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100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뿌리 깊은 편견과 고정관념들  

                                                                ~ 구원 =영혼구원 ~


                                                             정강길 / 세계와 기독교 변혁연구소  연구실장

대부분의 보수 근본주의 신앙인들에게는 뿌리 깊은 잘못된 몇가지 고정관념이 있다.
워낙 뿌리 깊은 고정관념이라서 흔히 곧잘 나오는 생각들이다.

그리고 이에 대한 깊고도 올곧은 고찰을 한국교회 현장에서는 매우 찾아보기가 힘든 현실이다.

흔히 한국교회의 교인들은 구원이라는 것을 영혼구원만을 구원이라고 생각한다.

즉, 구원은 생명책에 내 이름이 기록이 되는 것이며, 죽고 난 뒤에 나의 영혼이 내세의 천당에 안착하는 것을 의미한다.

영혼구원 문제는 한국교회의 교인들에게 매우 중요한 것이다.
대체로 내 영혼이 구원받고 천당 가기 위해서라며, 교회 다니는 가장 큰 이유들 가운데 하나로 꼽는다.
하지만 구원이라는 것은 영혼구원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인간이라는 생명체에는 영혼만 있는가?
엄연히 물리적 현실의 육체도 있다.

인간을 볼 때 총체적으로 보질 못하고 영혼과 육체, 내세와 현세로 나눠서 보는 사고의 유형은 이원론적 관점에 따른 것이다.

그런데 생각해보라.
자기 영혼을 자기 집에다 두고 다니는 사람이 있는가?
이미 존재는 총체적으로 봐야 마땅하잖은가.
인간에게 있어 구원은 영혼구원이 아니라 인간구원이요 생명구원인 것이다.

 따라서 여기에는 정치 사회적인 억압에서의 구원 역시 함께 내포한다.
구원은 총체적이다.

육체가 병들면 그 영혼도 병든다는 말이 있다.
물론 그 역도 참일 것이다.
어쨌든 우리의 몸 자체가 하나님의 성전이라고 했을 때, 구원은 총체적인 몸의 구원이지 어느 한 부분을 딱 떼어내서 영혼구원만을 의미하진 않는다.

죽고 난 뒤의 내세가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어디까지 내가 발을 딛고 있는 현세와 연관되어 있으며, 그것은 지금 여기서부터의 구원을 함께 내포하고 있다.
왜냐하면 <나>라는 존재는 언제나 지금 여기에서의 삶과 유리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4영리 신앙 식으로

“예수께서 동정녀 탄생으로 오셔서 십자가에 달려 피를 흘리시고 그 피로 인해 나의 죄를 사해주심을 믿고, 또한 3일 만에 부활하신 것을 내가 믿으면 나는 자동으로 죄가 사해지고 내 영혼이 죽어서 천당 갈 수 있게끔 구원 받는다”

얘기들은 기독교라는 종교의 수준을 극도로 떨어뜨리는, 한 마디로 가공할 넌센스라는 점을 잊지 않길 바란다.
구원은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육체적 등등 모든 전인적 차원에서의 온전한 해방이기에 어느 하나도 동떨어지거나 배제해선 안된다.

바로 그래서 참종교는 이 세계에 대한 진정한 대안과 올바른 길이 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구원은 영혼구원이 아닌 삶의 구원이며, 그것은 필연적으로 이 세계 안에서의 건강한 삶의 증진과도 결부되어 있다.
현세의 삶이 끝나는 날까지 언제나 최선을 다할 때 비로소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영광의 면류관이 있을 것이리라.



          " 솔직하고 건강한 합리성에 기반한 기독교를 위하여 !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4 보타니 언덕으로 가는 길에 오클랜드의 삶을 감사하고 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3.11.14 1106
423 ‘성서의 하나님’은 이삼천 년 전 고대인이 인식한 하나님 / 산들바람 나누리 2013.11.08 1058
422 우리가 펼쳐가는 우리의 사랑이 맑게 흐르는 강물이게 하옵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3.11.08 1093
421 묵상(나사렛 사람) mangsan 2013.11.03 1202
420 제가 만난 하나님 / 산들바람 나누리 2013.11.03 1151
419 봄에는 겸허한 인내를 배우게 하여 주옵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3.11.01 1062
418 종교개혁, 개혁(Reformation)인가? 변형(Deformation)인가? / 산들바람 나누리 2013.11.01 1102
417 계시록 1:1∼20 주 재림과 촛대교회 다림줄 2013.10.25 1354
416 우리가 사는 뉴질랜드의 희망을 위해 기도하게 하여 주옵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3.10.25 1324
415 ‘자기중심의 신앙’을 넘어 '하나님 중심의 신앙’으로 / 산들바람 나누리 2013.10.23 1087
414 우리에게 새로운 힘을 얻도록 마음에 위로와 평안을 주옵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3.10.23 1129
413 하나님은 택함 받지 못한 자에게 징벌을 내리시는가 ? / 산들바람 나누리 2013.10.20 1201
412 우리가 소금처럼 녹아지는 삶과 자신을 태워서 어둠을 비치는 촛불처럼 행하게 하옵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3.10.20 1123
411 하나님은 ‘선택된 자녀’에게 특혜를 베푸시는가? / 산들바람 나누리 2013.10.20 1096
410 우리 한인들의 아름다운 삶을 위해 기도하게 하여 주옵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3.10.19 1029
409 동정녀 탄생 / 정연복 나누리 2013.10.11 1497
408 주님. 오클랜드의 꽃길을 만끽하게 하여 주옵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3.10.09 1202
407 교회 다니기 싫으시면 다니지 마십시오./ 산들바람 나누리 2013.10.09 1249
406 오클랜드 봄의 속삭임을 들을 수 있게 하여 주옵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3.10.09 1019
405 받기를 바라는 신앙에서 누리는 신앙으로 / 산들바람 나누리 2013.10.07 1064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37 Next
/ 37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