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252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우리 한인의 고유명절 추석을 가르쳐야 합니다.

 

우리 한국인 민족의 최대명절(Big Festive Days) 중의 하나인 추석(The Harvest Moon Festival Day)이 다가 옵니다. 조국에서는 연휴로 추석을 보내지만 뉴질랜드에서 추석은 공휴일이 아닙니다. 그러다 보니 특별히 명절이라는 기분이 들지 않는다.

 

비록 추석을 조국처럼 지낼 수는 없다고 해도 우리 자녀들에게는 추석의 의미를 가르쳐 주어야 합니다. 한국의 명절과 고유 문화에 대해 우리들이 가르쳐 주지 않으면 자녀들은 배울 곳이 없습니다.

 

밸런타인스데이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으면서도 추석을 모른다고 하면 말이 되지 않습니다. 조국에서는 명절 분위기로 인해 추석의 의미를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지만 뉴질랜드에서는 그렇지가 않아 더욱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한가위라고도 하는 추석이 명절이 된 것은 삼국시대부터 있다고 합니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신라 유리왕 때 여자들을 두 패로 나누어 한 달 동안 베를 짜는 길쌈을 했습니다. 음력 8 15일이 되면 누가 더 길쌈을 했는가를 판정해 진 편에서 막걸리 술과 음식을 내놓아 승자를 축하하고 각종 놀이를 했는데 이것을 잔치로 갚는다고 해서 가배라 했습니다. 그 말이 변해 가위”(한가위)가 된 것입니다. 그 후로 한가윗날 베를 짜는 풍습이 오랬동안 지켜져 내려왔습니다. "한'이란 "크다"는 뜻이고 "가위"란 "가운데"라는 뜻이며, 음력 8월의 한가운데 있는 큰 날이라는 뜻이 되는 것입니다.

 

추석은 예로부터 가장 큰 민속명절(Folk Festive Days)의 하나였습니다. 송편을 만들고 햇과일과 음식을 장만해 조상들에게 차례를 지내고 성묘(Visiting Ancestral Graves)를 하는 날입니다. 주요 놀이로는 저녁이 되면 달이 뜰 무렵 여자들이 공터나 마당에서 둥글게 원을 그리며 춤을 추는 강강수월레(A Country Circle Dance)가 있습니다.

 

이번 추석에는 자녀들에게 추석의 의미를 설명하고 음식과 민속놀이 등에 대해서도 소개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나의 경우는 자녀들이 어렸을 때 추석과 관련된 사진들을 인터넷에서 복사해 설명을 해주었습니다. 그 덕분인지 자녀들은 이곳 뉴질랜드에서 대학생을 지나 사회인이 된 지금도 그때 들었던 추석에 대한 설명이 생각난다고 합니다. 우리의 뿌리 교육은 생활 속에서 이루어 지는 것입니다.

 

수채화아티스트/기도에세이스트/칼럼니스트 제임스로부터.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52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사업 안에서 성공하는 방법을 배워야 합니다. (1) 제임스앤제임스 2012.10.03 3096
651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29) 막걸리 찬가를 소개합니다. 1 제임스앤제임스 2012.10.03 1957
650 한일수 홍익인간 사상의 세계화 한일수 2012.10.04 3853
649 박인수 중국 ‘동북공정’의 실체를 파헤친다 박인수 2012.10.05 7914
648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30) 막걸리 찬가를 소개합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2.10.05 8104
647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의 어머니의 마음을 헤아릴 줄 알게 되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2.10.11 4130
646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뉴질랜드에 살면서 뉴질랜드를 사랑하기로 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2.10.13 2028
645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지금은 꿈을 꾸는 코리안키위가 되도록 해야 합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2.10.15 6530
644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친구야. 오클랜드에서 그러려니 하고 살자꾸나. 제임스앤제임스 2012.10.21 15421
643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는 스스로 명품이 되어야 합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2.10.22 6030
642 기타 어려울때 큰 힘이 되어주는 자격증 이야기 권토중래 2012.10.28 1831
641 기타 건협 강남센터, 2012년 외국인환자 유치사업 나서 송파 잠실 2012.10.30 1717
640 박인수 우(憂)와 환(患) 박인수 2012.11.19 3010
639 기타 South Korea : The Emerging Powerhouse great7 2012.11.21 4454
638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명품" 자 들어가는 가방에 대하여 많은 생각을 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2.11.28 17522
637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서울 곳곳에 개혁을 해야하는 현장이 널려 있었습니다. 1 제임스앤제임스 2012.12.03 3167
636 박인수 강호(江胡) 투쟁 10년사 박인수 2012.12.12 7781
635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에도 명품과 졸품이 있습니다. 1 제임스앤제임스 2012.12.19 2868
634 한일수 2012년의 뉴질랜드 한인사회 한일수 2012.12.21 8204
633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고용주는 성실한 고용인을 찾고 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2.12.24 1963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42 Next
/ 42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