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100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예수께서 십자가에 달려 돌아가시고 20년쯤 지났을 때, 매우 영리하고 독특한 학자가 예수님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했습니다.
우리에게 ‘사도 바울의 서신’으로 잘 알려진 그의 글들은 당시 유대와 갈릴리 땅을 넘어 이방인 지역에 막 태동하기 시작한 교회들에게 편지로 전해졌습니다.

 

유대인의 혈통과 로마인의 시민권을 아울러 갖고 있던 사도 바울은, 예수님을 따라다니던 제자도 아니었고 한 번도 예수님을 직접 뵈었거나 가르침을 받은 적이 없었지만, 독특한 영적 체험을 통해 예수님과 하나가 되었습니다.

그는 당시 유대 전통과 그리스 철학에 근거하여 예수님을 새롭게 해석했습니다.
로마제국 각지에 흩어져 살던 유대인과 이방인들에게 그는 당시 사람들이 이해하기 쉬운 익숙한 언어와 비유로 ‘예수 사건과 의미’를 소개했습니다.

 

바울에 의하면 예수님의 죽음은 억울하고 안타까운 비극이 아니라 인간의 죄를 대속하기 위해 하나님께서 예정하신 구속사의 정점이며 죄와 악에 대한 영원하고 궁극적인 승리였습니다.
복음서보다 20여 년이나 앞서 기록된 바울의 이런 가르침은 일반 대중이 받아들이기에 더없이 쉽고 만족한 것이었습니다.
예수처럼 처절하게 살지 않아도 되었고, 다만 그분을 바라보며 그분에게 기대는 것으로 충분하였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은 이제 사람들이 ‘따라야 할 모범’이 아니라 ‘믿어야 할 대상’이 되었습니다.
예수님을 믿기만 하면 모든 죄가 사멸되고 구원을 받으며 죽음에서 부활하여 영원히 살게 된다는 것입니다.


이제 옛 종교의 무거운 율법은 사문화되었습니다.
유대인과 이방인, 남자와 여자, 성인과 유아 등 모든 차별도 예수님의 십자가 앞에서 모두 허물어졌습니다.
예수 그리스도 앞에 모든 사람은 완전히 평등하며 자유로워진 것입니다.
오직 그분을 믿기만 하면!

 

바울의 가르침은 사람들의 마음을 점차로 사로잡았습니다.
사람이 죽지 않고 영원히 살 수 있으며, 현실은 어두움으로 가득 차 있지만 저 하늘나라에서 주님 품에 안기면 그 모든 고통과 애곡과 눈물이 모두 사라질 것이라는 그의 가르침은 가난하고 힘없고 체제에 눌리고 착취당하며 살아가던 연약하고 가난한 민중에게 현실의 질곡을 넘어 삶에 소망을 불어넣어주는 최상의 복음(Good News)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사도 바울의 진의가 무엇인지에 대한 논란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그가 제시한 구원의 길은 “오직 그분을 믿기만 하면!”이었지만 그 믿음이 무엇을 뜻하는 지는 오늘날까지도 학계의 논쟁이 되고 있는 것입니다.
역사적으로 가장 압도적인 지지를 받아온 해석은 예수님의 대속과 구세주 되심을 믿어야 한다는 것이지만 그와는 매우 다르게 해석하는 학자들도 있습니다.

 

그들에 의하면, 사도 바울이 자신의 서신에서 강조한 ‘오직 믿음’은 당시에는 존재하지도 않았던 교리적 믿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종교적 정치적 속박을 뛰어넘어 자유와 해방을 선포한 ‘그분의 삶과 가르침에 대한 믿음’을 뜻하는 것이며, 그 믿음이 바로 이 세상의 온갖 핍박과 고난을 뚫고 하나님의 자녀로 살아갈 수 있도록 우리를 구원해 준다는 것입니다.

 

한국 교회가 이 해석에 반드시 귀를 기울여야 하는 이유는, (이 해석이 옳다면) 사도 바울이 ‘교리의 예수’가 아니라 ‘역사적 예수’를 정확히 인식하고 있었다는 점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4 보타니 언덕으로 가는 길에 오클랜드의 삶을 감사하고 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3.11.14 1106
423 ‘성서의 하나님’은 이삼천 년 전 고대인이 인식한 하나님 / 산들바람 나누리 2013.11.08 1058
422 우리가 펼쳐가는 우리의 사랑이 맑게 흐르는 강물이게 하옵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3.11.08 1093
421 묵상(나사렛 사람) mangsan 2013.11.03 1202
420 제가 만난 하나님 / 산들바람 나누리 2013.11.03 1151
419 봄에는 겸허한 인내를 배우게 하여 주옵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3.11.01 1062
418 종교개혁, 개혁(Reformation)인가? 변형(Deformation)인가? / 산들바람 나누리 2013.11.01 1102
417 계시록 1:1∼20 주 재림과 촛대교회 다림줄 2013.10.25 1354
416 우리가 사는 뉴질랜드의 희망을 위해 기도하게 하여 주옵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3.10.25 1324
415 ‘자기중심의 신앙’을 넘어 '하나님 중심의 신앙’으로 / 산들바람 나누리 2013.10.23 1087
414 우리에게 새로운 힘을 얻도록 마음에 위로와 평안을 주옵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3.10.23 1129
413 하나님은 택함 받지 못한 자에게 징벌을 내리시는가 ? / 산들바람 나누리 2013.10.20 1201
412 우리가 소금처럼 녹아지는 삶과 자신을 태워서 어둠을 비치는 촛불처럼 행하게 하옵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3.10.20 1123
411 하나님은 ‘선택된 자녀’에게 특혜를 베푸시는가? / 산들바람 나누리 2013.10.20 1096
410 우리 한인들의 아름다운 삶을 위해 기도하게 하여 주옵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3.10.19 1029
409 동정녀 탄생 / 정연복 나누리 2013.10.11 1497
408 주님. 오클랜드의 꽃길을 만끽하게 하여 주옵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3.10.09 1202
407 교회 다니기 싫으시면 다니지 마십시오./ 산들바람 나누리 2013.10.09 1249
406 오클랜드 봄의 속삭임을 들을 수 있게 하여 주옵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3.10.09 1019
405 받기를 바라는 신앙에서 누리는 신앙으로 / 산들바람 나누리 2013.10.07 1064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37 Next
/ 37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