하며 홍련을 얻었음을 보았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4.12.13 1026
723 제임스앤제임스 막걸리 찬가를 소개합니다. : 혼자 웃음을 짓는 이유를 아는 사람이 없을 것일세. 제임스앤제임스 2015.03.30 279
722 한일수 매일 같이 만나는 사진 속의 인물 (1) 한일수 2014.05.23 1403
721 한일수 매일 같이 만나는 사진 속의 인물 (2) 한일수 2014.06.03 1684
720 박인수 명분에 목숨을 거는 이들에게 1 박인수 2011.10.06 2873
719 한일수 모듬살이 한일수 2014.03.18 1317
718 박인수 모름지기 선업(善業)을 쌓을 일이다 박인수 2012.04.26 7728
717 기타 모범적인 가정을 이루기 위한 호주(가장)의 정신... JMAHN 2011.10.07 5630
716 한일수 목련이 피면 봄은 다시 오고 file 한일수 2011.09.15 8384
715 박인수 못 잊을 ‘말씀’들 박인수 2011.08.24 2546
714 박인수 문학평론가 이원조(李源朝) 선생 1 박인수 2013.01.03 4094
713 기타 물질(物質)이 개벽(開闢)되니 정신(精神)을 개벽(開闢)하자. JMAHN 2011.08.31 1365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42 Next
/ 42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