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짧은 이민사에 우리의 짝퉁이 명품이 안되는 이유가 있었습니다.

 

어린 아이는 모방을 통해 말 배우기를 시작한다. 모방은 모든 시작의 출발이다. 주변 사람을 흉내 낸다고 해서 있는 그대로 복사하는 것은 아니다. 열심히 따라 하고 흉내 내다가 시간이 지나면 제 모양새를 갖추게 된다. 모방으로 시작했지만 아기는 본뜨기의 실패와 성공을 거듭하면서 자신만의 세계를 구축한다.

 

이미테이션은 값비싼 것의 모조품을 말한다. 누구를 본 떠 흉내 내는 것을 말한다. 모방이 본뜨기나 모조품처럼 진짜와 똑같이 복사하려는 데만 혈안이 되어 있으면, 목표를 향한 길이 멀어질 수 밖에 없다.

 

모방이 창조의 어머니가 되기 위해서 끊임없는 모방을 통해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내려는 창의력이 필요하다. 매일 열심히 복사해도 목표가 원제품의 상태에 도달하는 것이라면 짝퉁에 불과하다. 모방이 창조가 되기 위해서 흉내 내는 것보다 더 높은 차원의 무엇을 창조하려는 의지가 필요하다.

 

모든 예술가는 스스로 창조자가 되길 원한다. 복사하고 흉내 내고 색칠하고 덧칠하는 하기는 쉽다. 그러나 자신의 작품이 온전한 창작품 혹은 창조품이라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이 몇 있을까?

 

미켈란젤로(Buonaroti Michelangelo, 1475-1564), 33살로 시작해서, 이탈리아 로마의 시스티나 성당 (Capella Sistina) 천정에 천지창조”(크기 41.2X13.2, 1508-1512년 완성)란 주제로, 46개월 동안에 걸쳐 세계 최대의 걸작품을 37살에 완성했다. 빛과 어둠의 탄생, 해와 달과 지구의 창조, 하늘과 물의 분리, 아담의 창조, 이브의 창조, 아담과 이브의 타락, 노아의 제사, 노아의 방주, 술 취한 노아 등으로 나누어 높이 40m, 너비 13m 넘는 천장에 상상을 초월하는 인내로 벽화를 그렸다.

 

교황 율리우스 2(Vatican Pop Julius II, 르네상스 시대에 미술을 장려한 인본주의의 종교지도자)로 부터, 천장 벽화 요청을 받은 미켈란젤로는, 33살의 혈기 왕성한 나이로 당시 피에타다비드등의 조각품으로 이미 인정 받은 조각가이었지만, 그림을 많이 그려본 적이 없는데다 까마득한 천장 높이에 질려 거절할까 망설했다. 하지만 그는 돈에 쪼들려 급료를 제 때에 줄 것과 그림이 완성 될 때까지 절대 보지 말 것이란 두 조건을 걸고 체약을 했다. 가난과 결핍도 때론 창조의 힘이 되는 걸 보여주는 대목이다.

 

그 프로젝트 추진 중간에, 교황청이 급료를 지불하지 않아 미켈란젤로는 로마로 도망을 쳤다. 분노한 교황이 얼마나 대단한 그림을 그렸으면 이토록 기고만장한가?” 하고 성당의 천막을 걷었는데, 그 그림 앞에 무릎을 꿇고 말았다. 위대한 예술가의 혼을 바로 보는 위대한 지도자의 안목이 세기를 뛰어 넘는 위대한 창조품을 완성시킨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우리가 부르는 예술도 모방을 거쳐서 만들어진다고 설명한다. 모방은 무조건 복사하는 이미테이션이 아니라 삶의 다양한 모습을 예술이라는 창조 영역의 본바탕으로 쓰라고 가르친다.

 

우리는 같은 것을 흉내 낸다 해도 짝퉁이 안되기 위해서는, 복사한 것 이상으로 수준을 높일 각오를 해야 한다. 모방이 모방에 그치면 2등이 된다. 1등이 되고 일류가 되기 위해서 모방을 딛고 일어서는 창의력이 필요하다. 항상 복사만을 잘하는 사람은 남의 인생을 산다. 하나님이 창조한 가장 위대한 작품이 인간이라면, 그 위대한 창조물인 우리가 창조해야 할 일들이 무엇이 많이 있지 않겠는가? 뉴질랜드에 사는 우리와 우리의 다음 세대를 격려하고 용기를 가져야 할 때가 바로 지금이 되어가고 있다. 대양주 한인회 총연합회 회장에 피선된 홍영표오클랜드 한인회 회장의 용기에 박수를 보낸다.

 

수채화아티스트/기도에세이스트/칼럼니스트 제임스로부터.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32 하병갑 "통일이 대박"이라는 박근혜정부에 고함! 하병갑 2016.02.12 253
831 기타 1%, 더하기 1 Anthony 2011.08.24 3102
830 변경숙 1달러짜리 보석 반지, 나를 울렸어. KSWilson QSM JP 2011.11.15 9753
829 한일수 2011년의 뉴질랜드 한인사회 한일수 2011.12.29 2723
828 기타 2011년의 뉴질랜드 한인사회 admin 2011.12.23 2097
827 한일수 2011년의 뉴질랜드 한인사회 1 한일수 2011.12.29 7364
826 한일수 2012년의 뉴질랜드 한인사회 한일수 2012.12.21 8204
825 유영준 2014년 주택감정가 산출 실시 플래너 2014.07.25 1402
824 제임스앤제임스 2016년은 한인들에게 도약할 수 있는 새해와 새 날로 시작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6.01.07 125
823 한일수 3.1 정신의 현대사적 의미와 우리의 각오 file 한일수 2012.02.24 14449
822 박인수 3전 일화(三錢 逸話) 박인수 2013.01.21 11166
821 한일수 4월은 잔인한 달이던가? 한일수 2014.04.22 1857
820 한일수 70% 행복론 한일수 2015.09.24 320
819 기타 70주년 대한민국 광복절 기념 경축행사(2015.8.15) 큰산 2015.08.18 367
818 박인수 8.15 해방정국과 미군정의 역할 박인수 2012.08.16 11238
817 기타 <조수미 콘서트에 즈음하여> file admin 2011.12.02 1805
816 기타 JEK 교육연구소와 함께하는 2013 여름 SAT 프로그램! jekef 2013.06.17 1773
815 유영준 Low Impact Development원리 주택개발에 적용 플래너 2015.06.03 189
814 유영준 Mixed Housing 죤 개정안 플래너 2016.02.23 99
813 기타 Northland 한인회 창립 1 wedunz 2012.01.11 179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42 Next
/ 42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