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기타
2011.10.30 07:57

이민의 심리학

조회 수 334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는 인생에서 번의 루비콘 강을 건너게 된다고 합니다. 직장을 구하고, 대학에 진학하고, 배우자를 만나고, 부모가 되는 , 모든 일들이 우리 인생의 방향을 바꾸는 중요한 계기가 됩니다. 우리가 이민을 결정하고 가족과 함께 뉴질랜드 땅에 발을 내린 것도 다름 아닌 루비콘 강을 건너는 것이라 있습니다.

루비콘 (Rubicon River) 이탈리아 북부에 있다는 작은 강의 이름입니다. 서양에서는 이를 인생에 있어서 전환이 되는 사건이나 계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비유해서 사용해왔습니다. 표현은 고대 로마 공화정시대에 율리어스 카이사르 (줄리어스 시저) 군사를 이끌고 루비콘  강을 건너서 로마를 통치하게 데서 유래된 말이라고 합니다. 당시 로마법에는 지방의 총독들이 군사와 함께 루비콘 강을 건너 로마에 들어오는 것이 금지되었다고 전해집니다. 그러나 카이사르는 주사위는 던져졌다 말과 함께 군사를 이끌고 강을 건너 공화정 체제를 정복하고 강력한 로마제국을 세우게 되었다지요.

이러한 유래로부터, ‘루비콘 강을 건너다라는 말은 이제 돌이킬 없는 상황에 처하게 되었으니 끝까지 밀고 나갈 밖에 없다라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결국 돌아갈 없는 강을 건넜다는 말이지요. 다른 나라로 이주하여 사는 것도 결국 루비콘 강을 건너는 것이라 있을까요? 만약 그렇다면, 뉴질랜드에 거주하는 우리들은 이민이라는 루비콘 강을 건너 어떠한 현실 속에 살고 있는가요?

한때 한국에서는 이민병이라는 단어가 유행하였습니다. 이런 저런 이유로 한국을 떠나 외국으로 이주하려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이민이 유행처럼 번지던 때가 있었지요. 이민병은 사람들이 한번 해외 이주를 생각하게 되면 마음을 쉽게 접지 못하게 되는 심리적 상황을 의미하는 말로 사용되었습니다. 이주하려는 나라에 대한 막연한 기대와 소망이 앞을 가로막아 이민에 따른 현실적인 문제들에 대해 올바른 판단을 하기가 쉽지 않게 된다는 것입니다. 물론 향후 예상되는 어려움이나 도전에 대해 많은 주의를 두고 준비하는 것이 합리적인 결정이지만 말입니다.  

저는 이민과 관련된 우리의 심리 상태를 루비콘 격언을 통해 이해하려고 합니다. 우리 일부는 어느날 뉴질랜드라는 나라가 마음에 자리를 잡아 이상 떨쳐버릴 없는 상태가 되어 이민을 오게 되지는 않았을까요? 만약 우리의 이민이 철저한 사전 계획과 준비를 통해 이루어지지 않고 마음의 루비콘 강을 건넌 것처럼 섣부른 결정에 의한 것이라면 어떤 결과를 불러오게 되었을까요? 우리의 루비콘 강이 뉴질랜드이 아름다운 자연환경이나 영어권 교육에 대한 기대 등으로만 생긴 것이라면 우리의 이민 현실은 처음의 기대와는 다를 밖에 없지 않을까요?    

아무래도 우리의 현실은 이미 루비콘 강을 건넌 것과 다름이 없습니다. 물론 우리 일부는 다른 루비콘 강을 건너게 될지도 모릅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순간은 우리가 뉴질랜드에 산다는 , 뉴질랜드의 일부분으로 기억되어 진다는 것에는 다름이 없을 것입니다. 이는 우리 자신들이 가끔은 테나 코우토우 카투아’ (마오리 인삿말) 해보는 것이 어색하지 않음을 의미하기도 하겠지요. 언젠가 한인 청년들 중에 누군가가 올블랙 (뉴질랜드 럭비 대표팀) 유니폼을 입고 우리 교민 사회를 뿌뜻하게 해줄 날을 기대할 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이것은 그저 하나만의 작은 바램일까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2 기타 할 수 있다는 신념을 심어준 한국의 날 행사 1 file admin 2012.05.03 3497
151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명품은 아시아인을 위해 만들었습니다. (1) 제임스앤제임스 2012.04.28 1820
150 박인수 모름지기 선업(善業)을 쌓을 일이다 박인수 2012.04.26 7728
149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 친구들아 보고 싶다. 친구야 차 한잔 하자꾸나. 1 제임스앤제임스 2012.04.13 3834
148 박인수 중공중앙(中共中央) 권력투쟁 감상(2) 박인수 2012.04.11 7669
147 한일수 이 가을에 띄우는 편지 한일수 2012.04.04 2747
146 박인수 중공중앙(中共中央) 권력투쟁 감상법(1) 박인수 2012.04.04 8025
145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서로 소중히 하며 사는 세상을 만들겠습니다. 1 제임스앤제임스 2012.04.02 2390
144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24) 막걸리 찬가를 소개합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2.04.01 3297
143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대기업의 사회초년생의 사직서가 많은 공감을 던져 주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2.03.25 4930
142 한일수 우호증진의 세월 한-뉴 수교 50년 file 한일수 2012.03.23 3084
141 기타 한국의 토지매입 시 유의사항-토지이용계획확인원의 확인1 file 김현우 2012.03.21 2611
140 기타 한국 토지 매입 시 유의사항 김현우 2012.03.18 2511
139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의 큰 변화와 큰 목적을 위해 아끼는 사람을 버릴 수도 있어야 합니다. 1 제임스앤제임스 2012.03.15 1995
138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이민생활을 숙제하듯이 살지 않고 축제하듯이 살아갈 것입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2.03.15 1689
137 박인수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성립배경과 조소앙(趙素昻) 선생의 재인식 박인수 2012.03.03 10844
136 박인수 적인가 친구인가?(敵乎 友乎?) 3 박인수 2012.02.29 4476
135 한일수 한국문화를 키위사회에 알리기 한일수 2012.02.27 7203
134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Let Us Pray For The Korean Society Of Auckland. 제임스앤제임스 2012.02.26 1941
133 한일수 3.1 정신의 현대사적 의미와 우리의 각오 file 한일수 2012.02.24 14449
Board Pagination Prev 1 ...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 42 Next
/ 42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