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79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뿌리 깊은 편견과 고정관념들 
                             

                                                   ~ 진화론 = 무신론  ~  
                                                                   

                                                                 정강길 / 세계와 기독교 변혁연구소  연구실장

대부분의 보수 근본주의 신앙인들에게는 다음과 같은 유형의 뿌리 깊은 잘못된 고정관념이 있다. 워낙 뿌리 깊은 고정관념이라서 흔히 곧잘 나오는 생각들이다.
그리고 이에 대한 깊고도 올곧은 고찰을 한국교회 현장에서는 매우 찾아보기가 힘든 현실이다.

많은 보수 기독교인들은 진화론을 흔히 무신론적인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그래서 진화론을 주장할 경우 하나님을 부정한다고만 생각한다. 그러나 이것은 잘못된 편견일 뿐이다. 진화론은 결코 무신론도 아니고 유신론도 아니다.

 

진화론은 생명의 궁극적 기원이 아닌 그저 생명의 발생과정에 대해 말할 뿐이다. 생명의 기원은 이미 과학의 한계 지점을 넘어선 얘기다.

 

누군가가 말하길, “빅뱅 이전은 종교이며 빅뱅 이후는 과학”이라고도 했었듯이 종교와 과학은 서로 상호보완적이지 서로 적대적인 충돌을 갖는다고 보질 않는다.

진화론은 이미 세계 안에 발견된 모든 생물학적 지질학적 물리적 데이터들을 근거로 하여 생명의 발생과정들을 추적할 뿐이다. 물론 그것은 가설일 것이다.

어차피 모든 과학의 언술들도 가설일테지만. 하지만 그것은 가장 설명력이 높은 가설을 추구한다. 간단히 무시될 수 있는 그런 게 아닌 것이다.

 

이미 신학계 안에도 진화론이 들어와 있다. 이를 <유신론적 진화론>이라고도 부른다.

특히 떼이야르 샤르뎅의 신학사상은 지금까지도 그에 대한 가장 좋은 사례로 남아 있다.

물질의 우연적인 진화는 필연적인 하나님의 섭리와 맞물려 있다는 점이다.

진화론은 이제 유전학의 차원에까지 와 있다.

창조론은 과학이라기보다 성서문자주의 입장을 이미 전제한 채 과학을 거기에 끼워맞춘 것뿐이다.

따라서 그것은 과학도 아닐만큼 매우 뒤틀려 있으며, 한국에선 창조과학회가 이를 주도적으로 저지르고 있는 실정이다. 

 

                    " 솔직하고 건강한 합리성에 기반한 기독교를 위하여 !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04 예수님은 평화가 아니라 칼을 주러 오셨다 ? / 산들바람 나누리 2013.04.29 1102
503 성경해석의 바른 길을 찾아서 1 / 김경재 교수 나누리 2013.04.29 656
502 성경해석의 바른 길을 찾아서 2 / 김경재 교수 나누리 2013.04.29 827
501 성경해석의 바른 길을 찾아서 3 / 김경재 교수 나누리 2013.04.29 771
500 은혜로운 가정예배를 드릴 수 있도록 허락하여 주시옵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3.04.30 2195
499 우리의 이민생활을 위한 기도를 들어 주시옵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3.05.05 957
498 이제는 우리가 하나님을 만나서 동행할 때입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3.05.05 795
497 세상 사는 동안에 서로가 행복이게 하여 주시옵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3.05.09 909
496 주님을 기쁘시게 할 수 있는 삶으로 인도하여 주시옵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3.05.09 963
495 나는 하나님께 기도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3.05.10 814
494 성서의 두얼굴 / 산들바람 나누리 2013.05.12 649
493 오클랜드 한인회를 위해 서로 기도를 드리게 하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3.05.12 796
492 새벽을 여는 아침의 기도를 드리게 하여 주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3.05.13 1199
491 역사적 예수 ( Historical Jesus) ? / 김준우 교수 나누리 2013.05.13 801
490 역사적 예수와 예수 살기 / 김준우 교수 나누리 2013.05.13 880
489 역사적 예수, 실존인가 신화인가 ? / 산들바람 나누리 2013.05.15 1027
488 역사적 예수는 교리적 배타와 독선을 용납하지 않는다 / 산들바람 나누리 2013.05.15 939
487 주님, 더욱 사랑하며 살겠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3.05.17 782
486 역사적 예수 와 신화적 예수 / 정연복 나누리 2013.05.18 961
485 나는 왜 예수를 그리스도로 고백하는가 ? / 정연복 나누리 2013.05.18 921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37 Next
/ 37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