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한일수
2014.07.10 18:42

엄마야 누나야 해변 살자

조회 수 101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아오테아로아의 꿈(2)

 

엄마야 누나야 해변 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

뜰에는 반짝이는 금모래 빛

뒷문 밖에는 갈잎의 노래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

 


김소월 시인(1902, 8 - 1934, 12)은 일제 강점기에 우리 민족이 아름다운 자연 속에서 가족과 단란하고 평화롭게 살고 싶은 소망을 시를 통해서 토해냈다. 1923년 동경상과 대학 재학 중 관동 대지진으로 학업을 중단하고 고국에 돌아와 시작(詩作) 활동을 계속하여 왔으나 연속 되는 불운으로 생활고에 시달리게 되고 한창 젊은 나이 32세에 음독자살을 하고 만다. 시인은 한(), , 그리움을 노래했으며 이는 우리 민족이 수 천 년 동안 품고 내려온 정서이다.

 


지금은 한국의 어느 곳을 가 봐도 우리가 어렸을 적의 강변 이미지를 찾기가 힘들다. 그 때는 시골의 냇가에도 제법 백사장이 있었으며 동네 아이들이 여름철에 수영을 즐김은 물론 각종 놀이나 스포츠를 즐기는 운동장이기도 했다. 서울을 관통하는 한강은 광나루에서부터 행주산성까지 곳곳에 백사장과 강변 수영장이 연달아 있었다.

 


뉴질랜드에 와서 잃었던 자연의 보물들을 되찾았다는 생각을 하면 한결 흐뭇해지기도 한다. 강변이 흔한 것은 아니지만 아름답기 그지없는 해변들이 도열해 있는 뉴질랜드이다. 뉴질랜드에 처음 와서 제일 먼저 탄성을 자아내는 일은 무지개를 봤을 때이고 유난히 가까이서 반짝이는 별들과 은하수, 쟁반 같은 달, 바다에서 떠오르는 태양, 찬란히 빛나는 석양의 하늘을 볼 때마다 감탄을 하게 된다.

 


오클랜드에는 유난히 해변이 많다. 지도를 펼쳐보면 해안선의 오밀조밀함에 놀라게 된다. 아무리 신()이 설계했다고 하더라도 이렇게 까지 배려를 많이 했을까? 하는 의구심을 품게 된다.

 


우선 오클랜드 시티 중심부를 휘어 감고 있는 바다를 보살펴 봐도 그 오묘함을 알 수 있다. 세계로 향하는 오클랜드의 안마당인 와이테마타 하버(Waitemata Harbour)는 외곽에서 코로만델 반도와 그레이트 베리어 섬이 1차 방어를 해주고 있다. 하우라키 걸프의 영역에서 황가파라오아 반도와 티리티리 마탕이 섬이 2차 방어를 해주는 가운데 이스트 코우스트 베이스 지역의 아름다운 경관과 옆으로 도열해 있는 노이시즈, 라키노, 모투타푸, 랑기토 토 섬들의 호위를 받고 있다. 동쪽으로는 와이헤케와 포누이 섬들이 외풍을 막아주고 있으며 모투이히와 모투 코레아 섬들이 시중을 들어주고 있다. 다시 남북으로 길게 뻗은 데본포트가 수문장 역할을 하고 있다.

 


와이테마타는 하버 브리지를 통과 해 뒷마당을 형성하며 북쪽으로 서쪽으로 남쪽으로 깊숙이 바다를 연장해주고 있다. 와이테마타 하버는 다시 동쪽으로 타마키 스트레이트와 연결되고 있다. 마누카우 하버는 태즈먼 해에서 시티 중심부 서남쪽을 감싸고 깊숙이 들어와 있다. 와이테마타 동쪽에서 서남쪽으로 깊숙이 들어와 있는 타마키 강과 마누카우 하버 동쪽 끝과는 아슬아슬하게 육지로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와이테마타 서쪽 끝에서 남쪽 블록하우스 베이 쪽으로 깊숙이 들어와 있는 바다와 마누카우 하버 북쪽이 지협으로 연결되어 있다. 만일 이 두 군데 지협이 바다로 연결 되었다면 오클랜드 중심부는 완전히 섬이 되는 것이며 뉴질랜드는 남섬과 중섬 북섬으로 불려 질 판이었다.

 


해변으로 가자. 바닷가 집이 아니더라도 오클랜드 어디에서든 차로 10분이면 해안가에 당도할 수 있다. 늪지대 곳곳에는 뉴질랜드 갈대 토헤토헤(Tohetohe)가 깔려 있다. 만일 소월 시인이 오클랜드에 살고 있다면 어떻게 노래할지 궁금하기도 하다. ‘아마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라고 꿈꾸었던 소망이 오클랜드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찬미의 노래를 시로 읊었으리라 짐작한다.

 


낙원과 유토피아는 이 세상에 실재로는 존재할 수 없는 이상향이다. 유토피아(Utopia)는 토마스 모어의 이상 사회를 기술한 소설 이름이지만 원래 유토피아의 뜻은 그리스 어의 없는 장소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 세상 어느 곳에 낙원과 유토피아가 우리를 기다리고 있을 까마는 그래도 뉴질랜드가 이상향에 제일 가깝다고 표현하는 데는 무리가 없다.

 


행복의 파랑새를 손에 쥐고 다른 새를 잡으려고 손을 벌리는 순간 파랑새는 날아가 버리고 다른 새도 잡지 못하는 허황된 일이 벌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우리는 어떤 연유에서든 뉴질랜드에 왔고 이곳에서 제 2의 인생을 살아가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들의 고향을 만들어가야 되지 않을까?

 


한 일 수

 


발제: 뉴질랜드는 해안선이 오밀조밀하게 조성되어 있다. 행복의 파랑새를 놓쳐버릴 게 아니라 제2의 인생을 살아가고 있는 뉴질랜드에서 우리 들의 고향을 만들어 가야……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52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에서 우리 한인들도 문학, 아트, 또는 음악을 통해 얻은 고운 에너지를 마음의 양식으로 쌓는 것임을 알았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6.11.04 161
651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에서 한인들의 너그러움으로 채우는 지혜는 아름다워 보이는 것 같았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6.05.19 162
650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 이민 1세대인 우리 한인들의 생애를 정말 격려하고 싶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11.26 163
649 제임스앤제임스 오클랜드에서 우리의 성취로 가는 길들이 있었습니다. There Were Paths To Our Fulfillment In Auckland 제임스앤제임스 2015.09.10 163
648 유영준 주택 가격상승, 누구 잘못인가 플래너 2015.06.03 163
647 유영준 도시를 푸르게 푸르게 플래너 2015.06.03 164
646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에서 첫마음에 다짐을 했어도 흔들림이 있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모습인 것입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6.02.05 165
645 제임스앤제임스 막걸리 찬가를 소개합니다. : 오클랜드의 막걸리와 오클랜드의 사랑은 같지 않았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9.03 165
644 유영준 건축 허가량 한계점 도달 플래너 2015.06.03 165
643 유영준 오클랜드의 장기 주택부족 플래너 2015.06.03 167
642 제임스앤제임스 우리는 조건 없이 행복한 삶을 사는 것입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5.30 169
641 유영준 지방정부의 현재 및 장래 재정난 방안 플래너 2015.06.03 169
640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 한인들이 사는 오클랜드에 흐르는 맑은 물은 썩지 않았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7.01.21 170
639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에서 분명하고 확실한 목표를 세운 한인들은 올바른 정착을 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10.09 170
638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에서 우리의 한인들은 자신을 돌아 보는 시간도 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6.08.19 171
637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에서 언제나 성숙한 한인들이 갖춘 요소들을 알았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7.03.10 172
636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는 이민생할에서 어려움괴 괴로움을 잘 참아 낼 때 비로소 인내 속에서 끈기를 알았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6.06.04 175
635 제임스앤제임스 우리는 이곳 오클랜드에서 살면서 용서가 그렇게 어려웠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10.11 175
634 유영준 미래 도시생활을 형성하는 6가지 주요 디자인 플래너 2015.06.03 177
633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에서 굴곡진 닫힌 마음들을 가을의 향연에 열고 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3.16 177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42 Next
/ 42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