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유영준
2016.02.23 04:34

대체 투자대상

조회 수 11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요즘과 같은 부동산 시장에서는 다른 투자에 눈을 돌리기 보다는 다른 투자물건을 팔아서라도 부동산을 늘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투자를 다변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90년대 그리고 2007년의 경제위기상황은 그러한 다변화의 중요성을 입증하는 사건들일 것이며, 앞으로도 그러한 일이 되풀이 될 것이라는 것은 어렵지 않게 예측해볼 수 있겠습니다.

다변화 대상에는 주식, 외화, 장기적금, 국채매입 등등이 있겠지요. 한국도 대체 투자대상으로 그림 등이 많이 거래되고 있습니다. 돈처럼 마구 찍어낼 수 없는 희소성 때문이지요. 옛날 우표, 화폐, 와인, 시계, 벤쳐캐피탈 등등이 대체 투자대상으로 간주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대체 투자대상으로 금을 소개하려 합니다. 전통적으로 금은 많은 국가에서 화폐의 수단의 하나로 통용되었습니다. 현재는 지폐가 대부분의 결재수단으로 이용되지만 여전히 금은 중요 결재수단이며, 장기 투자가 가능한 대상입니다.

금에 투자하면 잇점이 무엇일까요? 현금화가 쉽습니다. 세계 어느나라에서도 쉽게 통용되며, 화폐 다음으로 금의 보편성은 인정받습니다. 화폐와는 다르게 금은 자체로도 가치를 가집니다. 이는 금의 희소성에서 기인하는 것이겠지요. 인플레이션으로 화폐가 가치를 잃게되면 상대적으로 금은 안정적인 투자대상으로 인정받아 가치가 올라가게 됩니다.

투자의 다변화의 대상으로 금은 유용하게 쓰입니다. 금은 또한 귀금속외에도 다양한 전자제품등에 사용됩니다. 꾸준한 수요가 금값의 급격한 하락을 막는 요인이 되기도 합니다.

그럼 모든 사람이 금 투자를 하지 않는 것은 무엇때문인까요? 다른 말로, 금투자는 어떤 단점이 있을까요? 주식등과는 달리 이자나 배당액을 받지 못하므로 금값 증가이외의 잉여이익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경제가 불안하면 금에 많은 사람들이 투자를 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가격이 높게 책정될 수 있는 위험이 있습니다. 즉, 경기가 정체된 상황에서 금은 자체적으로 가치증가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뉴질랜드 달러의 가치가 꾸준히 떨어지는 상황에서 금은 매력적인 투자물건으로 다가옵니다. 최근 5년간의 세계 금값동향을 보더라도 꾸준한 하락을 거듭하는 것이 안스럽기까지 합니다. 향후 추가하락을 예측하는 사람들도 있고 상승을 지지하는 사람들도 또한 있습니다. 따라서 꾸준히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요즘처럼 부동산 활황기에는 다른 곳에 눈길을 돌리기 힘들지만 항상 다변화할 대상에 관심을 갖고 필요하다면 실행에 옮기는 결단이 필요합니다. 한바구니에 모든 계란을 넣는 우매함을 피하며 적절한 투자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현명함도 지니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72 유영준 지역 플랜과 컨센트 원서작성 디지털시대 임박 플래너 2016.02.23 221
771 유영준 지방정부의 현재 및 장래 재정난 방안 플래너 2015.06.03 169
770 제임스앤제임스 지금의 계절은 부모님을 생각하고 돌보아 해드리는 오클랜드의 계절입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4.12.21 687
769 제임스앤제임스 지금은 친구에게 첫 봄편지를 쓰고 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4.08.15 568
768 제임스앤제임스 지금은 때가 무르면 오고 갈 때마다, 함께하면서 즐겁게 참여하며 실아 가는 오클랜드가 좋아졌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4.08 184
767 유영준 지구의 미래 운명은 도시 계획 방법에 의존 플래너 2016.02.23 225
766 유영준 지구 온난화 현상 플래너 2014.03.19 1399
765 유영준 지구 온난화 문제 도시 계획에 반영 시도 플래너 2014.07.25 799
764 박인수 중국 ‘동북공정’의 실체를 파헤친다 박인수 2012.10.05 7914
763 박인수 중공중앙(中共中央) 권력투쟁 감상법(1) 박인수 2012.04.04 8025
762 박인수 중공중앙(中共中央) 권력투쟁 감상(2) 박인수 2012.04.11 7669
761 유영준 주택위기 해결과제 플래너 2016.02.23 222
760 유영준 주택선택요소들 플래너 2016.02.23 99
759 유영준 주택가격 하락 요인 플래너 2014.06.10 1368
758 유영준 주택 공급과 수요의 큰 격차 플래너 2016.02.23 112
757 유영준 주택 가치의 역동적인 변화 플래너 2014.03.19 895
756 유영준 주택 가격상승, 누구 잘못인가 플래너 2015.06.03 163
755 한일수 주뉴질랜드 한국대사관이 개설된 지 40년 file 한일수 2011.08.18 12144
754 유영준 주거비용을 절약하는 사람들 플래너 2016.02.23 131
753 유영준 종합적인 거대개발계획 달성은 공사협력사업 통해 플래너 2016.02.23 23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42 Next
/ 42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