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한일수
2013.12.23 17:26

로마제국의 5현제

조회 수 246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로마제국의 5현제

 


제위 양도가 합리적으로 이뤄지고 정치 안정, 경제 번영,

문화 융성과 함께 평화가 지속되었던 로마제국의 5현제

시대에는……

 


개인의 삶이나 국가의 흥망이 마찬가지이지만 지난 일을 되돌아보면 한 때 잘 나가던 때가 있었음이 보통이다. 팔자를 잘 타고나서 혹은 시대를 잘 만나서 비교적 평탄하게 일생을 보내는 수도 있고 그 반대로 평생을 빛을 못보고 한 많은 인생을 마감하기도 한다. 국가의 운명도 그 시대의 처한 상황에 따라서 비극과 희극이 교차되기도 한다. 그러나 대체적으로 한 때나마 행복했던 시기를 지내게 된 경우가 많다.

 


로마제국의 역사를 돌이켜봐도 마찬가지이다. 로마의 건국 기원은 BC 753년으로 서 로마제국이 멸망한 AD 476년 까지 1,229년을 로마의 역사로 기술하고 있다. 물론 AD 395년 테오도시우스 황제가 두 아들에게 로마제국을 동과 서로 분리하여 양도한 이래 동 로마제국은 비잔티움 제국을 형성하여 1,453년까지 존속하기도 했다.

 


로마가 제국을 형성한 것은 옥타비아누스가 악티움 해전에서 안토니우스와 클레오파트라에게 승리함으로서 일궈낸 BC 27년부터 기원한다. 옥타비아누스는 존엄한 자를 뜻하는 아우구스투스라는 칭호를 받고 초대 황제로 등극했다. 그 후 로마제국은 서로마제국이 멸망한 AD 476년까지 503년 동안 존속하였다.

 


그러나 제국의 역사는 피바다의 연속이었다. 황제의 폭정과 권력층의 사치와 향락, 끊임없는 전쟁으로 일반 백성은 고달픈 삶을 지탱할 수밖에 없었다. 제대로 명을 다하고 자연사한 황제는 손으로 꼽을 정도이고 대부분이 암살당하거나 처형당하고 전선에서 병사하는 등 파란이 많았다. 그 중에서도 평화가 지속되고 백성들이 편하게 지냈던 시절이 5현제 시대이었다.

 


서기 96년부터 180년까지 84년 동안은 제국의 영토가 확대되고 평화가 지속되었으며 이 시대 제위(帝位)는 세습(世襲)이 아니라 원로원 의원에서 기장 유능한 인물을 황제의 양자로 받아드려 제위를 이어가게 했다. 정치안정, 경제번영, 최대의 영토유지, 문화를 속주(屬州)의 각 지역에 파급시켜 제국의 최 전성기(Pax Romana)를 이룩하였다. 5현제 시대에는 원로원과 황제의 현명한 타협의 정치체제를 확립하여 영국의 역사가 기번(Edward Gibbon, 1737-1794)이 기술한데로 인류역사상 가장 행복했던 시대로 평가받고 있다.

 


5현제 중 첫 번째 네르바 황제는 당시로서는 고령인 66세에 등극하여 2년 동안 사회복지 정책을 수립하였고 두 번째 트라야누수 황제는 속주 출신임에도 황제가 되어 적극적인 대외정책과 자선 사업을 추진했다. 세 번째 하드리아누스 황제는 반평생을 속주 순행(巡行)에 바쳤으며 그리스 문화를 애호하였다. 네 번째 안토니누스 피우스 황제는 경건함을 잃지 않았고 다섯 번째 황제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명상록의 저자이며 스토아(Stoa)학파의 철인(哲人)이었던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161-180 제위)이었다. 선대의 하드리아누스 황제는 마르쿠스의 총명함을 알고 마르쿠스의 고모부인 안토니누스를 후계자로 지명하고 마르쿠스를 입양토록 조치하여 제위를 이어가도록 하였다. 5현제 시대의 마지막 황제였던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재임 중 수 많은 외침과 반란에 시달리다 다뉴브 강 전선에서 전사하였다. 그리고 황후파우스티나의 검투사들과의 외도는 말썽거리가 되었으며 제위를 이어받은 아들 콤모도스는 무능과 변덕, 쾌락추구로 로마 역사상 가장 나쁜 황제로 비난 받았다. 따라서 현제에 해당되지 않을 수도 있으나 명상록의 저자로서의 영향력이 뒷받침된 듯하다.

 


과욕은 패망을 부른다.’ 5현제 이후 로마 사회의 부패, 사치와 향락은 끝이 없었으며 잔인한 쾌락 추구는 인간성의 말살을 가져왔다. 예를 들어 검투사들이 실제로 상대를 찔러 죽이는 게임을 구경거리로 즐길 정도였다.

 


오클랜드 한인 사회에도 언제나 5현제 시대가 도래 하게 될지 궁금해진다. 오클랜드 한인회가 출범한 지 23년이 가까워오고 있지만 갈등과 불화가 끊일 날이 없고 한인회는 일반 한인들로부터 관심 밖으로 따돌림 당하고 있다. 한인회가 편해야 한인사회가 편해질 것이고 한인사회가 편해야 우리 한인들의 일상생활이 편해질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32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 한인들은 배려와 예의로 모두가 행복한 일들만 가득했으면 좋겠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6.08.26 177
631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의 삶 속에서 우리 한인들이 만나고 겪은 모두가 소중한 시간들이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7.08.11 178
630 유영준 유럽의 최초 자전거 고속도로 승인 플래너 2015.06.03 179
629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에 올 때 첫마음을 가진 젊음은 지나 가고 청춘은 오고 있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6.10.22 179
628 제임스앤제임스 막걸리 찬가를 소개합니다. : 오클랜드의 늦봄에 우리 고유술인 막걸리 한잔 하며 노가리를 까는 것이 그리웠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11.03 181
627 유영준 미래 예측과 도시계획 플래너 2015.06.03 182
626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이민생활에서 행복한 삶의 동반자인 오클랜드의 좋은 친구들을 만들어 가는 것입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9.19 183
625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언제나 우리 한인들의 강인한 민족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6.08.14 183
624 유영준 도로 역할 재조명 플래너 2015.06.03 183
623 제임스앤제임스 지금은 때가 무르면 오고 갈 때마다, 함께하면서 즐겁게 참여하며 실아 가는 오클랜드가 좋아졌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4.08 184
622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의 한인들의 성공은 만들어 갈 수 있으며 항상 가까이 있는 것입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6.09.16 185
621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봄저녁 노을을 보며 꼭 오클랜드 친구에게 편지를 쓰고 싶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9.05 186
620 제임스앤제임스 막걸리 찬가를 소개합니다. : 오클랜드의 보타니 다운즈의 한인들의 사랑의 찬가를 부르고 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5.12 186
619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의 20년 동안의 이민생활을 통해서 성공적인 가장(家長)이 되기 위한 표준 선택기준을 배웠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6.07.22 187
618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 한인들이 새로운 자신으로 변신하려면 기존의 자신을 완전히 버려야 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7.07.28 188
617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 한인들에게 좋은 뉴질랜드를 물려 주는 “뉴질랜드 타임즈”가 될 것입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9.03.16 188
616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의 한인들을 빛나게 보이게 하는 것들이 있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8.29 189
615 유영준 Low Impact Development원리 주택개발에 적용 플래너 2015.06.03 189
614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는 진정한 우정과 사랑을 만들고 사람답게 사는 친구들이 되고 싶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7.08.04 189
613 제임스앤제임스 오클랜드의 행복은 가꾸며 가는 마음 안에 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3.25 190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42 Next
/ 42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