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134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7-16

▶ 14일의 겨울 강풍으로 전기가 끊겼던 타라나키의 대부분의 주택들의 전기가 복구됐습니다.

시속 140km에 이르는 바람은 나무들을 쓰러트리며 160 개 이상의 전선이 끊겼습니다.

파워코 네트워크 사의 필 마쉬 운영 매니저는 현장 직원들이 어려운 환경에서 전기를 복구 시키기 위해 쉬지 않고 일을 했다고 언급하면서.

타라나키의 대략 500 여동의 주택이 전기 공급이 되지 않고 있으나 대부분이 곧 복구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14일 오후의 강한 바람은 또한 왕가누이 와 주변 지역의 2500 동의 주택의 전기를 끊었으며, 눈은 주말에 걸처 타아하페에 전기를 두절 시켰습니다.

 

육류와 목재를 포함한 화물 운송을 위해 사용되는 팔머스톤 노스 와 네이퍼 사이의 철도선이 단네벌케 근처의 지반이 유실되어 여러 날 동안 불통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 철도는 가족 농장을 통과하고 있으며 나흘 동안의 비로 30m 정도의 철도지반이 유실돼 농장 주들은 키위레일에 신고를 했습니다.

이 두 도시간을 하루에 4번을 운행하는 이 철도 노선은 육류와 목재 펄프를 포함한 수출품과 다양한 지방 화물 들을 운송하고 있습니다.

키위레일은 대체 운송을 위해 고객들과 밀접하게 일을 하고 있다고 말했으나 이 철도 선이 언제까지 복구 될는지는 확실하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전직 뉴질랜드 지방정부 장관 이었던 피터 윈더 씨가 크라이스트처치 시티 카운실의 컨센트 위기와 토니 마리야타 행정 장관이 카운실 내에서 행했던 역할에 대해 독립적인 조사를 수행할 예정입니다.

크라이스트처치 시티 시의원들은 밥 파커 시장이 지적했던, 완료되는 데 한달 이 소요될 조사에서 고려 되야할 사항을 결정하기 위해 어제 아침 두 시간 동안 회의를 가졌습니다.

이러한 조사가 완료될 때까지 매리야트 씨는 유급 휴가 상태로 남아있게 됩니다.

매리야트 씨는 컨센트 위기의 심각성이 소극적으로 다루어지고, 중요한 정보들이 전해지지 않는 것 등이 시의원들에게 명백해 진후 이달 초 유급 휴가상태에 들어갔습니다.

매리야트 씨는 그 이후로 공개적인 언급을 안하고 있으나, 파커 시장은 어제 아침 자신이 이 조사에 전적으로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조사는 $40,000 에서 $50,000 사이의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어제부터 시행되는 복지수당 수혜자들에 대한 법률의 엄격한 시행으로 10억 달러를 저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정부는 말했습니다.

파울라 베네피트 사회개발부 장관의 근본적으로 다른복지 개혁은   뉴질랜드의 복지 시스템 개편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많은 변경 내에서 구직자들은 만약 그들이 마약복용을 끊지 않는 다면 수당 삭감의 위험을 가지게 됩니다.

다른 변경사항들로서 가사노동 수당, 질병수당, 실업자 수당은 더 이상 존재 하지 않으며, 질병 수당은 생활비 보조금으로 대체됐습니다.

베네피트 장관은 이것은 수십만 명의 뉴질랜드인들 에게 커다란 변화이며 수당 절약금이 10억 에서 16억 달러 사이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빌 잉글리쉬 부 수상도 TV ONEBreakfast 프로에서 정부가 너무 자주 사람들의 은행 계좌에 돈을 지불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오클랜드 빈곤에 대한 행동 그룹은 이러한 개혁은 국가에 의존하는 수십만 명의 어린이들과 성인들에게 잔인한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크라이스트처치에서 오염된 지진 철거 쓰레기를 버린 회사들에게 기록적인 벌금이 부과됐습니다.

어제 공표된 결정에서, 켈라 판사는 캔터베리 그린웨스트 프로세서, 코트 아이랜드 홀딩 사에, 코트 아일랜드 부지에 통로를 만들기 위해 5000 m3 의 오염된 쓰레기를 받아 쏟아버린 혐의로 $153,625 의 벌금을 부과했습니다.

이 쓰레기는 캔터베리 그린 웨스트 프로세서 에 의해 코트 아일랜드 홀딩 소유의 한 농장 부지의 농장 통로를 만들기 위해 운반됐습니다.

캔터베리 환경청 직원들은 작년 3 21일 이 부지를 조사했었으며

10m 폭의 1 km 길이 농장 통로길이 0.5 m 두께의 오염물질이 걸러 지지 않은 혼합된 철거 폐기물로 형성된 것을 발견했습니다.

켈라 판사는 $153,625 의 벌금과 $13,569 의 법정 비용을 부과했으며 이런 형태의 벌금은 캔터베리에서 기록적인 금액이며 각 당사자들에게 분리 부담됩니다.

 

한 조사 연구는 뉴질랜드인들이 그들로 하여금 고립 감을 느끼게 하고 사회경제적인 차이를 넓히면서 그들의 지역 공동체와 접속하는 데 실패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우리 이웃들과의 단절된 느낌은 사람들의 복지에 대한 국제적인 리스트 에서 뉴질랜드를 꼴찌에서 네 번째인 하위권으로 침체 시키고 있습니다.

키위들은 국제적인 규모의 개인과 사회 복지에서 하위권으로 평가됐습니다.

최초의 소버린 복지 지수는 뉴질랜드인들의 복지가 다른 나라들과 비교해 놀랄만큼 낮은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지표는 GDP 와 같은 경제 지표들을 통해 국가의 성공을 측정하는 한 대안으로서 소버린 사와 협력관계인 AUT 대학의 휴맨 포텐셜 센터 에 의해 개발됐습니다.

이 연구는 뉴질랜드가 복지 순위 에서 평균 에 훨씬 못 미치는 놀랄만한 결과를 내 놓았습니다.

같은 방법을 사용한 22개의 유럽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뉴질랜드는 시종일관 개인과 사회 복지에 있어 거의 하위권을 기록했으며 상위권인 스칸디나비안 국가들에 훨씬 뒤떨어졌습니다.

뉴질랜드는 전체적인 복지 순위에서 항가리, 불가리아, 우쿠라이나 에 이어 바닥에서 네번째를 차지했으며

노르웨이, 스위스, 덴마크가 각각 상위 3위를 차지했습니다.

▶ 오클랜드의 교통 계획에 필요한 자금을 충당하기 위해 운전자들에게 요금을 징수하는 방법이 논의되고 있습니다.

 

두 가지 요금 징수 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며 두 방법 모두 세금과 유류세의 인상을 가져올 것으로 보입니다. 첫 번째 제안은 세금과 유류세의 큰 폭 인상입니다. 두 번째 제안은 세금과 유류세를 소폭 인상하며 도로 사용료를 부과하는 것입니다. 두 가지 제안 모두 정부의 기금와 공공 교통요금의 인상이 필요합니다.

 

오클랜드시는 도시 철도, 와이테마타 하버 연결과 같은 도시의 교통 계획에 12억달러가 부족하며  세금 납부자들로부터 적어도 일년에 4억 달러를 충당하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17명으로 구성된 think tank 는 보고서에서, 어느 제안도 추천하지 않고 있으나 2015년까지 결정을 내릴 것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브라운 시장은 현재까지 페이스북에서 대다수의 오클랜드 시민들이 두 번째 제안인 도로세 징수를 선호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보고서는 도로세 징수 규정으로는 일방통행 요금 징수와 모토웨이 네트워크에 부과 방법이 가장 유력하다고 전했습니다.

 

보고서는 이러한 제안들의 실행에 앞서 공공 교통수단의 증가와 도보, 자전거 도로의 연결과 같은 보완적인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또한 추가적인 요금을 감당하기 힘든 저소득층과 사업장에 대한 배려도 필요하다고 전했습니다.

▶오타고 대학교의 최근 연구에서 한 잔의 와인을 덜 마심으로써 유방암의 위험을 10%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이 연구는 과음과 중독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35가지의 다른 건강 조건들이 음주과 관련되어 있으며 매년 80세 이하 사망의 약 800건이 음주와 관련이 되어 있다고 밝혔습니다. 뉴질랜드 여성에게 유방암은 대표적인 음주 관련 사망원인입니다.

 

연구는 음주가 젊은 나이에 피할 수 있는 가장 주요한 위험요소의 하나이며 일생에 걸쳐 건강을 해치는 주요 요소라고 밝혔습니다. 알코올의 폐해는 여성 보다 남성에게서 컸으며 마오리에게서 컸습니다. 이는 알코올 분해 형태의 차이에 따른 것입니다.

 

건강 보호 그룹은 알코올의 장기간 위험에 대한 교육을 요청하였고 국립 중독 연구소의 덕 셀먼은 술병에 건강 경고문을 기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는 토론토에 기반을 둔 2010 세계 질병 위협 요소 연구의 일환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의심스러운 백색 가루가 보건성에 전달된 후, 경찰은 이 가루가 위험하지 않다고 확인했습니다.

 

따라서, 어제 오후 웰링턴의 정부 건물 앞에 설치된 오염제거 텐트를 철거했습니다.

 

백색가루는 봉투에 담겨 지난 금요일 보건성으로 전달되었고 월요일까지 개봉되지 않았습니다.

 

세 명의 직원이 이 가루에 노출되었으나 경찰은 위험하지 않은 성분으로 확인하였습니다이 가루의 정확한 성분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빌딩 안의 30에서 50명의 사람들은 로비로 대피하였고 인근 도로는 잠시 폐쇄되었습니다. 경찰은 어제의 사건이 지난 주 두 명의 국회의원에게 전달된 사건과 연관이 있는지 조사 중입니다.

 

한편 웨스트 코스트 경찰은, 일요일에 그레이마우스 경찰서에 배달된 백색 가루가 무해한 성분이라고 밝혔습니다.

 

▶전국을 한파로 몰아넣었던 차가운 바람이 서서히 잠잠해져가고 있지만, 기상 전문가들은 또 한 차례의 이와 같은 날씨가 다가오고 있는 것으로 예보하였다.

강한 바람으로 인하여 웰링턴의 일부 도심 지역의 전기 공급이 중단되었으며, 남북섬을 연결하는 훼리와 항공기의 운항이 중단되었으며, 얼음과 눈 그리고 쓰러진 나무 등으로 일부 도로 교통이 통제되었다.

타라나키 지역에는 지난 일요일 나무가 지상 전선 위로 쓰러지면서 만 5천 세대의 전기가 한 때 공급이 중단되었으며, 어제 밤까지 500여 세대의 주택과 비즈니스에 전기 공급이 중단되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기상 관계자는 차가운 바람을 동반한 한냉 전선은 오늘부터 서서히 물러나면서 이번 주말과 다음 주 초까지는 따뜻한 날씨가 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다음 주 후반부터는 다시 또 한 차례의 한파가 예상되고 있는 것으로 밝혔다.

 

80세 이하의 뉴질랜드 사람들의 사망 원인 중 20명 중의 한 명 이상이 음주로 인하여 사망한 것으로 새로운 조사 결과에서 나타났다.

보건 관계 단체들은 이번 오타고 대학교의 조사에서 나타난 결과가 뉴질랜드의 새로운 빙지 드링크 문화로 인한 것으로 밝히며, 이러한 결과가 정부의 정책에 경각을 일으키기를 바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음주로 인한 사망으로 나타난 결과에서 80세 이하의 뉴질랜드 남성은 6.1%, 그리고 여성은 4.3%로 나타나 매년 800명 정도가 음주로 인하여 사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조사의 결과에서 음주로 인한 사망은 피할 수 있는 중요한 사망 원인들 중의 하나로 남성들의 경우 사고로 인하여 사망으로 연결되고 있으며, 여성의 경우 ¾ 정도는 유방암과 뇌졸증 그리고 만성적 질환으로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뉴질랜드 일일 뉴스' 코너 안내 admin 2011.08.02 53199
1155 호주신문보기(7월10일2013) 한인회사무국 2013.07.10 1205
1154 KCR카톨릭방송(7월10일2013) 한인회사무국 2013.07.11 1207
1153 KCR카톨릭방송(7월11일2013) 한인회사무국 2013.07.11 1190
1152 호주신문보기(7월11일2013) 한인회사무국 2013.07.11 1175
1151 KCR카톨릭방송(7월12일2013) 한인회사무국 2013.07.12 1209
1150 호주신문보기(7월12일2013) 한인회사무국 2013.07.12 1217
1149 KCR카톨릭방송(7월15일2013) 한인회사무국 2013.07.15 1276
1148 호주신문보기(7월15일2013) 한인회사무국 2013.07.16 1175
» KCR카톨릭방송(7월16일2013) 한인회사무국 2013.07.16 1343
1146 호주신문보기(7월16일2013) 한인회사무국 2013.07.16 1247
1145 KCR카톨릭방송(7월17일2013) 한인회사무국 2013.07.17 1272
1144 호주신문보기(7월17일2013) 한인회사무국 2013.07.17 1211
1143 KCR카톨릭방송(7월18일2013) 한인회사무국 2013.07.18 1254
1142 호주신문보기(7월18일2013) 한인회사무국 2013.07.18 1299
1141 KCR카톨릭방송(7월19일2013) 한인회사무국 2013.07.19 1339
1140 호주신문보기(7월19일2013) 한인회사무국 2013.07.19 1233
1139 KCR카톨릭방송(7월22일2013) 한인회사무국 2013.07.22 1766
1138 호주신문보기(7월22일2013) 한인회사무국 2013.07.22 1272
1137 KCR카톨릭방송(7월23일2013) 한인회사무국 2013.07.23 1318
1136 호주신문보기(7월23일2013) 한인회사무국 2013.07.23 1232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107 Next
/ 107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