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118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이번 목요일(9월 19일)은 우리민족의 고유 명절인 추석입니다.

 

명절이 다가오면 제사 문제로 인해 항상 마음이 편치 않다는 교우님들이 계십니다.

해마다 되풀이되는 고민이지만 교회가 적절한 지침을 제시해 주지 않거나 현실을 고려하지 않고 교리적으로만 다그치는 바람에 믿지 않는 가족들과 늘 보이지 않는 갈등에 휩싸여 명절이 다가올수록 기쁨보다는 두려움이 앞선다는 교우님들도 계십니다.

   

1. 제사문화에 대한 초기 천주교의 이해

 

제사문제는 기독교가 이 땅에 들어온 선교 초기부터 맞닥뜨린 풀기 어려운 숙제였습니다. 개신교보다 100여 년이나 앞서 우리나라에 들어온 천주교는 고인을 위해 음식을 차려놓고 절하는 우리의 전통문화를 이해하지 못하였습니다.

 

너희는 내 앞에서 다른 신을 모시지 못한다.”는 십계명의 첫 계명과, 너희는 위로 하늘에 있는 것이나 아래로 땅 위에 있는 것이나, 땅 아래 물속에 있는 어떤 것이든지 그 모양을 본떠 새긴 우상을 섬기지 못한다. 그 앞에 절하며 섬기지 못한다.”는 두 번째 계명을 어기는 것으로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2. 조상을 공경하는 것은 우상숭배가 아닙니다.

 

오랜 갈등 끝에 천주교는 일부 형식을 바꾸기는 했지만 우리의 제사제도를 아름다운 전통문화로 받아들이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아직도 우리 개신교회는 대부분 제사제도를 허용하지 않을 뿐 아니라 제사를 허락한 천주교회에 대해서 우상숭배를 한다고 비난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개신교회에서도 소수이지만 제사를 지내도 괜찮다고 가르치시는 목사님이나 신학자들이 계십니다.

 

그러면 왜 이렇게, 제사 문제가 교회마다 해석이 다르고 혼선을 빗고 있는 것일까요?

그것은 제사문화에 윤리적 성격과 종교적 성격이 섞여 있기 때문입니다.

생명을 이어주신 조상님을 기리고 감사하는 마음은 아름다운 효심임에 틀림없습니다.

부모를 공경하라는 성서의 가르침과도 맥을 같이 합니다.

 

그러나 우리의 전통 제사문화에는 종교적 의식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조상을 단지 존경하고 감사하는 차원을 넘어 여전히 그 인격이 혼으로 살아있고 제사를 잘 드려야 가문이 복을 받고 잘 살게 된다는 조상신 숭배의식을 포함하고 있기에 우리 교회와 교우님들이 받아들이기 어려울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이 문제도 달리 해석할 여지는 있습니다.

현대인들은 종교적 요소보다 윤리성에 더 많은 의미를 부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조상을 신으로 섬긴다는 의식은 점차 사라지고 효심에 근거해서 제사를 드리는 사람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는데, 이런 마음으로 드리는 제사는 우상숭배로 보기는 어렵다는 것이 제사제도를 긍정적으로 보는 신학자들과 목회자들의 견해입니다.

천주교회와 개신교회 일부에서 제사문화를 허용하는 것도 이런 관점에서 보기 때문입니다.

 

저 역시 제사문화를 그대로 긍정하고 받아들여도 문제가 없다는 입장입니다.

명절이나 기일에 조상님을 생각하고 마음으로 감사하며 드리는 절은 부모님이나 어른들께 세배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잠시 우상숭배의 개념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우상숭배의 사전적 의미는 ‘돌이나 나무 등으로 만든 신상에 절하고 비는 것’ 또는 ‘하나님 이외의 사람이나 물체를 신앙의 대상으로 섬기는 것’입니다.

이런 기초 개념을 바탕으로 우리 기독교가 이해해야 하는 우상숭배란 ‘하나님이 아닌 그 어떤 것을 하나님과 동등한 절대적 위치에 두고 의지하며 섬기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돈이나 권력에 절대 가치를 부여하고 그것을 얻기 위해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고 살아가는 현대인의 삶의 방식은 명백한 우상숭배입니다.

 

하여 우리가 진정으로 물리쳐야 할 우상은 ‘사람보다 돈을 더 중히 여기는 물질적 가치관과 삶’이며, 또한 ‘하나님의 생명의 말씀을 배타적인 교리와 문자 안에 가두어 이웃들의 삶의 방식과 문화를 무시하거나 부정하여 세상에 평화를 심기는커녕 오히려 갈등을 일으키는 독선적 신앙’입니다.

 

교회는 제사문화를 우상숭배라고 비난하기에 앞서, 독선적 배타 교리를 절대화하여 우리의 전통문화를 부정하는 것이 오히려 우상숭배가 아닌지 깊이 돌아보아야 하며, 조상님에게 절을 하는 행위 자체가 아니라, 입으로는 하나님을 찾지만 삶으로는 하나님을 멀리하는 우리의 삶의 방식에 대해 가슴을 치며 회개해야 한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3. 제사문화를 긍정하더라도 짚어볼 점은 있습니다.

 

기독교인이라도 우리의 제사문화를 존중하고 그 의미를 계승하는 것은 꼭 필요한 일이지만 이 문제와 관련하여 조심스럽게 건의하고 싶은 점이 있습니다.

조상님을 공경하는 전통예절의 내용은 보전하되 제사제도의 형식은 절대화하지 말고 현대사회에 맞게 좀 더 탄력적으로 적용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기 때문입니다.

 

제사제도의 형식을 그대로 계승하려면 음식 장만에 따르는 경제 비용도 만만치 않고 무엇보다 여성에게 집중되는 과도한 노동문제를 해결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남성들에게는 즐거운 명절이 여성들에게는 중노동이 되는 현실은 사회의 주도권을 쥐고 있는 남성들에 의해 애써 외면당하고 있는 불편한 진실입니다.

하나님께서 과연 이런 불균형을 기뻐하실까요?

 

남성들만의 명절 또는 어린아이들만의 명절이 아니라 모두가 다 같이 즐기는 명절로 보낼 수는 없을까요?

그러기 위해서는 명절에 발생하는 노동문제를 여성과 남성이 함께 지는 것부터 실천해야 하겠지만, 노동의 양을 줄이고 가족이 다같이 모여 충분히 대화하며 즐길 수 있는 명절로 분위기를 바꾸어갈 필요가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제사제도의 형식을 좀 더 간소하게 바꾸고 다른 형식의 추모방식을 함께 허용해도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런 점에서 우리 기독교에서 드리는 추도예배도 하나의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사제도를 우상숭배로 거부하는 배타적 외래문화로서의 추도예배가 아니라, 형식은 바꾸더라도 조상님께 감사하고 공경하는 옛 제사의 아름다운 미풍양속을 내용으로 계승하는 추도예배라면 훌륭한 대안문화의 하나로 인정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결국 전통문화로서의 제사의례와 지금까지 교회에서 장려해온 추도예배 중에서 교우님들이 자유롭게 선택해도 문제될 것이 없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추도예배를 무가치한 외래문화로 규정하고 제사제도만 옳다고 주장한다든가, 전통적인 제사의례를 우상숭배로 규정하고 추도예배만 옳다고 주장하는 것은 극복해야 할 문화적 배타주의라고 생각되기 때문입니다.

 

차제에 우리 한국 교회가 민족의 전통문화와 기독교문화를 모두 긍정하고, 교우님들로 하여금 각 가정의 특색에 맞게 선택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면, 명절 때마다 반복되는 가족간 갈등을 해소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4. 교회의 대승적 결단을 기대합니다.

 

이제는 깨어있는 교회 지도자들이 용기를 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제사제도를 전통문화로 존중하는 목회자와 신학자들이 목소리를 내기 시작하면 이로 인해서 한국 교회 안에 새로운 갈등이 일어날 수도 있겠습니다.

 

하지만 갈등이 반드시 나쁜 것은 아닙니다.

교회가 사회의 존경을 받는 공동체로 거듭나려면 창조적 갈등을 두려워하지 않는 책임 있는 목사님들이 많아져야 합니다.

 

그동안 교회는 배타적인 교리로 인해 본의건 본의가 아니건 우리 사회와 이웃종교에 무례가 되는 일을 너무 많이 해왔습니다.

지금이라도 그동안 교회가 전통문화를 무시하거나 부정한 행위에 대하여, 또한 이웃종교를 존중하지 못하고 배척할 뿐 아니라 심지어 물리적 위해를 가한 모든 잘못에 대하여 우리 사회와 이웃종교에 진정으로 사과하고 화해의 손길을 내밀어야 합니다.

 

또한 이 문제로 적지 않은 마음고생을 하고 계시는 교우님들은, 제사와 추도예배 중에 어느 것이 자신의 가정에 적절한 지 충분히 검토하여 아무 두려움 없이 편한 마음으로 선택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조상님들을 기리며 예를 표하는 아름다운 전통은 내용으로 계승하되, 추모 형식에 대해서는 가족회의를 거쳐 각 가정의 상황에 맞는 방식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가족과 친지간 화목을 꼭 이루어주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그리하여 대가족이 함께 모이는 명절에 지금까지 겪어왔던 문화충돌이 극복되고 기쁨과 행복이 가득 넘치는 명절로 보내게 된다면, 가정에서부터 평화를 이루어가는 우리의 선택에 대해 우리 하나님 아버지께서도 크게 기뻐하실 것이라고 저는 믿습니다.

 

추석을 맞이하여 교우님들 가정에 우리 하나님께서 베푸시는 은총과 만복이 함께 하기를 기도드립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4 ‘사람의 아들’ 예수 / 산들바람 나누리 2013.09.26 1096
383 주님, 어디에 계십니까. 제임스앤제임스 2013.09.25 1253
382 ‘성서무오설’ 이라는 오래된 교리는 재검토하여 교정되어야 / 산들바람 나누리 2013.09.24 943
381 우리가 하나님의 훈련하심을 믿게 하여 주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3.09.24 981
380 성서의 권위를 존중하되 합리적 해석을 해야 / 산들바람 나누리 2013.09.23 1000
379 오클랜드에 사는 한인들은 서로가 사랑을 베풀며 살아갈 수 있게 도와 주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3.09.23 1190
378 성서는 시대의 산물이며, 고백의 언어 / 산들바람 나누리 2013.09.22 1274
377 세상의 물질에만 집착하는 영광을 버릴 때 축복을 받게 하여 주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3.09.22 1064
376 봄꽃에 봄비가 내리는 한인들의 사랑이 되게 하여 주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3.09.22 1012
375 성서는 사람의 책인가, 하나님의 말씀인가 ? / 산들바람 나누리 2013.09.20 997
374 낙망한 사람들을 격려하게 하여 주옵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3.09.19 1182
373 삶 자체가 소중하기에 / 산들바람 나누리 2013.09.19 996
372 추석날 아침에 이민생활의 성숙한 모습으로 삶 속에서 주님을 닮게 하여 주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3.09.19 1126
371 오클랜드에서 우리의 고운 모습만 남아 있게 하여 주옵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3.09.18 982
» 존중되어야 할 차례와 제사 문화 / 산들바람 나누리 2013.09.18 1185
369 모두가 풍성한 추석을 맞이하고 기쁜 계절이 되게하여 주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3.09.18 961
368 깨달음의 가장 첫 발현은 회개 / 정강길 나누리 2013.09.15 893
367 우리의 기도가 중요한 이유가 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3.09.15 1044
366 하나님께서 주신 삶의 향유 / 산들바람 나누리 2013.09.14 1018
365 하나님께서는 우리의 필요를 공급해 주실 것입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3.09.13 1140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37 Next
/ 37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