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 한인들에게 좋은 뉴질랜드를 물려 주는 뉴질랜드 타임즈가 될 것입니다.

 

 

image.png
 

긴 세월 동안 1000호를 통해서, 뉴질랜드의 지역사회에서 많은 한인들이 많은 것들을 보고 진리와 정의를

배웠습니다. 오스트레일리아와 인접해조용하고 깨끗한 도시로 인식되는 바쁘지 않고 느리게 돌아가는

도시에서, 제대로 된 지역언론이 얼마나 버틸 수 있을까라는 의문이 있었습니다. 이와 같은 고정관념을

깨고 뉴질랜드에서 뉴질랜드 타임즈가 가장 훌륭한 지역신문으로 이렇게 버틸 수 있는 것은, “희망과

미래를 갖고 뉴질랜드의 지역신문다운 목소리를 내고 격려해주는 대부분의 독자들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것 같았습니다.

                  

뉴질랜드 타임즈는 이제 더 이상 버티는 것만으로 대견해하고, 만족스러워 할 세월이 지났음을 잘 알고

있습니다. 이제 뉴질랜드 타임즈우리 한인들에게 좋은 뉴질랜드를 물려주는 것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뉴질랜드 타임즈의 비젼과 꿈을 갖고 2019년 기해년 새해를 맞이했습니다.” 뉴질랜드에서 삶들 속에서 태어난 우리 한인들의 자녀들이, 이곳 뉴질랜드에서 자라고, 교육받고, 일할 수 있는 살기 좋은 도시들을 물려 주어야 하는 약속이 있는 것 같았습니다.

 

이것은 뉴질랜드의 뉴질랜드 타임즈가 사회적 책임감을 갖고, 지역주민들에게 반드시 필요한 신문으로

뿌리내리겠다는 의지의 표명인 것입니다. “뉴질랜드 타임즈라면 적어도 지역에 해를 끼치지 않을 것이라는, 뉴질랜드 타임즈라면 적어도 권력에 흔들리지 않고, 한인들의 권익을 대변할 것이라는 신뢰를 더욱 다짐하는 의지의 표명인 것입니다.

 

 

image.png
 

뉴질랜드 타임즈가 존재한 시간 속에서, “뉴질랜드 타임즈가 참 많이 변했습니다. 지역신문으로 뉴질랜드의 한인들이 큰 관심을 갖게 되었고, 도시개발 후에도 대부분의 한인들이 뉴질랜드에서 다시 정착하길 원하고 있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한인들이 얼마나 지역을 위해 일하고 있는지 꼼꼼하게 따지는 한인유권자도 늘었습니다. 잠시 살다 떠날 도시가 아니라 앞으로 계속 살아야 할 도시들이고, 우리 한인들의 자녀들이 살아 갈 도시들이니 망가져서는 안된다는 주인의식이 있었음을 알았습니다.

 

이와 같은 뉴질랜드 타임즈의 걸작과 같은 (Jolly-good) 변화의 흐름 속에서, “뉴질랜드 타임즈는 역사의 현장을 똑똑히 기록했으며, 때로는 한인들의 역사를 지키고 바꾸며 여론을 형성했습니다. “뉴질랜드 타임즈역사와 함께 성장한 뉴질랜드 타임즈의 비전과 꿈은, 도시들에 살고 있는 한인들의 부모들의 비전과 꿈이기도 했습니다. 한인들의 부모들로서, 선배들로서, 우리 한인들의 자녀들에게 좋은 뉴질랜드와 제 2의 고향을 물려 주는 것은, 마땅히 해야 할 일을 소홀하지 않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지역의 책임감과 사명감으로 뉴질랜드 타임즈의 비전과 꿈을 공유하고, 이를 구체화시키고자,

뜻을 같이 하는 훌륭한 한인들이 뉴질랜드 타임즈에 참여하게 되어 왔습니다. 오늘 우리가 뿌린 작은 씨앗들이 특히 오클랜드를 밝히는 빛으로써 각 도시들로 널리 퍼지길 바라는 마음으로, 우리 한인들에게 좋은 뉴질랜드와 2의 고향을 물려 주겠다는 비전과 꿈을 다른 지역사회와 공유해 나가기 위해 최선을 다하기를 바라고 있는 것입니다.

 

뉴질랜드가 토박이이고, 뉴질랜드에서 자녀들을 낳아 기르고 있는 부모들로서, 우리 한인들의 자녀들이

뉴질랜드에서 우리 한인들의 손주들을 낳아 기르고 싶어하는 마음이 벅찬 뉴질랜드의 희망과 미래를 맞이하고 싶은 것은, 성실하고 겸손하고 정직하고 신실한 우리 한인들의 약속인 것입니다.

 

수채화아티스트/기도에세이스트/칼럼니스트 제임스로부터.

Watercolour Artist/Prayer Essayist/Columnist James Seo.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72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풍족한 삶도 혼자 빨리 가는 것이 아니라 함께 멀리 가는 따뜻함을 배우고 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9.12 224
571 유영준 지구의 미래 운명은 도시 계획 방법에 의존 플래너 2016.02.23 225
570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한인들이 함께 모이면 열정과 창조적인 기적을 만들어 가는 즐거움이 두 배가 되어 좋았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7.03.03 225
569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렌드에서 우리 한인들이, 통하면 안 아프고, 안 통하면 아프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7.04.07 226
568 유영준 유니타리 플랜의 변경된 예비구역 지도 발표 플래너 2016.02.23 226
567 유영준 통계로 본 인구증가 및 주택 변화 양상 플래너 2016.02.23 227
566 유영준 배송 컨테이너로 주택 위기를 해결할 수 있을까요? 플래너 2016.02.23 227
565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는 언제나 의미 있는 오클랜드의 삶을 살 수 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6.09.10 227
564 유영준 식수를 위한 자연 인프라 투자가 주는 장점 플래너 2016.02.23 229
563 유영준 어린이를 위한 도시를 건설하는 방법 플래너 2016.02.23 233
562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에 사는 자녀들에게 들려 주고 싶은 이야기가 있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3.14 233
561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생마사(牛生馬死)의 교훈과 도마뱀의 공조하는 삶에 관한 교훈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1 제임스앤제임스 2016.04.29 233
560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에서 우리가 더 많이 가졌다고 해서 더 행복해지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6.07.02 235
559 유영준 종합적인 거대개발계획 달성은 공사협력사업 통해 플래너 2016.02.23 236
558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의 삶에도 경영노하우처럼 채울 것인가 비울 것인가를 생각할 때인 것 같았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10.23 239
557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의 한인들은 오클랜드의 참사랑을 전해 주는 명품 삶의 참된 주인공이 되도록 할 것입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6.06.13 240
556 유영준 레고는 완벽한 도시 계획도구 플래너 2016.03.14 241
555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에서 우리의 의지가 위기를 뛰어 넘는 강인한 동력이 될 것입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7.25 241
554 유영준 고층 건물 없이 거주 밀도 높이는 방안 플래너 2015.06.03 245
553 유영준 집 구매냐 렌트냐 그것이 문제로구나 플래너 2015.06.03 245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42 Next
/ 42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