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한국인은 명품 브랜드를 좆아 짝퉁인생을 꼭 살아야 할 것인가.

 

우리는 노변한담(爐邊閑談 : Fireside Chat)을 나눌 때는 명품이야기도 자주 듣고 말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한 때 인터넷에 유행했던 된장녀라는 말도 그 중의 하나이다. 뱃속은 된장 같은 전통적인 여성인데 겉으로는 고급명품이나 외국문화만을 좇는 사치여성을 낮추어 불렀던 말일 것이다.

 

럭셔리 세대(Luxury Generation)”“L세대로 부르며 고가의 명품브랜드 정장이나 가방 액세서리 등의 소비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찾으려는 20, 30대 젊은이들을 말하는 것인 데, 이곳 뉴질랜드에서도 40, 50대 조차 뒤늦게 늦바람이 불고 있다고 들었다. 서울 갔다 오면 입이 아프도록 전화하기 바쁘다. 조국은 명품유행이 열병인지 전염병인지 일년 내내 독감에 걸려 있는 것 같다.

 

요즘 갑자기 비가 쏟아질 때 머리 위로 핸드백을 올리고 천천히 걸어가면 짝퉁이고, 가슴 품 안에 안고 뛰어 가고 있다면 진품이라고 보면 맞는 것 같다. 크리스챤인 경우 주일 낮예배 때 들고 나온 것은 명품이고 새벽기도 시간에 들고 나온 것이라면 대개 짝퉁이라는 것이다. 모두 웃자고 하는 말일 것이다. 그러나 배경에는 명품족에 대한 시샘, 부러움과 경멸의 심리가 복합적으로 배합되어 있는 것 같다. 끼니를 건너 뛰고 버는 돈을 전부 털어 명품가방을 사야 직성이 풀리는 그들의 심보를 보통사람들이 어떻게 이해할 수 있겠는가.

 

그런데도 고국의 뉴스를 보면, 한국은 이미 세계의 명품 소비시장이 되어있다고 한다. 서울의 젊은 여성들이 들고 다니는 가방의 절반은 명품 브랜드라는 소문이고 보면, 명품은 그만큼 겉멋 든 한국사회를 잘 설명해주는 중요한 단서가 되고 있다는 것이다. 왜 그렇게 한국인들은 명품에 집착하고 있는가. 명품 소비의 본질은 자존감(Self-Respect)이라고 말할 수 있다. 명품을 사는 것은 자신의 정체성신분을 높여 새로운 증명서를 갖는 것과 같다는 것이다.

 

명품을 사는 행위는 사회적 욕구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자신에게 부족한 부분을 브랜드의 위력으로 메우고자 하는 마음의 작용인 것이다. 자기 신뢰가 낮아 매사에 자신감이 없는 사람이 다른 사람으로부터 존중 받고 싶은 욕구가 강할 때 나타나는 전형적인 현상이 명품선호인 것이며, 자기 과시를 나타내 보이려는 비교와 우위선호 마음에서 시작하는 것이다.”

 

명품족 모두가 다 그런 것은 아니며, 명품선호가 나쁘다는 말도 아니라는 것이다. 분명한 것은 더 많은 사람들이 낮은 자존감을 으로 메우려 한다는 사실인 것이다. 그렇게 메어진 자존감은 열심히 공부해 자격증을 따는 것, 땀 흘리고 시간 들여 살을 빼는 것, 금단의 고통을 이겨내며 담배를 끊는 것 등과 같이 자신과 싸워 얻어진 자존감과는 차원이 다르다는 것을 일깨워 준다는 것이다.

 

쉽게 얻어진 자존감은 쉽게 무너져 내립니다. 내면의 채움 없이 외부로부터 충족된 욕망은 바로 싫증으로 나타나고 또 다른 명품을 좇는 욕망의 악순환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어디 명품 뿐이랴. 권세나 재물, 그리고 명예에 대한 탐닉도 마잔가지이다. 여러 개의 화려한 명함을 갖고서도 또 다른 자리에 목을 매는 사람들에겐 이 지위와 자신을 세워 줄 명품인 것이다. 문제는 욕망이다. “욕망에 눈이 멀면 뻔한 짝퉁조차 명품으로 보인다.” 말 많은 이민동포사회에서 장()자리에 있는 분들이나 그 지망생들도 경계해야 할 것도 이것이다.

 

헛된 이름에 집착할수록 스스로 명품 인생에서 더욱 멀어질 뿐이라는 것을 꼭 명심해야 될 것 같다. 다른 사람들이 다 아는 것을 나만 모르고 있다면 얼마나 수치하고 억울한 것인가.

수채화아티스트/기도에세이스트/칼럼니스트 제임스로부터.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32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 한인들은 오클랜드에서 작은 베품을 큰 기쁨으로 만들어 행복을 전하겠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7.12.21 150
731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는 오클랜드의 삶 속에서 성공을 위해 자신의 훈련을 통해 만들어 갈 것입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7.12.16 30
730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에서 목표달성의 성취감을 맛보며 행복한 자유로운 삶을 권하고 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7.12.07 49
729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의 삶을 바꾸면 오클랜드의 아름다운 생애가 시작함을 알았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7.12.01 28
728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한인들이 행복을 찾아 가는 삶에 충실하는 보통사람의 평등의 법칙을 알았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7.11.23 93
727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의 삶은 허상처럼 보여도 언제나 아름답고 진실된 추억이 담겨져 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7.11.17 55
726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의 삶은 언제나 멋진 이유를 깨닫고 가장 훌륭한 미소를 가진 한인들이기를 소망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7.11.10 77
725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는 경청(傾聽)과 목계(木鷄)로 세상의 경영철학을 주목하고 명심하기로 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7.11.03 83
724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의 한인들은 언제나 젊은 열정을 갖고 살았습니다. (Live With Enthusiasm) 제임스앤제임스 2017.10.26 83
723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가 사는 남태평양 이곳까지 오클랜드가 아름다움이 있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7.10.20 48
722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 한인들은 거짓과 아첨과 편애하는 바람둥이를 조심해서 계획을 세울 것입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7.10.13 32
721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에서 우리 한인들은 언제나 진실로 참 친구들인지를 깨달았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7.10.13 44
720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언제나 오클랜드의 친구들의 이름들만 들어도 즐거운 것이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7.09.29 46
719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의 세상에도 한인들의 생애의 진실들을 잘 알고 있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7.09.22 39
718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에 살고 있는 한인들을 위해 평범한 진리를 전하고 싶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7.09.15 74
717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에서 사노라면 마치 별을 따는 것 같은 용기가 있어야 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7.09.09 204
716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가 사는 오클랜드의 진정한 삶의 가치와 행복을 확인하고 살고 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7.08.26 211
715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의 세상에 변하지 않는 것은 없으며 영원한 것도 없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7.08.18 200
714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의 삶 속에서 우리 한인들이 만나고 겪은 모두가 소중한 시간들이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7.08.11 178
713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는 진정한 우정과 사랑을 만들고 사람답게 사는 친구들이 되고 싶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7.08.04 18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42 Next
/ 42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