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263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32) 막걸리 찬가를 소개합니다.

 

 

정월 대보름에 소원성취 만사형통 하시길 기원합니다.

 

정월 대보름입니다.

 

 

올 한 해에 건강을 기원하며, 질병와 액운을 떨쳐 내시라고, 대보름날 아침 부럼을 (땅콩, 호두, , 잣 은행 등) 나누어 주고, 그리고 귀 밝이 막걸리 탁주를 한 잔 씩을 박 바가지에 준비하여 나누어 먹습니다.

 

일년의 건강을 기원하는 정월 대보름날에, 둥근 보름달을 보며 소원을 기도하고, 올 한 해 소망하는 모든 일들이, 꼭 성취 하시기를 기원합니다.

정월 대보름'  상원(上元) 이라고도 한다. 음력 1 15일은 대보름, 음력 1 14일은 작은 보름으로 부릅니다. 날짜 음력 1 15 (2013 2 24) 정월 대보름에 달이 동산에 뜰때 커보이는 이유는 순전히 인간의 심리적인 효과, 즉 착시 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머리 위에 있는 태양의 주위는 아주 넓은 빈 공간이 있으므로 태양이 상대적으로 작아보이고, 동산 위의 해나 달은 이 공간이 상대적으로 작아서 커보이는 것입니다.

 

정월 대보름날 조상들은 껍질을 까지 않은 호두, 잣, 밤, 땅콩 등을 깨물면서 한 해의 무사태평을 기원했습니다.

 

시절음식 은 오곡밥, 녹두빈대떡, 약식, 원소병, 복쌈, 묵은 나물, 귀밝이 술, 또 곡식 농사가 잘 되길 바라는 마음에서 다섯가지 이상 곡식을 섞어 오곡밥을 지어 먹었습니다.

 

 

진채식으로 불리는 '묵은 나물' 먹으면 일년 동안 더위를 먹지 않는다고 해서, 말린가지, 말린버섯, 고사리, 고비, 도라지, 시래기, 고구마순 등의 나물도 상에 오르며, 겨울 동안 없어진 입맛을 되살리기 위해 만들어진 풍습입니다.

 

 

세시풍속에 달맞이, 달집태우기, 쥐불놀이, 더위팔기, 부럼깨물기가 있습니다.

 

부럼깨물기에는 음력 정월 대보름날 새벽에 깨물어 먹는 딱딱한 열매류인 땅콩, 호두, , , 은행 등을 깨물면 한 해 동안 부스럼이 생기지 않는다고 했습니다.

 

 

더위팔기(매서)에는 아침에 일어나 더위를 팔아 한 해의 더위를 모면해보자는 매서(賣暑)라고도 부릅니다. 될 수 있으면 해가 뜨기 전에 일어나서 이웃 친구를 찾아가 이름을 부르며, "내 더위 사가라" 또는 "내 더위, 내 더위, 먼디 더위" 하면 곱절로 두 사람 몫의 더위를 먹게 된다는 것입니다. 대보름날 아침에는 친구가 이름을 불러도 냉큼 대답하지 않으며, 때로는 미리 "내 더위 사가라" 하고 응수하고, 그러면 더위를 팔려고 했던 사람이 오히려 더위를 먹게 된다고 합니다.

 

달집태우기에는 보름달이 떠오르기 전에 나무로 틀을 엮고 짚을 씌운 달집을 마을 동산의 적당한 기슭에 만들어 두고, 달집의 위치는 마을에서 달맞이하기에 가장 좋은 곳에 자리잡는데, 형태는 지방에 따라 약간씩 다르나 대개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다고 했습니다. 한 쪽 면만을 터놓고 다른 두 면은 이엉으로 감싸고, 터놓은 쪽을 달이 떠오르는 동쪽으로 향하게 하고, 가운데 새끼줄로 달 모양을 만들어 매달며, 달이 솟아오르는 것을 처음 본 사람이 불을 당기고 달을 향해 절을 했다고 합니다. 대보름의 만월을 바라보며 풍농(豊農)과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달맞이에는 정월 대보름날 저녁에 하던 의례풍습으로 이날 초저녁에 동산에 올라가 달이 떠오르는 것을 보고 절을 하는 풍속입니다.

 

짚으로 만든 집에다 불을 붙이는 달집태우기도 하며, 쥐불놀이와 불놀이도 함께 행하기도 합니다.

 

 

정월 대보름의 달은 1년 중 추석 한가위의 달과 더불어 양기(陽氣)가 가득찬 달이기 때문에 예로부터 신성시 해왔으며,특히 태음력에 기초하여 책력(冊曆)을 만들어 농사를 지어왔기에 달에 대한 믿음이 강했으며, 농민들은 풍년을 기원하여 이날 달빛을 보고 그해의 풍년과 흉년을 예상했습니다. 달을 보고 과거급제를 기원하거나 총각과 처녀들이 시집·장가 가기를 빌기도 했습니다.다.

 

 

쥐불놀이에는 정월 첫 쥐날(上子日)에 쥐를 쫓는 뜻으로 논밭 둑에 불을 놓는 풍습으로. 정월 첫 쥐날(上子日)에 쑥방망이에 불을 붙여 들고 논밭 둑의 마른 풀에 불을 놓아 모두 태우며, 마을에 따라서는 아이들이 두 패로 갈라 불을 놓고 불의 세기를 겨루기도 했습니다. 이런 풍습은 우리의 고유한 문화인 것입니다.

수채화아티스트/기도에세이스트/칼럼니스트 제임스로부터.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32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 한인들은 배려와 예의로 모두가 행복한 일들만 가득했으면 좋겠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6.08.26 177
631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의 삶 속에서 우리 한인들이 만나고 겪은 모두가 소중한 시간들이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7.08.11 178
630 유영준 유럽의 최초 자전거 고속도로 승인 플래너 2015.06.03 179
629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에 올 때 첫마음을 가진 젊음은 지나 가고 청춘은 오고 있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6.10.22 179
628 제임스앤제임스 막걸리 찬가를 소개합니다. : 오클랜드의 늦봄에 우리 고유술인 막걸리 한잔 하며 노가리를 까는 것이 그리웠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11.03 181
627 유영준 미래 예측과 도시계획 플래너 2015.06.03 182
626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이민생활에서 행복한 삶의 동반자인 오클랜드의 좋은 친구들을 만들어 가는 것입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9.19 183
625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언제나 우리 한인들의 강인한 민족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6.08.14 183
624 유영준 도로 역할 재조명 플래너 2015.06.03 183
623 제임스앤제임스 지금은 때가 무르면 오고 갈 때마다, 함께하면서 즐겁게 참여하며 실아 가는 오클랜드가 좋아졌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4.08 184
622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의 한인들의 성공은 만들어 갈 수 있으며 항상 가까이 있는 것입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6.09.16 185
621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봄저녁 노을을 보며 꼭 오클랜드 친구에게 편지를 쓰고 싶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9.05 186
620 제임스앤제임스 막걸리 찬가를 소개합니다. : 오클랜드의 보타니 다운즈의 한인들의 사랑의 찬가를 부르고 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5.12 186
619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의 20년 동안의 이민생활을 통해서 성공적인 가장(家長)이 되기 위한 표준 선택기준을 배웠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6.07.22 187
618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 한인들이 새로운 자신으로 변신하려면 기존의 자신을 완전히 버려야 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7.07.28 188
617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 한인들에게 좋은 뉴질랜드를 물려 주는 “뉴질랜드 타임즈”가 될 것입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9.03.16 188
616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의 한인들을 빛나게 보이게 하는 것들이 있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8.29 189
615 유영준 Low Impact Development원리 주택개발에 적용 플래너 2015.06.03 189
614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는 진정한 우정과 사랑을 만들고 사람답게 사는 친구들이 되고 싶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7.08.04 189
613 제임스앤제임스 오클랜드의 행복은 가꾸며 가는 마음 안에 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3.25 190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42 Next
/ 42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