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유영준
2014.03.19 04:53

도시 계획의 사회적인 순기능

조회 수 132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도시설계 또는 도시계획 (planning)에 관련하여 일하는 플래너는 졸업후 다양한 분야의 일터에서 일하게 됩니다. 저의 경우는 시청에서 토지분할 관련한 일을 하는데, 그외에도 도로교통, 기간기설, 하우징 등 무수한 분야에서 일을 하고 있습니다. 현재 제가 하는 일은 기술적인 도시설계에 해당합니다. 요즘 소득범위에서 구입가능한 주택(affordable housing)에 대한 정부의 정책실현의 중심에 도시계획이 있듯이, 플래너는 좀더 넓은 공공정책을 통하여 가난에 대한 대처를 모색할 수 있습니다. 즉, 도시설계는 사람들의 공동체 속에서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한발 더 나아가 가난까지도 다루어야 하는 좀더 심오한 의무를 가지고 있습니다. 즉, 사람들에게 서비스, 잘꾸며진 시설들 그리고 경제적인 기회를 제공하고, 미래 도시개발에 대한 사람들의 생각을 피력할 기회도 마련해주어 복지향상에 기여할 잠재력을 발휘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도시설계는 점점 사람들로 부터 단절되어 가고, 더이상 사람들이 중요시하는 많은 문제는 불행히도 더이상 다루지 않게 되고 있습니다. 정치적이나 언론의 논쟁에서, 미래의 도시설계는 규제를 더 풀도록 하는데 촛점을 맞추고 있는 듯 합니다.

도시설계의 태동은 19세기 공중보건위생운동과 영국 빅토리안시대의 빈민가로 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정화시설이 미흡하여 식수가 오염되어 콜레라가 창궐하면서 필요성을 느끼게 된 것이지요. 그렇지만, 화장실을 갖춘 주택의 제공이라는 기본적인 요구사항을 넘어서 공동체의 설계나 사회적인 배제까지도 다루기 시작하였습니다.

즉, 기술적, 예술적 그리고 사회적인 목표를 가지고 있었지요. 도시계획은 효율적인 공간의 활용을 통해서 사람들의 일상생활의 향상에 기여하여 결과적으로, 사람들에게 좀더 나은 삶을 제공하였고, 세계대전을 치룬 국가들의 경우에는 공공주택 마련 및 기간시설 확충 등으로 국가재건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습니다.

영국의 경우, 그러나 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부터 도시계획의 사회적인 역할보다는 기술적인 목표에 좀더 큰 비중을 두게 되었습니다. 이는 도시계획이 더이상 가난타파에 있어서 주요정책수단으로 인식되지 못하고, 사회정의 실현에 대한 정책의 중요도를 낮추었기 때문이겠지요.

영국의 도시계획기법을 답습하는 호주와 뉴질랜드의 경우는 그러한 영국의 변화를 따라가게 되었습니다. 점차 도시계획과 점진적인 사회요구의 괴리감이 증폭되어 가고 있습니다. 사회 불평등이 심화되고 지역적 빈부격차가 심해졌습니다. 물론 마누카우시장에서 오클랜드시장으로 당선되었던 렌브라운 시장이 마누카우의 빈부격차를 완화하기 위해 오클랜드 플랜에 남부지역 활성화를 큰 목표중에 하나로 삼은 것은 표밭의식을 넘어서 빈부격차 완화의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본래 도시계획(planning)에는 사회적인 요소에 대한 고려가 크게 작용하였으므로, 미래에는 이의 복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세계각국의 케이스 스터디에서도 밝혀지듯이 도시계획이 공동체 재건, 건강 그리고 지역민에게 중요한 이슈의 해결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도시계획은 중앙정부에서 정책을 마련하여 사회 정의 실현과 가난타파라는 명확한 지침을 내려주지 않는 한, 실천에는 한계가 있기 마련입니다. 따라서 가난타파에 대한 정부의 의지가 있다면 새로운 법적 의무마련 및 이의 실천방안에 대해, 일선에서 일하는 플래너들에게 교육이 필요하다 하겠습니다.

도시계획의 시행에 있어서 새로운 시도가 절실합니다. 도시계획의 사회적인 순기능을 다시 한번 생각해볼 시점입니다. 저와 같은 플래너들은 자신이 맡고있는 장소에 대한 명확한 이해 및 자신들의 일이 어떻게 그곳에 사는 사람들의 삶에 영향을 끼칠까하는 대한 고려가 절실히 필요한 시기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12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최고의 자만과 최고의 능력만의 아집을 버리지 않아 항상 꼴찌의 삶이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3.12.21 1479
511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에 있는 젊은 사람들의 꿈과 비젼은 무엇입니까. 제임스앤제임스 2014.04.26 1474
510 유영준 뉴질랜드 최고층의 건물 플래너 2014.03.25 1463
509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는 부자를 꿈꾸는 성장보다는 겸손한 성숙함을 단련할 때입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4.03.15 1433
508 유영준 수질 개선 관심 필요 플래너 2014.03.19 1421
507 유영준 오클랜드의 10대 환경복원사업 플래너 2014.03.19 1418
506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한인들은 희망이 있으며 한인들의 삶을 기쁨으로 즐기는 것입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4.05.03 1407
505 한일수 매일 같이 만나는 사진 속의 인물 (1) 한일수 2014.05.23 1403
504 유영준 2014년 주택감정가 산출 실시 플래너 2014.07.25 1402
503 유영준 지구 온난화 현상 플래너 2014.03.19 1399
502 제임스앤제임스 우리는 오클랜드에서 약속을 합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4.05.20 1398
501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에게 조국의 사태로 인해 우울증이 오리라고는 생각하지 못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4.05.01 1397
500 유영준 값싼주택 실행여부 의문 플래너 2014.03.19 1377
499 제임스앤제임스 오클랜드의 삶에 정말 아름다운 시간이 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4.04.19 1374
498 유영준 도시의 계획적 성장의 중요성 플래너 2014.04.14 1370
497 유영준 주택가격 하락 요인 플래너 2014.06.10 1368
496 유영준 도보습관은 어릴때 부터 플래너 2014.03.19 1366
495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가 나이가 들면 깨달은 오클랜드의 행복도 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4.04.19 1330
494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최고에 끝까지 올라간 용은 반드시 후회하게 됩니다. (항룡유회 亢龍有悔) 제임스앤제임스 2014.03.08 1326
» 유영준 도시 계획의 사회적인 순기능 플래너 2014.03.19 1324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42 Next
/ 42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