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23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도시 생활은 가족에게 좋은 환경을 제공합니다. , 도시는 보다 활동적인 라이프 스타일과 아이들에게 이로운 편의시설, 에너지 절감과 편리한 소비 생활, 다양성을 많이 접할수 있으며, 가족간에 많은 접촉 기회를 제공합니다. 그러면,어린이와 가족을 불러들이기 위하여 그들의 필요 충족하는 도시를 만들려면 어떻게해야 할까요?

어린이에게 친화적인 도시를 구축 있는 가지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

  1. 밀도 도시계획 보다 밀집된 도시에서 생활함에 따라 도보생활이 가능하고, 출퇴근 시간을 줄여 많은 자유 시간을 즐기며 대중 교통 서비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2) 가족 중심의 주거 환경 밀도의 주거환경이라고 그들의 필요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 가족의 생활조건 인근 공원과 편의 시설을 갖춘 가족 친화적인 지역에세개짜리 이상의 주택들을 공급하도록 주택들을 설계해야 합니. 일부 단독 주택 지역에 더 많은 고밀도 주택단지를 허용하는 도시 전체의 용도 변경 정책을 오클랜드유니타리 플랜에서는 제공하고 있습니다.
 

3) 학교 육아시설에 대한 접근용이성 - 양질의 보육시설이나 초중고등학교가 주거시설과 인접해서 있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아이들을 키우기 힘들기 때문입니다.

4) 대중 교통 이용 편리성 - 부모가 이곳 저곳으로 아이들을 이동시키려면 차가 필수라고 생각하지만, 많은 가정이 차 없이도 아이들을 키울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습니다.  밀집화된 도시지역에서 살수록 대중 교통에 대한 접근이쉽습니다. 

5.) 도보생활가능성 - 이것은 단지 목적지까지 걸어서 갈수 있는지의 문제가 아닙니다. 이동하는 동안에 미관상 좋도록 나무가 늘어선 거리, 횡단 보도, 포장도로와 같이 걷기 좋은 환경도 의미합니다.

6) 자전거 이용 가능성 - 자전거를 타는 것은 아이들에게 큰 기쁨입니다. 그것은 그들에게 독립성 뿐만 아니라 재미도 제공합니다. 세계의 많은 도시에서, 자전거는 주요 교통수단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도시는 안전한 자전가 도로를 많이 제공해야 합니다.

7) 자연에 대한 접근성 교외에 사는 사람들은 자연에 가까이 생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아이러니컬하게도 그러한 주거지역을 만들기 위해서는 자연을 훼손해야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아이들은 자연과 접촉하며 자라야 합니다. 자연은 육체적 그리고 정신적 건강을 증진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5~10분의 도보거리 이내에 공원을 마련하면 좋을 것입니다. 그것이 힘들다면 지역에 조그마한 공공 정원이나 가로수를 많이 심는 것도 방법일 것입니다.

8) 편의시설에 대한 접근성 도시에 살게 되면 공공시설, 도서관, 수영장, 영화관 등의 편의시설을 쉽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든 가족이 편의시설을 자동차 이용할 필요없이 즐길 수 있도록 많고 다양한 편의 시설을 제공하도록 도시를 계획해야 합니다.

9) 공공 안전 과거와 달리 오늘날 많은 아이들이 집안에서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아마 과거에는  강한 지역 사회로 인해 아이들에게 안전한 환경을 마련해 주었던것 같습니다. 이제는 많은 부모들이 자신의 아이들이 자신의 동네에서 부모의 감독없이 밖에서 노는것을 두려워 합니다. 자동차의 속도를 낮추는 간단한 교통장치로도 부모가 아이들이 밖에서 자유롭게 놀도록 확신하는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10) 재미와 창의성 제공 아이들은 매일 거의 사물에서 마술 찾아낼 있습니다. 그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기 위해, 도시는 워터 파크, 그네, 거리 예술품과 창조적인 공공장소등을 제공하여 아이에게 영감줄 수 있어야 합니다. 

아이들이 많은 도시는 미래가 밝습니다. 도시생활을 많이 할수록 또한 도시를 사랑하게 되겠지요. 아이들의 웃음소리가 끊임없이 울려퍼지는 도시를 상상해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52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사업 안에서 성공하는 방법을 배워야 합니다. (1) 제임스앤제임스 2012.10.03 3096
651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29) 막걸리 찬가를 소개합니다. 1 제임스앤제임스 2012.10.03 1957
650 한일수 홍익인간 사상의 세계화 한일수 2012.10.04 3853
649 박인수 중국 ‘동북공정’의 실체를 파헤친다 박인수 2012.10.05 7914
648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30) 막걸리 찬가를 소개합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2.10.05 8104
647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의 어머니의 마음을 헤아릴 줄 알게 되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2.10.11 4130
646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뉴질랜드에 살면서 뉴질랜드를 사랑하기로 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2.10.13 2028
645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지금은 꿈을 꾸는 코리안키위가 되도록 해야 합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2.10.15 6530
644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친구야. 오클랜드에서 그러려니 하고 살자꾸나. 제임스앤제임스 2012.10.21 15421
643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는 스스로 명품이 되어야 합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2.10.22 6030
642 기타 어려울때 큰 힘이 되어주는 자격증 이야기 권토중래 2012.10.28 1831
641 기타 건협 강남센터, 2012년 외국인환자 유치사업 나서 송파 잠실 2012.10.30 1717
640 박인수 우(憂)와 환(患) 박인수 2012.11.19 3010
639 기타 South Korea : The Emerging Powerhouse great7 2012.11.21 4454
638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명품" 자 들어가는 가방에 대하여 많은 생각을 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2.11.28 17522
637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서울 곳곳에 개혁을 해야하는 현장이 널려 있었습니다. 1 제임스앤제임스 2012.12.03 3167
636 박인수 강호(江胡) 투쟁 10년사 박인수 2012.12.12 7781
635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에도 명품과 졸품이 있습니다. 1 제임스앤제임스 2012.12.19 2868
634 한일수 2012년의 뉴질랜드 한인사회 한일수 2012.12.21 8204
633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고용주는 성실한 고용인을 찾고 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2.12.24 1963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42 Next
/ 42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