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72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정연복     한국기독교연구소 편집위원


시인은 자연의 변화에 민감하다. 하지만 시인은 자연의 아름다움에 주책없이 빠져들지는 않는다.
시인의 눈에는 ‘자연’과 ‘인간’이 마냥 겹쳐 보인다.

 

‘산에 들에 나물 캐는 처녀가 없다면’, ‘마을 앞에 개나리꽃 피고 뒷동산에 뻐국새’ 운들 무슨 소용이 있으랴.

 

‘산에 들에 쟁기질에 낫질하는 총각이 없다면’, ‘시냇가에 아지랑이 피고 보리밭에 종달새’ 지저귄들 무슨 소용이 있으랴.

 

‘나물 캐는 처녀’와 ‘쟁기질하는 총각’, 즉 ‘자연에 가하는 인간의 노동이 있기에’ 비로소 산도 있고 들도 있고 꽃 피고 새가 우는 봄도 있는 것을….

 

 

청년 예수도 그렇다.

예수는 하늘을 맴도는 ‘참새’에 잠시 눈길을 준다.

하지만 예수의 시선은 곧바로 참새 너머 인간에게로 향한다.

 

그렇게 하찮은 ‘참새 한 마리’도 ‘아버지께서 허락하지 않으시면 땅에 떨어지지 않는’ 법이거늘, 그렇다면

 

 “아버지께서는 너희의 머리카락까지도 낱낱이 다 세어 두셨다.

그러니 두려워하지 말라.

너희는 수많은 참새보다 훨씬 더 귀하다”고 인간 생명의 존엄을 노래한다(마 10:29~31).

 

예수는 어느 안식일에 굶주린 제자들과 밀밭 사이를 지나다가 서슬 시퍼런 안식일 금지조항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밀 이삭을 싹둑 잘라먹는다. 예수의 이런 행동에는 조금도 머뭇거림이 없다.

 

 “안식일이 사람을 위하여 있는 것이지, 사람이 안식일을 위하여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막 2:23~28).

 

배가 고프면 뭐라도 먹어야 하는 인간의 타고난 권리, 민중의 신성한 생존권을 억누르는 법이나 제도를 예수는 가차 없이 깔아뭉갠다.   

 

이렇듯 예수의 사고의 중심에는 ‘사람’, 노동하는 사람, 땀 흘려 일해도 제대로 사람 대접을 받지 못하는 민중이 자리 잡고 있다.

 

예수는 이 노동하는 민중의 시각으로 자연과 사회와 역사를 바라보고 평가한다. 예수는 민중 위에 군림하는 모든 권력과 제도와 종교와 이데올로기에 힘차게 맞서 싸운다.      

    

예수는 사람들의 감탄을 절로 자아내는 웅장한 건물들로 이루어진 예루살렘 성전 헌금궤에 가난한 과부가 자신의 생활비 모두인 랩톤 두 개를 바치는 모습을 가만히 지켜보면서 가슴이 찢어진다.

 

그래서 예수는 민중의 고혈을 짜내는 성전 체제를 무너뜨리고야 말리라고 비장한 결의를 다진다. (막 12:41~13:2).

 

그리고 결국 예수는 성전 체제에 도전했다는 이유로 십자가에 처형된다.

 

예수가 십자가에 달린 것은 하나님이 태초에 예정하신 인간 구원 드라마의 각본에 따른 것이 아니라, 민중의 인간적 권리 회복을 위한 끊임없는 투쟁의 불가피한 귀결이었다.

 

예수운동을 종교적 관점에서만 해석하려 드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그 운동은 참된 ‘인간의 나라’를 소망하는 민중 예수와 민중들이 협력해서 이루어가는 ‘노동’,

역사의 추운 겨울을 역사의 따스한 봄으로 변화시키는 ‘노동’이다.

 

말과 기도만이 아니라 몸으로 행동으로 싸움으로 밀어붙이는 ‘노동’이다.

 

고장 난 역사의 수레바퀴를 올바른 궤도에 올려놓기 위해 죽을 각오로 대드는 ‘사회적 노동’이며  ‘역사적 해방실천’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24 성경공부를 자유롭게 하실 수 있는 공간입니다 서머나 2018.11.15 93
723 성경공부를 하실 수 있는 공간입니다 서머나 2018.04.07 106
722 신앙에세이 : 주님, 우리 크리스챤들이 잘 빠지게 되는 세상의 병들을 치유하여 주옵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8.05.05 115
721 신앙에세이 : 주님. 우리의 아내들은 자신들처럼 남편들을 존경할 것입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8.05.18 117
720 성경공부를 하실 수 있는 공간입니다 서머나 2018.10.19 122
719 오클랜드의 한인들에게 크리스마스 축복이 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8.12.07 123
718 신앙에세이 : 주님, 우리가 수시로 기도하면 하늘의 창이 열렸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8.04.06 124
717 신앙에세이 : 주님, 우리 크리스챤들이 종종 왜 기도하지 못하고 있음을 용서하여 주옵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9.07.22 127
716 신앙에세이 : 우리 크리스챤들이 주님과 동행하면 오클랜드의 삶이 사랑으로 행복해지는 것입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8.12.15 128
715 신앙에세이 : 주님, 우리 크리스챤들이 누구든지 존경과 겸손을 드러내고 소중한 마음을 갖도록 도와 주옵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9.02.01 128
714 신앙에세이 : 주님, 우리 크리스챤들이 매일 하나님께 드리는 기도가 오직 문안인사가 아님을 알았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8.10.06 132
713 신앙에세이 : 주님. 오클랜드의 생애를 성경대로 정말 신명나게 살겠습니다. 1 제임스앤제임스 2016.03.18 133
712 신앙에세이 : 우리 크리스챤들이 하나님을 향한 배신은 불행을 자초하는 것과 같았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8.06.16 133
711 신앙에세이 : 주님, 우리 크리스챤들은 그리스도와 함께하는 인내로 살아 갈 수 있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8.11.16 134
710 신앙에세이 : 주님. 2016년도에도 우리의 소망대로 살 수 있게 도와 주옵소서. 1 제임스앤제임스 2016.02.18 135
709 신앙에세이 : 우리 한인 크리스챤들은 하나님의 능력을 맛보기 위해 5가지의 기도가 필요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8.11.03 135
708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 크리스챤들은 어떤 환경이라도 꼭 승리하실 것임을 믿고 살겠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9.06.10 137
707 신앙에세이 : 주님. 이곳 오클랜드에서 매일의 일들이 바로 기도하게 해주는 동기들이 있음을 깨달았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6.06.05 139
706 신앙에세이 : 주님. 우리는 참 크리스챤들의 믿음에 대한 기준과 평가를 깨달았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8.08.03 140
705 우리는 예수님의 이름에서 부끄럽지 않고 피할 필요가 없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11.08 14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7 Next
/ 37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