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82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정강길  / 세계와 기독교 변혁연구소  연구실장


누구든 좋으니 성경이 완전무오하다고 보는 사람이 있으면, 이러한 오류와 불일치들에 대해서 제발 좀 온전한 설명들을 해보십시요.

보수진영의 캡짱 석학이 나와서 나와 공개토론을 해도 좋습니다.

 

이러한 온갖 오류와 불일치의 사례들은 위에 언급한 것 외에도 너무나도 많아서 일일이 나열하기조차 힘들 정도입니다.

 

만에 하나 우리가 이를 제대로 설명해내지 못한다면 우리는 일단 성경에도 오류가 있다는 사실만큼은 겸허히 받아들여야 함이 마땅한 것이고, 정직한 태도일 것입니다.
이 사실을 도무지 받아들이기는 싫다고 한다면 ‘무조건 믿어라’의 기독교로 전락하던지!

 

원컨대, 이러한 성경에 대해 제발 좀 솔직하게 대할 것을 권합니다.
이것은 우리가 하나님을 제대로 믿기 위한 그 출발입니다.

 

혹자는 이런 오류들에 대해 설명하기 힘들기 때문에 ‘원본무오설’을 주장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내가 지금 지적하고 있는 것은 우리가 지금 손에 들고 있는 성경의 오류를 말한 것입니다.

 

여기서 갑자기 원본을 거론하는 것은 핀트가 어긋난 것이며, 역사적으로 원본이 발견된 사례도 없습니다.

이런 얘긴 논증 불가능한 것을 끌어들여 물타기 하려는 시도일 뿐입니다.

 

생각해보시오.  그렇다면 원본무오설은 적어도 사본오류설만큼은 인정한다는 얘기입니까?

 

혹자는 성경의 불일치와 모순은 그저 성서기자들 진술의 차이일 뿐이라고 말합니다.

 

예컨대, 예수 사건 하나를 두고 마태와 누가가 일치하지 않는 것은 서로가 보는 강조점의 차이라는 것입니다.

물론 이런 차원이 있음은 저 역시 당연히 염두에 두고 있는 바입니다.

하지만 정작 저 자신이 지금 들먹이고 있는 지점은, 한 사건에 대한 양립 불가능한 두 진술에 대한 지적들입니다.

 

이를테면,

마태복음의 예수는 적어도 헤롯왕이 죽기(B.C. 4년) 전에, 반면에

누가복음의 예수는 구레뇨 총독 때(A.D. 6년) 태어난 것으로 되어있다.

무려 십 년이 넘는 시간 차이가 있다.

 

 마태복음에 따르면 예수는 베들레헴에서 이집트로 그리고 최종적으론 나사렛으로 간다.

그런데 누가복음에 따르면 요셉과 마리아는 이미 나사렛 사람들이었고(눅 2:39), 잠시 베들레헴에 들려서 다시 나사렛으로 돌아오는 걸로 나온다.

 

이때 마태복음의 예수는 태어나자마자 곧 이집트로 피신가지만,

누가복음의 예수는 태어나자마자 여드레 만에 할례를 받았고, 40일 후에는 예루살렘 성전에서 봉헌된다.

 

어떻게 한 인물이 동시에 전혀 다른 두 시간과 두 공간에 공존할 수 있단 얘긴가?

두 번 태어났단 얘긴가?

 

혹자는 이렇게 말할 지도 모르겠습니다.

성경에 이러한 오류가 있긴 하지만, 하나님의 말씀은 근본적으로 오류가 있지 않다고.
물론 궁극적으로는 나 역시도 그렇게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작 지금의 관건은 성경에 오류가 있느냐 없느냐 하는 이 문제부터 우선 확실하게 먼저 짚고 나가려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지금까지 보수 근본주의 기독교에서 금이야 옥이야 지켜왔던 성서무오설이 정말로 틀린 것이라면, 그렇다면 오히려 성서오류설이 맞느냐? 라고 내게 반문할 것입니다.
분명하게 답한다면 “그렇습니다”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4 교리 기독교가 교회를 지배하는 어둠의 시대 / 산들바람 나누리 2013.06.18 1004
463 실종된 “ 역사적 예수 ” / 김준우 교수 나누리 2013.06.18 759
462 하나님은 무엇인가 ? / 산들바람 나누리 2013.06.18 912
461 우리가 겸허한 아버지들이 되게 하여 주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3.06.18 869
460 이웃사랑으로 이어지지 않는 하나님 사랑은 사악한 위선/산들바람 나누리 2013.06.18 1011
459 복음의 원형은 하늘의 뜻을 땅에 이루려는 예수운동 / 산들바람 나누리 2013.06.18 935
458 신앙과 이성 / 김흡영 교수 나누리 2013.06.18 908
457 주님께 눈물로 간구하는 우리들입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3.06.20 962
456 실종된 인간예수를 어떻게 찾을 것인가? / 김준우 교수 나누리 2013.06.20 894
455 기다리시는 아버지 / 산들바람 나누리 2013.06.20 832
454 여전히 큰아들의 신앙과 삶을 살고 있는 우리들 / 산들바람 나누리 2013.06.20 833
453 이민생활에서 한인들을 서로 감싸주고 아끼며 살게 하여 주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3.06.24 940
452 영광의 왕, 여호와 ! / 산들바람 나누리 2013.06.24 948
451 궁궐과 동굴에 갇힌 신앙인 / 김경재 교수 나누리 2013.06.24 822
450 칼과 창 대신에 보습과 낫을.../ 산들바람 나누리 2013.06.26 803
449 한인들이 새로운 힘을 얻도록 마음에 용기와 위로와 평안을 주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3.06.26 1767
448 그리움에 기도합니다. 느티나무 2013.06.28 868
447 성령은 하나님의 말씀이 있는 곳에 임하십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3.07.01 1092
446 교회의 예수와 역사적 예수의 사이에서.../ 김준우 교수 나누리 2013.07.02 976
445 '하나님의 말씀' 과 '인간의 언어' / 정강길 나누리 2013.07.02 890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37 Next
/ 37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