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한일수
2011.10.31 17:38

오클랜드 한국의 날

조회 수 783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오클랜드 한국의 날


                                                                                                     한일수(경영학박사/칼럼니스트)



외국의 자매도시 간의 교류 활성화는 지방 자치 단체가

세계화를 지향하는 유용한 수단이다. 특히 현지 한인

사회가 뿌리내리는 데 자양분이 되고 ……



외국의 자치 단체와 자매 협정을 맺는 것은 각 지방 자치 단체가 세계화를 지향하는 유용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는 전 세계가 지구촌화하는 현대 사회에서 자연스러운 현상의 하나이다. 이러한 협정을 통해 통상 및 문화 교류의 증진으로 상호간의 발전을 도모하고자 하는 의도로 추진하고 있다.


뉴질랜드의 지방 자치 단체들은 주로 일본, 중국의 수십 개 자치 단체들과 협정을 맺고 있으나 한국과는 크라이스트처치, 오클랜드 등 2개 자치 단체에 불과하다.


뉴질랜드의 한인 사회가 확대되는 것과 때를 맞추어 서울의 송파구와 크라이스트처치 시가 자매 도시 협정을 맺은 것은 1995년 2월 10일의 일이다. 이러한 양 자치 단체의 자매 협정에 따라 매년 3월 1일을 ‘한국의 날’로 정하고 1996년 3월에는 크라이스트처치 시가 지정한 ‘제1회 한국의 날’ 행사가 거행되었다. 이때는 크라이스트처치 한인회와 시청, 그리고 송파구의 협조아래 대대적인 행사를 치를 수 있었다. 이는 크라이스트처치 한인 사회에 한 획을 긋는 대규모 행사로 평가되고 있다.


오클랜드 시는 한국의 부산시, 일본의 후쿠오카, 중국의 광조우, 호주의 브리스베인, 미국의 로스앤젤레스 등 5개 도시와 자매 도시 협정을 맺고 있다. 부산시와 오클랜드 시는 크라이스트처치 시와 송파구가 자매협정을 맺은 이듬해인 1996년 4월에 당시 문정수 부산시장과 Les Mills 오클랜드 시장이 조인하여 자매협정을 맺었다. 그리고 매년 11월 둘째 주 토요일을 오클랜드 시에서 ‘한국의 날’로 공식 지정했다. 이날은 타운 홀 국기 게양대에 태극기를 게양하게 되어 있다.


사본 -1.jpg
자매협정 조인식 장면 (뉴질랜드 한인사 187페이지)


오클랜드와 부산시는 해당 국가의 최대 항구도시이고 외국의 문물이 국내로 유입되는 관문의 위치에 있다. 이러한 지정학적인 특징을 살려 상호간에 통상, 문화, 관광, 교육 등 교류와 협력으로 시너지(Synergy)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유리한 점을 가지고 있다. 문화 교류의 일환으로 초창기에 부산 시립 합창단이 오클랜드를 방문하여 공연을 한바 있다. 2007년 한인의 날 행사 때에는 부산시-오클랜드 시 자매 협정 10주년 기념행사로 진행되었으며 당시 허남식 부산 시장이 참석한 바 있다. 그러나 자매도시로서의 교류증진 활동은 특별히 시행되는 바가 적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차려진 밥상에 달려들어 음식을 취할 수는 없다. 주어진 여건을 활용하여 스스로 밥상을 차려 영양가 있는 음식을 섭취할 일이다. 부산시와 오클랜드 시가 자매 도시로서의 교류활동이 활성화되는 것은 양 도시의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고 특히 오클랜드 한인 사회가 뿌리내리는 데 자양분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한인회와 영사관이 오클랜드 시와 부산시와의 유대관계를 강화하여 밀고 나갈 일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52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에서 우리 한인들도 문학, 아트, 또는 음악을 통해 얻은 고운 에너지를 마음의 양식으로 쌓는 것임을 알았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6.11.04 161
651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에서 한인들의 너그러움으로 채우는 지혜는 아름다워 보이는 것 같았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6.05.19 162
650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 이민 1세대인 우리 한인들의 생애를 정말 격려하고 싶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11.26 163
649 제임스앤제임스 오클랜드에서 우리의 성취로 가는 길들이 있었습니다. There Were Paths To Our Fulfillment In Auckland 제임스앤제임스 2015.09.10 163
648 유영준 주택 가격상승, 누구 잘못인가 플래너 2015.06.03 163
647 유영준 도시를 푸르게 푸르게 플래너 2015.06.03 164
646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에서 첫마음에 다짐을 했어도 흔들림이 있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모습인 것입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6.02.05 165
645 제임스앤제임스 막걸리 찬가를 소개합니다. : 오클랜드의 막걸리와 오클랜드의 사랑은 같지 않았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9.03 165
644 유영준 건축 허가량 한계점 도달 플래너 2015.06.03 165
643 유영준 오클랜드의 장기 주택부족 플래너 2015.06.03 167
642 제임스앤제임스 우리는 조건 없이 행복한 삶을 사는 것입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5.30 169
641 유영준 지방정부의 현재 및 장래 재정난 방안 플래너 2015.06.03 169
640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 한인들이 사는 오클랜드에 흐르는 맑은 물은 썩지 않았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7.01.21 170
639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에서 분명하고 확실한 목표를 세운 한인들은 올바른 정착을 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10.09 170
638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에서 우리의 한인들은 자신을 돌아 보는 시간도 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6.08.19 171
637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에서 언제나 성숙한 한인들이 갖춘 요소들을 알았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7.03.10 172
636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는 이민생할에서 어려움괴 괴로움을 잘 참아 낼 때 비로소 인내 속에서 끈기를 알았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6.06.04 175
635 제임스앤제임스 우리는 이곳 오클랜드에서 살면서 용서가 그렇게 어려웠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10.11 175
634 유영준 미래 도시생활을 형성하는 6가지 주요 디자인 플래너 2015.06.03 177
633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에서 굴곡진 닫힌 마음들을 가을의 향연에 열고 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3.16 177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42 Next
/ 42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