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유영준
2014.03.19 05:35

집값 폭락 예측 및 반론

조회 수 182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호주의 시드니와 멜번에 있었던 다가올 미래의 일들에 대한 세미나에서 미국의 경제학자인 해리 덴트는 호주와 뉴질랜드에 대해 수년 안에 30% 이상의 주택가격 하락을 예측했습니다. 그의 예측에 무게를 두는 이유는 그가 1990년대에 일본의 장기간의 경제침체, 그리고 2008년의 전세계 경제 위기 등 최악의 경제 상황등을 예측하여 맞추었다는 것입니다. 

해리씨의 주장에 따르면 뉴질랜드의 주택시장의 거품은 베이비붐, 이민 그리고 중국 등 외국인 구매자들에 의해 이루어 졌는데, 이 거품이 폭발 직전이라는 것입니다. 특히 중국의 거부들이 중국에서 부터 이주할 목적으로 호주와 뉴질랜드의 주택시장에 투자를 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호주 뉴질랜드 주택시장의 거품 폭발의 주원인은 바로 중국 주택시장의 거품이라는 것입니다. OECD국가 중에서도 거품이라는 오클랜드의 경우 주택가격은 연간소득의 9배에 해당하나, 중국은 30배에 해당하니 어마어마한 거품임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그리고 그 거품의 폭발이 수년 내에 일어날 것이며, 뉴질랜드에 주택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합니다.

현재 주택에 대한 강한 수요가 있기 때문에 주택가격이 떨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강한 믿음이 있는 것은 사실이나 이러한 믿음으로 인해 거품이 형성되었기 때문에 거품이 꺼지면 가격은 떨어질 것이라는 논리입니다.

만약 거품이 꺼지게 된다면 첫 주택 구입희망자에게는 희소식으로, 이러한 상황을 이용해 자신들의 소득에 맞게 주택구입을 실현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는 또한 노후 연금수혜 연령을 현재의 65세가 아닌 75세로 높여야 한다는 의견을 덧붙였습니다. 그래야만 건강관리나 수명연장에 따라는 비용 상승을 만회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세계적으로 대공항이 올것이며, 주택가격은 항상 오를것이다라는 믿음의 변화가 생기게 될 것이라고 의견을 피력 했습니다. 또한 대공항시 생필품 가격의 하락으로 인하여 수출주도형 경제인 뉴질랜드는 직격탄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문제는 해리 덴트가 작년, 재작년 그리고 그전에도 이러한 예측을 발표했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언제가는 그의 예측이 맞을 수 밖에 없겠지요. 그의 예측에 따라 몇년전에 집을 구매하지 않았던 사람들이라면 현재의 주택가격 상승에 피해자들 일 수도 있겠습니다. 그는 여타 다른 경제 전문가들과 다를 바 없으며 그의 잘 맞지 않는 예측기록이 그러한 사실을 뒷받침 한다는 비판적인 의견도 있습니다. 

소득에 비해 높은 주택가격이라고 해서 꼭 주택 가격이 과평가되었다고는 볼 수 없겠지요. 즉, 누군가 그러한 가격을 지불하고 기꺼이 구입하려고만 한다면요. 그럴 경우, 구입할 여력이 없는 사람들은 집을 임대할 수 밖에 없겠지요. 또는 집에 좀더 많은 사람들이 같이 살거나 (예를 들면 부모님 집에 같이 살기), 작은 집을 선호할 수도 있겠네요. 즉, 사람들은 주어지 환경에 맞게 최선의 선택을 하게 됩니다. 
해외 주택 구매자들에 의해 좌우되는 나라로 대표적으로는 스페인인데, 그 곳에는 많은 아파트나 주택단지들이 그들을 위해 마련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경제불황이 왔을때 주택시장에 영향을 미쳤었지요. 그리고 가장 큰 피해자는 투자자들일 것입니다. 

그러나 스페인과 달리 호주나 뉴질랜드 인구의 대부분은 큰 도시에 밀집해서 살고 있으며, 아파트가 아닌 단독주택에 대부분 살고 있습니다. 호주나 뉴질랜드의 경제는 상대적으로 안전하며 기복이 없는 편으로 세계 다른 나라들과는 공유되는 이슈가 적은 편입니다. 특히 기후도 미국처럼 급변하는게 아니라 일년내내 온화하며, 치안이 우수하고 정치적으로도 안정되어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세계적으로 봤을 때, 프리미엄을 주고서라도 살고 싶은 마음이 드는 나라이니, 만약에 세계 경제 불황이 일어난다 할지라도 뉴질랜드는 살아남을 수 있지 않을까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72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풍족한 삶도 혼자 빨리 가는 것이 아니라 함께 멀리 가는 따뜻함을 배우고 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9.12 224
571 유영준 지구의 미래 운명은 도시 계획 방법에 의존 플래너 2016.02.23 225
570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한인들이 함께 모이면 열정과 창조적인 기적을 만들어 가는 즐거움이 두 배가 되어 좋았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7.03.03 225
569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렌드에서 우리 한인들이, 통하면 안 아프고, 안 통하면 아프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7.04.07 226
568 유영준 유니타리 플랜의 변경된 예비구역 지도 발표 플래너 2016.02.23 226
567 유영준 통계로 본 인구증가 및 주택 변화 양상 플래너 2016.02.23 227
566 유영준 배송 컨테이너로 주택 위기를 해결할 수 있을까요? 플래너 2016.02.23 227
565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는 언제나 의미 있는 오클랜드의 삶을 살 수 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6.09.10 227
564 유영준 식수를 위한 자연 인프라 투자가 주는 장점 플래너 2016.02.23 229
563 유영준 어린이를 위한 도시를 건설하는 방법 플래너 2016.02.23 233
562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에 사는 자녀들에게 들려 주고 싶은 이야기가 있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3.14 233
561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생마사(牛生馬死)의 교훈과 도마뱀의 공조하는 삶에 관한 교훈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1 제임스앤제임스 2016.04.29 233
560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에서 우리가 더 많이 가졌다고 해서 더 행복해지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6.07.02 235
559 유영준 종합적인 거대개발계획 달성은 공사협력사업 통해 플래너 2016.02.23 236
558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의 삶에도 경영노하우처럼 채울 것인가 비울 것인가를 생각할 때인 것 같았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10.23 239
557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의 한인들은 오클랜드의 참사랑을 전해 주는 명품 삶의 참된 주인공이 되도록 할 것입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6.06.13 240
556 유영준 레고는 완벽한 도시 계획도구 플래너 2016.03.14 241
555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에서 우리의 의지가 위기를 뛰어 넘는 강인한 동력이 될 것입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7.25 241
554 유영준 고층 건물 없이 거주 밀도 높이는 방안 플래너 2015.06.03 245
553 유영준 집 구매냐 렌트냐 그것이 문제로구나 플래너 2015.06.03 245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42 Next
/ 42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