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기타
2011.08.24 06:48

분수를 아는 것

조회 수 826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분수를 아는 것

  사람은 하루에 최소한 몇 번씩은 거울을 봅니다. 다른 사람의 눈에는 아무렇지 
  도 않은 것 같은데, 정작 본인은 봐야 할 것이 뭐 그리 많은지.  특히 여성의 경
  우, 거의 손거울을 종일 들고 살다시피 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사람이 거울을 보는 것은 자신의 외모를 가꾸기 위한 수단일 것입니다.
  그렇다면 자신의 내면의 모습을 보고,
  또 가꾸기 위해서도 봐야 할 것이 분명 있다고 생각됩니다.

  그러나 세상에는 자신을 아우르고 있는 내면의 모습을 모르는 사람이 많은 것
  같습니다.  그런 사람을 일컬어서 혹자는, ‘자기가 선 자리를 모르거나 망각하
  면, 설탕물을   먹고 가짜 꿀을 내놓는 벌처럼, 초라한 인격자의 모습이 되고 맙
  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일화 중에 ‘임금을 태운 당나귀’라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임금을 태운 당나귀가 마을을 돌 때, 사람들은 절을 하기도 하고 환영의 박수를 치기도 했습니다.
당나귀는 그 박수소리와 절이 자기를 향한 것인 양 착각을 했던 것입니다. 임금을 태우고 나갈 때마다 당나귀는
점점 어깨가 으쓱해지곤 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임금을 태운 당나귀가 마을을 돌다가 사람들의 환영과 박수소리에 그만 자신도 모르게 으쓱해져서는
한 쪽 다리를 번쩍 들어버렸습니다.
자기 딴에는 사람들의 인사에 답례를 한답시고 그런 행동을 했던 것입니다.

순간 임금은 당나귀 몸에서 땅바닥으로 떨어졌고, 사람들은 놀라서 임금을 일으켜 모셨습니다.
천지 분간을 못 했던 당나귀는 매를 많이 맞고서야 박수와 환영이 자신을 위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임금을 안전하게 모시는 것이 자신의 본분이었던 것을 말입니다.

우리는 주변에서 당나귀와 같은 사람을 흔히 보게 됩니다.
하다못해 먼 친척뻘 되는 사람이라도 사회적으로 이름이 나있으면, 마치 자신의 위치도 그런 양 행동하는
꼴불견 같은 사람이 있습니다.

자기 자리를 아는 사람, 자기 모습을 아는 사람, 그에 맞갖은 말과 행동을 하는 사람이야말로 자기 분수를 아는 사람입니다.
자기 분수를 아는 사람은 품격 있는 인격의 소유자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 김두윤 안토니오 신부

  1. 생물친화적 도시 각광

    Date2014.09.04 Category유영준 By플래너 Views717
    Read More
  2. 생각을 바꾸면 인생이 달라집니다

    Date2011.08.24 Category기타 ByAnthony Views8662
    Read More
  3. 새주택 프로젝트와 유니타리 플랜

    Date2014.03.19 Category유영준 By플래너 Views972
    Read More
  4.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성립배경과 조소앙(趙素昻) 선생의 재인식

    Date2012.03.03 Category박인수 By박인수 Views10844
    Read More
  5. 삼삼오오(三三五五)

    Date2011.08.24 Category기타 ByAnthony Views4410
    Read More
  6. 삶이냐 퍼포먼스냐

    Date2015.03.26 Category한일수 By한일수 Views396
    Read More
  7. 삶의 점검

    Date2011.08.24 Category기타 ByAnthony Views2924
    Read More
  8. 삶의 이정표

    Date2014.04.16 Category한일수 By한일수 Views1587
    Read More
  9. 살아서 또 한 해를 보낼 수 있음에 감사드리며

    Date2014.12.24 Category한일수 By한일수 Views953
    Read More
  10. 살아가면서 지켜야 할 금기 사항

    Date2014.01.24 Category한일수 By한일수 Views2061
    Read More
  11. 산수화 한 폭에 얽힌 이야기

    Date2013.09.12 Category박인수 By박인수 Views3005
    Read More
  12. 사회적 책임을 다한 LG, 관(官)이 군림하던 시대는 이미 지났다!

    Date2015.08.14 Category하병갑 By하병갑 Views377
    Read More
  13. 사람이...3편

    Date2011.09.21 Category기타 ByJMAHN Views3144
    Read More
  14. 불확실한 미래 대비하는 도시

    Date2014.09.24 Category유영준 By플래너 Views656
    Read More
  15. 분수를 아는 것

    Date2011.08.24 Category기타 ByAnthony Views8262
    Read More
  16. 북한이 그런 곳인 줄 몰랐는가!

    Date2016.02.12 Category하병갑 By하병갑 Views213
    Read More
  17. 부전자전(父傳子傳)

    Date2011.09.05 Category박인수 By박인수 Views2651
    Read More
  18. 부모님, 어느 한 쪽이라도 그 절반만 닮았어도...

    Date2015.08.11 Category하병갑 By하병갑 Views370
    Read More
  19. 베드로와 자로(子路)

    Date2011.09.08 Category박인수 By박인수 Views2704
    Read More
  20. 법무사, Conveyancer 와 Legal Executive 의 차이

    Date2015.08.12 Category하병갑 By하병갑 Views62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 42 Next
/ 42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