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이민생활을 숙제하듯이 살지 않고 축제하듯이 살아갈 것입니다.


우리의 생애는 한 권의 책과 같습니다. 어리석은 친구는 그것을 마구 넘겨 버리지만, 현명한 친구는 열심히 읽어 나갑니다. 단 한 번 밖에 생애를 읽지 못한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생애가 무조건 즐거워야 하는 것은 우리에게 두 번째 생애란 없기 때문입니다. 돈이 많든 적든, 명성이 높든 낮든, 누구나 공평하게 단 한 번의 생애만 살 수 있기에, 지나버린 시간은 물릴 수도 없고 되돌릴 수도 없습니다.

 

왜 나는 부자가 아닐까?” “왜 나는 유명해지지 못할까?”라고 고민하기 보다는, “왜 나는 지금 즐겁지 않을까?”에 대해 더 많이 고민해야 합니다.

 

하루 하루를 즐겁게 사는 친구들을 보면 몇 가지 공통점이 있습니다. 그들은 반드시 돈이 많거나 사회적으로 성공한 사람들이 아닙니다.

 

오히려 평범하고 소박하지만, 자신의 생애를 소중하게 여기는 친구들이 생애에 대한 만족과 행복을 더 많이 느끼고 있습니다. 그들은 쉽게 자신의 생애와 다름 사람들의 생애와 비교하지 않고, 먼 미래에 있을지도 모를 행복이 아니라, 지금 이곳 오클랜드에서 행복하게 지내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잘 알고 생애를 즐기는 친구들입니다.

 

생애를 즐기는 친구들은 또한 지금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이 가장 소중한 일이며, 정성을 쏟은 만큼 반드시 자신에게 돌아온다는 믿음을 갖고 있습니다.

 

이 믿음 때문에, 마음의 평온과 즐거운 생애를 덤으로 얻을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자신의 생애에 만족하지 못하고, 항상 자신보다 높은 곳만을 바라보는 사람은, 흔들리는 바위에 앉은 것처럼 요동치는 욕망과 불안 속에서 살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자신 생애의 주인으로 살아가는 것입니다.

자신의 목적의식을 갖고 살아가는 것입니다.

다른 사람들과 조화롭게 어울려 살아가는 것입니다.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것입니다.

하나님께 감사하면서 살아가는 것입니다.

하는 일과 노는 것의 균형점을 찾아가는 것입니다.

항상 웃으며 살아가는 것입니다.

 

이 모두를 잘 실천하면서 살 수 있다면, 우리의 생애는 숙제가 아니라 축제의 무대가 될 것입니다.

 

매일 매일의 이민생활을 축제처럼 살 것인가, 아니면 끙끙거리며 숙제하듯이 살아갈 것이냐는, 바로 우리 마음 먹기에 달려있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준비 안된 생애라면, 먹고 사는 숙제에서 벗어나기 힘들어, 고로 생애의 후반기의 축제를 즐기기 위해, 하나씩 준비를 하는 플랜을 지금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수채화아티스트/기도에세이스트/칼럼니스트 제임스로부터.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12 유영준 미래 도시생활을 형성하는 6가지 주요 디자인 플래너 2015.06.03 177
711 유영준 미래 예측과 도시계획 플래너 2015.06.03 182
710 유영준 미래 인구 증가 국가들 file 플래너 2014.03.19 2350
709 유영준 미래의 에너지 정책 방향 플래너 2016.04.08 203
708 한일수 민들레의 영토 한일수 2014.06.25 1283
707 유영준 밀집된 형태 도시와 주택 가격 플래너 2014.07.25 860
706 기타 바이러스 Anthony 2011.08.24 3185
705 한일수 바이칼 호수에서 아오테아로아 까지 한일수 2015.10.22 397
704 박인수 박창순 할아버지를 보내며 박인수 2011.08.19 3611
703 유영준 배송 컨테이너로 주택 위기를 해결할 수 있을까요? 플래너 2016.02.23 227
702 한일수 백두산 천지 한일수 2015.02.01 618
701 유영준 백만장자 이주 전쟁 플래너 2015.06.03 206
700 하병갑 법무사, Conveyancer 와 Legal Executive 의 차이 하병갑 2015.08.12 624
699 박인수 베드로와 자로(子路) 박인수 2011.09.08 2704
698 하병갑 부모님, 어느 한 쪽이라도 그 절반만 닮았어도... 하병갑 2015.08.11 371
697 박인수 부전자전(父傳子傳) 박인수 2011.09.05 2651
696 하병갑 북한이 그런 곳인 줄 몰랐는가! 하병갑 2016.02.12 213
695 기타 분수를 아는 것 file Anthony 2011.08.24 8262
694 유영준 불확실한 미래 대비하는 도시 플래너 2014.09.24 656
693 기타 사람이...3편 JMAHN 2011.09.21 314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42 Next
/ 42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