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한인으로서 맞는 오클랜드의 설날은 우리의 설날입니다.

 

1 23일은 우리 민족의 최대의 명절인 설날(Korean New Year)입니다. 뉴질랜드에서는 휴일도 아니고, 전통풍속을 나누기도 어려워 설날을 쇠는 기분과 정서를 느끼지 못한다는 사람이 많은 것 같습니다.

 

음력 1 1일인 설날을 중국인들만의 명절인양 Chinese New Year로 부르는 것도 우리의 자존심이 상하는 일인 것 같았습니다. 설날을 맞으면서 우리에게 고유의 설날풍습이 있다는 것을 2세들에게도 설명해주는 대화의 자리를 마련해주어야 될 것입니다.

 

우리에게는 설날이 단순한 명절 차원을 넘어 한인으로서의 정체성(Identity)을 확인하고 계승해주는 중요한 뿌리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설날 아침이면 모두 설빔(dress up for New Year's Day)으로 갈아입고, 세찬(歲饌, food for serving New Year's guests, handsel)과 세주(歲酒,, 설날에 쓰는 술), 떡만두국 등으로 조상에게 새해를 맞았음을 알리는 차례를 지냈습니다. 예전에 어머니가 청주나 탁주를 빚지 못하면, 청탁을 해서 작은 독을 봉하고(Sealing) 무명으로 만든 끈으로 밑과 둘레를 묶어 가져오게 하고, 설날에 세주로 쓰고 마시며 한해 동안 무병(無病)과 축복(祝福)을 기원했습니다. 떡만두국인 경우 , 떡은 가래떡으로 하되 독에 넣었다가 얼기 설기 얼은 것을 꺼내 일일히 타원형으로 일체감 있게 썰고, 만두는 속을 만든 후에 모양 있게 만들어 뒷광에 넣어 얼린 것을 가져 오게해서 떡과 함께 끓이게 했습니다.
 

이어 세배(歲拜, a formal bow of respect to one's elders on New Year's Day)와 음복(飮福,, 차례를 지낸 후 음식과 청주와 탁주, 떡을 나눔, to partake of sacrificial food and drink)을 했으며 조상의 성묘(省墓, a visit to one's ancestral grave)도 하고, 친척과 이웃 그리고 친구가 모여, 제기차기, 윷놀이, 널뛰기, 농악, 연날리기 등의 놀이도 즐겼습니다. 우리의 설날 풍속의 가장 큰 의미는 서로 돕고, 사랑하고, 우애(友愛, friendship & fellowship) 있게 지내는 화합이었습니다.

 

시대가 바뀌고 사는 곳도 뉴질랜드이지만, 아름다운 설날 풍속들이 잊혀지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우리가 관심을 갖고, 이민 2세들에게 우리의 전통 명절을 가르쳐 주고, 한인의 정체성을 확인해주는 뜻이 깊은 날로 설날을 보내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우리는 설날을 맞이하여, 일부러 시간을 내고 가족과 친지들이 함께 모여 즐거운 자리를 만들어야 합니다. 웃어른들에게 세배를 올리게 함으로써 자녀들에게 어른 공경의 본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조국에 계신 할아버지와 할머니, 친척들에게 함께 안부 전화, 이메일, 또는 서신을 보내는 것도 모두에게 좋은 산교육이 될 것입니다.

 

수채화아티스트/기도에세이스트/칼럼니스트 제임스로부터.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32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 한인들은 배려와 예의로 모두가 행복한 일들만 가득했으면 좋겠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6.08.26 177
631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의 삶 속에서 우리 한인들이 만나고 겪은 모두가 소중한 시간들이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7.08.11 178
630 유영준 유럽의 최초 자전거 고속도로 승인 플래너 2015.06.03 179
629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에 올 때 첫마음을 가진 젊음은 지나 가고 청춘은 오고 있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6.10.22 179
628 제임스앤제임스 막걸리 찬가를 소개합니다. : 오클랜드의 늦봄에 우리 고유술인 막걸리 한잔 하며 노가리를 까는 것이 그리웠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11.03 181
627 유영준 미래 예측과 도시계획 플래너 2015.06.03 182
626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이민생활에서 행복한 삶의 동반자인 오클랜드의 좋은 친구들을 만들어 가는 것입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9.19 183
625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언제나 우리 한인들의 강인한 민족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6.08.14 183
624 유영준 도로 역할 재조명 플래너 2015.06.03 183
623 제임스앤제임스 지금은 때가 무르면 오고 갈 때마다, 함께하면서 즐겁게 참여하며 실아 가는 오클랜드가 좋아졌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4.08 184
622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의 한인들의 성공은 만들어 갈 수 있으며 항상 가까이 있는 것입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6.09.16 185
621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봄저녁 노을을 보며 꼭 오클랜드 친구에게 편지를 쓰고 싶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9.05 186
620 제임스앤제임스 막걸리 찬가를 소개합니다. : 오클랜드의 보타니 다운즈의 한인들의 사랑의 찬가를 부르고 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5.12 186
619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의 20년 동안의 이민생활을 통해서 성공적인 가장(家長)이 되기 위한 표준 선택기준을 배웠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6.07.22 187
618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 한인들에게 좋은 뉴질랜드를 물려 주는 “뉴질랜드 타임즈”가 될 것입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9.03.16 187
617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 한인들이 새로운 자신으로 변신하려면 기존의 자신을 완전히 버려야 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7.07.28 188
616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의 한인들을 빛나게 보이게 하는 것들이 있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8.29 189
615 유영준 Low Impact Development원리 주택개발에 적용 플래너 2015.06.03 189
614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는 진정한 우정과 사랑을 만들고 사람답게 사는 친구들이 되고 싶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7.08.04 189
613 제임스앤제임스 오클랜드의 행복은 가꾸며 가는 마음 안에 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3.25 190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42 Next
/ 42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