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329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명품은 아시아인을 위해 만들었습니다. (2)

 

명품경쟁으로 나락(奈落, Hell)의 골목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세상에 열등감이 없는 사람은 없는 것입니다. 누구나 열등감을 느끼지만, 아닌 척하며 살고 있을 뿐인 것입니다. 유명했던 배우인 엘리자베스 테일러도 자신의 얼굴이 못생겼다는 열등감 때문에 정신병원의 치료를 받았던 적이 있었습니다.

 

심리학적으로 보면, 자기과시는 열등감을 극복하려는 힘겨운 노력 중의 하나입니다. 그런데 자기 처지에 맞지 않는 지나친 사치는 비어있는 내면을 감추기 위한 외부적인 위장이요 위선인 것입니다.

 

반지의 보석이 크면 클수록 그것에 비례해서 “나는 이 만큼 속이 비어있다는 사람입니다.”라고 스스로를 나타내는 것과 같습니다. 명품을 과시를 하면 할수록 비례해서 “나는 이 만큼 열등감에 사로잡혀 있는 사람입니다.”라고 고백하는 꼴이 되는 것입니다.

 

가령 옷이란 값이 맞고 보기 좋고 입어서 편하면 되는 것입니다. 등산이나 골프를 하면서 왜 명품으로 치장을 해야 하는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아마도 세상에서 명품을 가장 많이 찾는 사람들이 불행하게도 한국 민족일 것 같습니다. 명동거리나 강남거리의 명품가게를 가보면 대부분이 한국인이고, 그 다음에 중국사람이고, 이어서 홍콩사람과 말레이시아사람, 또는 싱가폴사람들로 붐비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태리사람이나, 프랑스사람이나, 잉글랜드사람들은, 그와 같은 사치품인 명품을 결코 사지도 않고, 부러워하지 않는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 한국인이 그 만큼 열등의식이 사로 잡혀 있다는 증거가 아니었으면 좋겠습니다.

 

과거에 한국관광객들이 미국, 오스트렐리아, 뉴질랜드 등에 오면, 백화점이나 아웃렛의 명품을 싹슬이 한다는 현지의 신문을 보곤 했는데, 이것은 한국인들을 문제가 있는 민족으로 쳐다보며 조롱과 조소해대는 것처럼 비추어졌습니다. 우리는 세계 200여개 나라 중에서 더 이상 열등국민이 아니며, 당당하게 자신감을 갖고 더 이상 피곤한 명품과시의 경쟁을 접을 때도 된 것입니다.

 

오클랜드이든, 서울이든, 시드니든, 도쿄(東京)이든 간에, 주변에 여전히 죽기 살기로 명품만을 고집하는 사람이 있다면, 바로 비판할 것이 아니라,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일 수도 있다라는 생각으로, 이해와 아량으로 상담과 조언으로 접근해 보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함께 살아가는 그들은 우리의 친구이요, 우리의 이웃이기 때문인 것입니다.

 

수채화아티스트/기도에세이스트/칼럼니스트 제임스로부터.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12 유영준 미래 도시생활을 형성하는 6가지 주요 디자인 플래너 2015.06.03 177
711 유영준 미래 예측과 도시계획 플래너 2015.06.03 182
710 유영준 미래 인구 증가 국가들 file 플래너 2014.03.19 2350
709 유영준 미래의 에너지 정책 방향 플래너 2016.04.08 203
708 한일수 민들레의 영토 한일수 2014.06.25 1283
707 유영준 밀집된 형태 도시와 주택 가격 플래너 2014.07.25 860
706 기타 바이러스 Anthony 2011.08.24 3185
705 한일수 바이칼 호수에서 아오테아로아 까지 한일수 2015.10.22 397
704 박인수 박창순 할아버지를 보내며 박인수 2011.08.19 3611
703 유영준 배송 컨테이너로 주택 위기를 해결할 수 있을까요? 플래너 2016.02.23 227
702 한일수 백두산 천지 한일수 2015.02.01 618
701 유영준 백만장자 이주 전쟁 플래너 2015.06.03 206
700 하병갑 법무사, Conveyancer 와 Legal Executive 의 차이 하병갑 2015.08.12 624
699 박인수 베드로와 자로(子路) 박인수 2011.09.08 2704
698 하병갑 부모님, 어느 한 쪽이라도 그 절반만 닮았어도... 하병갑 2015.08.11 370
697 박인수 부전자전(父傳子傳) 박인수 2011.09.05 2651
696 하병갑 북한이 그런 곳인 줄 몰랐는가! 하병갑 2016.02.12 213
695 기타 분수를 아는 것 file Anthony 2011.08.24 8262
694 유영준 불확실한 미래 대비하는 도시 플래너 2014.09.24 656
693 기타 사람이...3편 JMAHN 2011.09.21 314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42 Next
/ 42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