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도그마의 예수”를 다시 그 원천인 “역사적 예수” 위에 근거하도록 ...

                                                     
  김준우 한국기독교연구소 소장 / 전 감신대 교수

교회가 당면한 쇠퇴의 위기와 사회적 신뢰성의 위기가 전세계적인 기독교의 몰락 위기와 같은 맥락에 있으며, 그 근본원인은 예수의 실종 때문인 것으로 보고, 오늘날의 탈기독교 상황, 나아가 제2 차축시대라는 종교문화사적 맥락에서 “도그마의 예수”를 다시 그 원천인 “역사적 예수” 위에 근거하도록 하기 위해 역사적 예수 연구의 필연성을 강조했다.

특별히 한국의 일반적 교육수준이 높아감으로써 점차 증가하는 “유배당한 신자들”을 위해 역사적 예수 연구는 현재 한국교회가 당면한 위기를 극복할 매우 중요한 대책이 될 수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그러나 역사적 예수를 찾았다고 문제가 모두 해결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마지막 문제는 로버트 펑크가 시사한 것처럼, 앎이 아니라 삶의 문제로서 결단과 실천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역사적 예수 연구가 한국의 교인들에게 던지는 물음들은

(1) 예수가 당시의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도, 오로지 하느님의 영에 사로잡혀 하느님의 성품과 속성을 온몸으로 살아냄으로써, 그를 만났던 사람들이 그의 철저한 삶과 희생을 보고 그를 “하느님의 아들”이라고 고백할 수밖에 없도록 만들었던 것처럼, 우리들도 어떻게 하느님의 영에 사로잡혀 얼마나 철저하게 예수의 가르침과 전략을 실천함으로써 그의 제자들이 될 것인가 하는 실존적인 문제,

(2) 근본주의적인 경향이 강한 한국교회에서 살아남기 위해 역사적 예수 연구와 그 종교문화사적 의미를 외면한 채, “주님의 신전에서 신학적 환관(宦官)”으로 남을 것인가, 아니면 예수처럼 십자가를 지는 일이 있더라도 이 시대에 하느님의 뜻을 분별하고 창조적 변혁을 이루어 가는 자유인의 긴장 가운데 살아갈 것인가 하는 실존적 문제,

(3) 비록 한국사회의 일반적 교육수준이 높아감으로써 상황이 많이 변하기는 하겠지만, 사람들의 믿음은 쉽게 변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할 때, 여전히 역사적 예수 연구의 파격적인 결과들을 어떻게 기독교인들의 관습적 신앙의 예수,

즉 신화적이며 초자연적인 “교회의 예수,” 그 “도그마의 예수”와 접목시킬 것이며, 어떻게 그 “도그마의 예수” 배후에 있었던 종교체험을 직접 구체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인가 하는 목회신학적 문제, 그리고

(4) 사회경제적 상황이 더욱 악화될수록 상극(相剋)의 관계 속에서 폭력이 심화될 가능성이 크며, 그럴수록 관습적 신앙과 “복종의 영성” 속에서 마음의 안정을 얻고자 하는 신자들에게 어떻게 예수가 요구하는 주체적이며 체제 비판적인 신앙을 가르치며, “예수의 삶 속의 기저음(基低音)이었을 뿐 아니라, 한반도의 사람들의 피 속에도 면면히 이어져 온 영성적 전통”인 상생(相生)의 영성, 즉 “타자를 지성으로 포용하는 일에 한결같은[중심있는] 상생적 삶”을 어떻게 구체화할 것인가 하는 교육 방법론의 문제이다.
----------------------------------------------------------------------------------------------------------------------------------------
이 글로써 김준우 교수의 ' 한국교회의 쇠퇴 위기와 세계적인 탈기독교 시대에 역사적 예수 연구의 필연성'을 중심으로 한 "역사적 예수 담론의 종교문화사적 의미 " 를 마칩니다.
그동안 애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본래의  목차는 다음과 같으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은 제가 글을 올린 날짜입니다.

1. 교회의 예수와 역사적 예수의 접목 (6/11)
2 정신분열증 신자들과 유배당한 신자들 (6/12)
3. 실종된 역사적 예수 (6/17)
4. 실종된 인간예수를 어떻게 찾을 것인가 ? (6/ 19 )
5. 교회의 예수와 역사적 예수의 사이에서...( 7/1)
6 도그마의 예수를  역사적 예수위에 근거하도록...(7/2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4 우리의 겸허함을 보이게 하여 주옵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3.12.28 1072
283 그대 곁의 예수, 그대 안의 예수 / 정연복 나누리 2013.12.28 1179
282 Celebrate In Auckland. 오클랜드에서 경축하게 하옵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3.12.29 1583
281 우리가 다시 맞은 새해를 신성하게 맞이하게 하여 주옵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3.12.31 1244
280 제임스의 세샹이야기 : 우리의 소망들이 함께하는 새해를 기원합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4.01.03 1274
279 해, 달, 별같이 / 정연복 나누리 2014.01.03 1445
278 영원한 불씨하나 심어주소서 parkyongsukyong 2014.01.04 1293
277 삶의 가치로 우리와 친구를 맞이하고, 이 모두가 우리의 마음에 진솔해졌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4.01.06 1379
276 주님. 우리 모두가 행복한 동행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4.01.10 1124
275 신앙에세이 : 새해에는 우리에게 자신을 버릴 수 있는 참지혜와 참용기를 주옵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4.01.11 1412
274 주님. 여름날에 마음을 비우고 살아 갑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4.01.23 997
273 Lord we come to you. 주님 앞에 나왔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4.01.24 1185
272 신앙에세이 : 주님. 우리를 이렇게 사랑하고 계신 줄을 정말 몰랐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4.01.24 1184
271 여름의 축복을 찬미하며 하루를 열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4.01.25 1079
270 God's Miracles : 하나님의 기적이 시작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4.01.28 1163
269 주님. 열정의 늦여름 사랑이 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4.02.01 1104
268 주님. 오늘은 희망찬 오클랜드의 새벽의 문을 엽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4.02.03 1124
267 우리의 기도로 친구들의 영육에 있는 고통과 아픔이 치유되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4.02.07 1102
266 신앙에세이 : 보타니 새벽길에 과거를 되돌아 보며 회개하고 기도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4.02.08 1062
265 신앙에세이 : 우리 한인들에게 오클랜드의 세상을 살아가는 최고의 겸손의 능력을 주옵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4.02.22 967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37 Next
/ 37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