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 한인들에게 좋은 뉴질랜드를 물려 주는 뉴질랜드 타임즈가 될 것입니다.

 

 

image.png
 

긴 세월 동안 1000호를 통해서, 뉴질랜드의 지역사회에서 많은 한인들이 많은 것들을 보고 진리와 정의를

배웠습니다. 오스트레일리아와 인접해조용하고 깨끗한 도시로 인식되는 바쁘지 않고 느리게 돌아가는

도시에서, 제대로 된 지역언론이 얼마나 버틸 수 있을까라는 의문이 있었습니다. 이와 같은 고정관념을

깨고 뉴질랜드에서 뉴질랜드 타임즈가 가장 훌륭한 지역신문으로 이렇게 버틸 수 있는 것은, “희망과

미래를 갖고 뉴질랜드의 지역신문다운 목소리를 내고 격려해주는 대부분의 독자들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것 같았습니다.

                  

뉴질랜드 타임즈는 이제 더 이상 버티는 것만으로 대견해하고, 만족스러워 할 세월이 지났음을 잘 알고

있습니다. 이제 뉴질랜드 타임즈우리 한인들에게 좋은 뉴질랜드를 물려주는 것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뉴질랜드 타임즈의 비젼과 꿈을 갖고 2019년 기해년 새해를 맞이했습니다.” 뉴질랜드에서 삶들 속에서 태어난 우리 한인들의 자녀들이, 이곳 뉴질랜드에서 자라고, 교육받고, 일할 수 있는 살기 좋은 도시들을 물려 주어야 하는 약속이 있는 것 같았습니다.

 

이것은 뉴질랜드의 뉴질랜드 타임즈가 사회적 책임감을 갖고, 지역주민들에게 반드시 필요한 신문으로

뿌리내리겠다는 의지의 표명인 것입니다. “뉴질랜드 타임즈라면 적어도 지역에 해를 끼치지 않을 것이라는, 뉴질랜드 타임즈라면 적어도 권력에 흔들리지 않고, 한인들의 권익을 대변할 것이라는 신뢰를 더욱 다짐하는 의지의 표명인 것입니다.

 

 

image.png
 

뉴질랜드 타임즈가 존재한 시간 속에서, “뉴질랜드 타임즈가 참 많이 변했습니다. 지역신문으로 뉴질랜드의 한인들이 큰 관심을 갖게 되었고, 도시개발 후에도 대부분의 한인들이 뉴질랜드에서 다시 정착하길 원하고 있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한인들이 얼마나 지역을 위해 일하고 있는지 꼼꼼하게 따지는 한인유권자도 늘었습니다. 잠시 살다 떠날 도시가 아니라 앞으로 계속 살아야 할 도시들이고, 우리 한인들의 자녀들이 살아 갈 도시들이니 망가져서는 안된다는 주인의식이 있었음을 알았습니다.

 

이와 같은 뉴질랜드 타임즈의 걸작과 같은 (Jolly-good) 변화의 흐름 속에서, “뉴질랜드 타임즈는 역사의 현장을 똑똑히 기록했으며, 때로는 한인들의 역사를 지키고 바꾸며 여론을 형성했습니다. “뉴질랜드 타임즈역사와 함께 성장한 뉴질랜드 타임즈의 비전과 꿈은, 도시들에 살고 있는 한인들의 부모들의 비전과 꿈이기도 했습니다. 한인들의 부모들로서, 선배들로서, 우리 한인들의 자녀들에게 좋은 뉴질랜드와 제 2의 고향을 물려 주는 것은, 마땅히 해야 할 일을 소홀하지 않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지역의 책임감과 사명감으로 뉴질랜드 타임즈의 비전과 꿈을 공유하고, 이를 구체화시키고자,

뜻을 같이 하는 훌륭한 한인들이 뉴질랜드 타임즈에 참여하게 되어 왔습니다. 오늘 우리가 뿌린 작은 씨앗들이 특히 오클랜드를 밝히는 빛으로써 각 도시들로 널리 퍼지길 바라는 마음으로, 우리 한인들에게 좋은 뉴질랜드와 2의 고향을 물려 주겠다는 비전과 꿈을 다른 지역사회와 공유해 나가기 위해 최선을 다하기를 바라고 있는 것입니다.

 

뉴질랜드가 토박이이고, 뉴질랜드에서 자녀들을 낳아 기르고 있는 부모들로서, 우리 한인들의 자녀들이

뉴질랜드에서 우리 한인들의 손주들을 낳아 기르고 싶어하는 마음이 벅찬 뉴질랜드의 희망과 미래를 맞이하고 싶은 것은, 성실하고 겸손하고 정직하고 신실한 우리 한인들의 약속인 것입니다.

 

수채화아티스트/기도에세이스트/칼럼니스트 제임스로부터.

Watercolour Artist/Prayer Essayist/Columnist James Seo.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72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37) 막걸리 찬가를 소개합니다. 막걸리의 우수성과 효용성에 대한 간략한 소개이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3.12.22 1910
571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샹이야기 : 우리의 소망들이 함께하는 새해를 기원합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4.01.03 1903
570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 한인들은 모두 좋은 벗들입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3.11.16 1902
569 기타 김성혁 한인회장 취임사-5월 31일 한인회사무국 2013.08.04 1894
568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26) 막걸리 찬가를 소개합니다. 1 제임스앤제임스 2012.07.30 1894
567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 한인들은 이민생활에서 배울 것이 많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3.11.01 1889
566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설날에 우공이산(愚公移山)의 교훈을 새겨볼 때인 것 같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2.01.20 1877
565 한일수 마음의 평화 한일수 2014.02.12 1875
564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는 오클랜드 생활에서 자신을 잊어 버리고 살아왔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4.02.01 1875
563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40) 막걸리 찬가를 소개합니다. 설날이 올 때 하늘을 보며 소리쳐 이름을 부르자꾸나. 제임스앤제임스 2014.01.29 1869
562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뉴질랜드의 삶이 살아나고 회복되고 있음을 믿고 살아 갑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3.10.19 1863
561 한일수 4월은 잔인한 달이던가? 한일수 2014.04.22 1857
560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천하를 잃어도 건강만 있으면 행복할 수 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3.01.25 1844
559 기타 어려울때 큰 힘이 되어주는 자격증 이야기 권토중래 2012.10.28 1831
558 유영준 집값 폭락 예측 및 반론 플래너 2014.03.19 1823
557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명품은 아시아인을 위해 만들었습니다. (1) 제임스앤제임스 2012.04.28 1820
556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가 사는 일상도 정말 달라져야 합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2.01.15 1816
555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한인들의 화합으로 단결할 때 희망이 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3.11.09 1815
554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의 우정과 사랑은 훈훈한 봄바람으로 시작합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3.10.26 1815
553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이민생활에서 삶은 용서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는 덕목입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4.01.24 1810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42 Next
/ 42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