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1926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그날 1950 6 25일을 잊을 수가 없는 것입니다. (The Day Never To Be Forgotten)

그 당시 대한민국인 (The Republic Of Korea) 조국을 지키기 위해 산화한 님들 모두가 우리들의 가족이었으며 친구들이었고 이웃들이었습니다.

조국은 님들에게 너무 불공평 했습니다. 전날 꽃 향기 가득 찬 아름다운 유월의 밤에 떠나온 고향, 가족, 애인 생각에 잠을 청할 때도 다가올 전쟁에 아무런 대비도 시키지 않았습니다. 막무가내의 살인 흉기 탱크 앞에 대항할 어떤 힘도 주지 않았습니다.

가슴에 쏟아 흐르던 붉은 피 두 손으로 움켜 잡으며 반격 한번 할 수 없었던 것이 너무 억울 했을 겁니다. 총이라도 한번, 대포라도 한 방, 아니 한번 때릴 수만 있었어도 그렇게 억울하지 않았을 겁니다.

님들은 무능한 조국으로 인하여 속절없이 떠났습니다. 사랑하는 어머니, 아버지, 가족들사랑하는 애인 순이, 버들피리 만들어 불던 사랑하는 친구들에게, 안녕이라고 인사 한마디 전하지 못하고 님들은 그렇게 속절없이 떠났습니다. 조국은 님들을 불렀지만 생떼 같은 목숨을 지키지 못했습니다.

아아, 님들이 그리던 조국에 과일이 풍성한 계절이 왔어요. 백합꽃이 고개를 내밀고 해바라기꽃이 환하게 참말로 여름의 계절이 왔어요. 피 묻은 태극기 쳐들고 님들이 목숨을 걸었던 조국의 산하에 여름의 꽃들의 생명들이 다투어 피고 있어요. 님들의 한 맺힌 목숨으로 지켜 낸 조국의 땅에 많은 꽃들 모두가 생명의 잔치를 열어요. 타고 남은 재가 다시 기름이 되 듯 님들의 주검은 모두의 생명이 되었습니다.

그리움조차 남기지 못했던 님들의 이별은 살아 있는 것들의 몫, 그리움처럼 여기저기 생명으로 피어납니다. 못다한 아쉬움은 구천을 떠도는데 님들의 생명은 우리의 생명으로 이어졌습니다. 님들이여 이제 모든 한을 내려 놓으시고 편히 쉬소서.

수채화아티스트/기도에세이스트/칼럼니스트 제임스로부터.

  • profile
    제임스앤제임스 2012.06.25 15:20

    Taegeukgi was officially declared the national flag of Korea by King Gojong in 1883.
    (
    태극기는 1883년 고종에 의해 대한민국 국기로 공식 선언됐습니다.)

    The Republic Of Korea is the sole legitimate state on the Korean peninsula.
    (
    대한민국은 한반도에서의 유일한 합법적 국가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2 한일수 아, 그이가 내 사랑이었나 file 한일수 2011.12.03 4133
171 박인수 아! 장진호(長津湖) 1 박인수 2012.06.18 13626
170 유영준 쓰레기 관리 본격화 임박 플래너 2014.06.10 1263
169 제임스앤제임스 신앙에세이 : 하나님께로부터 택함을 받아 살아 가는 성령의 크리스챤들이 되겠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9.11.12 49
168 제임스앤제임스 신앙에세이 : 주님, 우리 크리스챤들은 항상 참 예배를 제대로 드리도록 기억하고 결심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9.11.03 70
167 유영준 신속한 대단위 주택공급 추진 플래너 2014.03.19 1032
166 유영준 식수를 위한 자연 인프라 투자가 주는 장점 플래너 2016.02.23 229
165 유영준 시급한 기간시설 확충 플래너 2014.03.19 1229
164 한일수 시간 속의 삶 한일수 2014.02.03 1718
163 기타 습관 Anthony 2011.08.24 2975
162 박인수 스쳐지나간 잊혀지지 않는 인연 박인수 2012.05.21 11318
161 기타 순(順)과 역(逆), 주(主)와 종(從) JMAHN 2011.12.01 5049
160 유영준 수질 개선 관심 필요 플래너 2014.03.19 1421
159 유영준 수정된 오클랜드 도시계획지도 플래너 2016.03.23 467
158 박인수 수(壽)와 요(夭) 박인수 2011.10.17 3024
157 유영준 소형주택으로 주택난 해소 플래너 2014.04.02 1559
156 유영준 세번째 주택조약 도시 발표 및 신주택 허가량 최고치 기록 플래너 2014.07.25 814
155 유영준 세계적인 식량 전쟁 시대 플래너 2014.09.04 853
154 박인수 세계무대에서 한국인의 정체성을 확립하자 박인수 2013.10.07 2785
153 유영준 세계는 스마트 도시로 플래너 2014.03.19 969
Board Pagination Prev 1 ...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42 Next
/ 42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