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유영준
2014.06.10 05:53

위기에 강한 도시들

조회 수 111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일전에 위기에서 회복을 잘할 수 있는 도시(Resilient City)가 점점 더 각광을 받게 될 거라고 말씀 드린 적이 있습니다. 이유는 언제 어디서 자연 재해나 금융위기, 테러 등이 우리 도시를 위협할 지는 모르지만, 그 빈도나 규모 그리고 그로인한 충격은 더욱 더 커져갈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러한 이유의 기저에는 도시화, 세계화 그리고 기후변화가 주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도시화의 진행은 더 많은 인구의 집중을 의미하며 이로 인한 환경 파괴는 자연 정화능력 밖의 일입니다. 또한 세계화로 인해 기회와 발전이 있을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각국이 서로 연결되고, 역동적이며 좀더 복잡해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사스의 발병으로 아시안 국가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은 것을 잊지는 않으셨겠지요. 온난화 현상, 해수면 상승 및 기후 패턴 변화는 자연 재해의 발생 가능성을 상당히 높이고 있습니다.

영국의 한 부동산관련 회사가 조사를 진행하여 최근 세계 100대 도시들의 위기에 강한 정도에 따른 서열이 발표되었습니다. 위험에 노출된 정도와 유연한 대처능력, 이 두가지 요소들에 대한 점수를 매겨서 각 도시들을 평가했다고 합니다.

위험에 노출된 정도는 기후변화의 위험, 오염이나 도시확장에 따른 환경 저하, 기간자원, 기간시설 및 지역 공동체의 융화정도에 따라 평가되었다고 합니다.

유연한 대처능력 즉 심각한 위험을 예방하거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도시의 능력은 정부의 지도력 (민주주의, 언론의 자유, 공동체의 참여도, 투명성, 책임성 및 지도자의 장기 비젼), 강한 법령, 학습능력 (좋은 기술학교 보유 포함), 재난 대책 전문가 유무 그리고 재정적 뒷받침 등이 고려되었습니다.

놀라운 것은 캐나다의 세개의 도시 즉 토론토, 밴쿠버 그리고 캘거리가 1위에서 부터 3위를 차지하였고 미국의 도시들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뉴질랜드의 도시들은 이번 조사대상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한편 한국, 브라질, 러시아, 인도 그리고 중국이 낮은 점수를 받았는데, 빠른 경제적 성장이 장기적인 위기관리를 뒷받침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결과 나타났습니다. 

즉, 인구의 급격한 증가가 예상되는 국가들이 위기에 약한 도시들로 평가되어 큰 인명피해가 나타날 소지가 많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위기에 강한 도시로 만들려면 도시를 계획하고, 건설하고 운영하는데 좀더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크라이스트 쳐치처럼 재해가 발생된 다음에 도시를 재건하는데는 천문학적인 돈이 들어가게 되는데, 이로인해 정부로서는 다른 목표에 투자할 여력을 상실하게 됩니다. 또한 다른 도시들도 그로 인하여 정부의 지원금이 줄어들거나 취소되기도 하였으므로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또한 최근에 뉴질랜드 집값의 폭락을 주장하는 학자들의 발표로 부동산 시장에 대한 위기론이 대두되기도 했으며, 되려 집값이 하락하는 지방도시의 주택가격 하락을 더욱 부추길 수도 있어 이에 대한 위기 대책도 조만간 필요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위기에 강한 도시는 다른 도시들에게도 이익이 되며 좀더 나은 세계를 창출하는데 기여하게 되는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72 한일수 작은 그러나 넓은 피아노 콘서트 file 한일수 2014.12.10 994
371 한일수 태평양 문명 시대의 오세아니아 한일수 2014.08.28 994
370 유영준 도시 형태와 에너지 플래너 2014.03.19 1011
369 한일수 엄마야 누나야 해변 살자 한일수 2014.07.10 1012
368 한일수 디지털 시대의 아날로그 감성 한일수 2014.09.11 1012
367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사회 지도층에도 도덕적 의무로써 노블레스 오블리제가 최우선입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4.06.28 1021
366 유영준 오클랜드 디자인 메뉴얼 플래너 2014.03.19 1022
365 제임스앤제임스 막걸리 찬가를 소개합니다. : 우리는 김삿갓 김병언이 막걸리를 하며 홍련을 얻었음을 보았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4.12.13 1026
364 유영준 하우징 뉴질랜드 소개 플래너 2014.09.04 1027
363 유영준 신속한 대단위 주택공급 추진 플래너 2014.03.19 1032
362 한일수 돼지는 죽으면서 말한다 한일수 2014.11.13 1036
361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의 늦가을이 아름다운 이유가 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4.06.07 1055
360 한일수 뉴질랜드에서 한인총회가 처음 열리던 날 file 한일수 2014.09.24 1085
359 한일수 남십자성 아래서 빛나는 동방의 등불이여! 한일수 2014.11.28 1095
358 유영준 웨스트 게이트 프로젝트 플래너 2014.03.19 1096
357 유영준 유니타리플랜과 오클랜드의 노령인구 플래너 2014.03.19 1108
» 유영준 위기에 강한 도시들 플래너 2014.06.10 1110
355 유영준 임대 주택 관심 절실 플래너 2014.03.19 1127
354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 세상 사람들이 지켜야할 덕목을 일깨워 준 깨달음이 존경스럽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4.06.21 1150
353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는 이래서 뉴질랜드가 좋아 살고 있음이 축복이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4.05.17 1151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42 Next
/ 42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