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유영준
2016.02.23 04:29

주거비용을 절약하는 사람들

조회 수 13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저렴한 주택, 소득수준에서 구입가능한 주택 등등, 뭐라고 이름을 칭하든지 상관없이, 결국에 그러한 주택에 관심이 있는 것은 주거비용을 줄이기위해서 입니다. 평균적인 주거비용은 일반적으로 가구소득의 30%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렌트비, 모기지 등등의 형태로 지출이 되지요. 30%의 비용은 가구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큽니다. 따라서 이러한 비용을 줄인다면 생활비를 크게 줄일 수 있겠지요. 만약 대출금이 없다면, 여유소득금액으로 할 수 있는 일 또한 많습니다. 일례로 노동시간을 줄이고 생활이 아닌 취미생활 등 삶을 위해 잉여시간을 보낼 수도 있겠지요.

창조적이고 기발한 방법으로 저비용의 주거공간을 마련하여 주거비용을 절약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통계청의 2013년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전체 인구의 2.3%에 해당하는 10만명의 키위들이 일반적인 주택형태 이외의 장소에서 기거를 하고 있는 걸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한 장소로는 양로시설, 하숙집, 호텔, 모텔, 게스트하우스, 감옥, 그리고 그밖의 개인 장소들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밖의 개인 장소들에는 카라반과 같은 차량주택이나 요트 등이 포함되었습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요트에서 생활하는 사람들도 8천명이 넘었는데, 비록 생활 공간이 작지만, 잔디를 깍거나 조경에 신경을 쓸 필요도 없으며, 자주 여러 지역을 항해하며 매일 휴가를 지내는 기분으로 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합니다. 결국 생활하는데 꼭 땅이 필요하지는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주거형태입니다. 요즘처럼 토지비용이 주택가격에 차지하는 비중이 상황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습니다.

특이한 사항은 2006년 조사때와 비교할 때 양로시설에 거주하는 사람이 14.1%나 증가했다는 것입니다. 고령화 시대를 예고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전국적으로 볼때, 이러한 특별한 주거형태에 사는 사람들의 고용률이 일반 주거형태 거주하는 사람들과 비교할때 거의 비슷하게 결과가 나왔으나, 소득수준과 교육수준이 낮았으며, 독신 그리고 연세가 많은 분들이 이와 같은 특수한 형태의 주거시설에 살고 있었습니다. 웰링턴지역의 양로시설에 거주하는 노령인구는 2006년 2775명에서 2013년 3381명으로 21.8%의 증가를 보여 전국보다 높은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전국의 일정주거공간이 없이 떠돌아 다니는 사람의 37%가 웰링턴에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3분의 1은 지붕도 없는 곳에서 한대잠을 자는 것으로 통계청 자료에 기록되었습니다.

 

오클랜드 시청의 조사에 따르면 도심에 노숙자가 일년만에 두배나 늘어났다는 소식입니다. 즉 스카이타워에서 반경 3킬로미터 이내에 2013년에 68명이던 것이 2014년에는 142명에 달했습니다. 실내에서 생활을 하기에도 혹독한 오클랜드의 겨울인데 말이죠. 그들은 경제적 파산자 또는 잘못된 판단의 희생자일 것입니다. 어떠한 경우라도 주거비를 낼 수 없다면 결국에는 혹독한 주거환경을 감내하여야 하겠지요. 오클랜드의 노숙자 증가는 크게 주택문제에 기인한다는 조사결과라서 안타까움이 더합니다.

환경친화적인 건물선호에 따른 색다른 주거 공간 또한 새롭게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환경친화적인 건축물로는 재활용이나 저임팩요소를 가미한 것으로 컨테이너를 활용하거나 짚과 진흙을 이용한 집, 팔레트로 지은 집들이 있겠습니다.

 

 

결론적으로 여러가지 방법으로 저비용의 주거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따라서 자신들의 예산에 맞게 주거공간을 필요에 맞게 구성할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성공적인 보금자리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좀더 창조적이고 기존의 틀에서 벗어난 사고를 요합니다.

부랑자로 주거공간없이 거리에서 지내기 보다는 값싼 주거공간이 필요한 절박한 사람들에게도 정부에서는 규제를 앞세우기 보다는 도움의 손길을 내밀어 주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2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는 오클랜드의 친구들로 말미암아 용기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6.20 202
231 제임스앤제임스 추석만 되면 좋은 오클랜드의 한인친구들이 그리운 날이 많아졌습니다. 1 제임스앤제임스 2015.09.28 202
230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의 세상에 변하지 않는 것은 없으며 영원한 것도 없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7.08.18 200
229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의 삶을 재미있게 살려면 우리의 꿈과 흥이 있고 복이 있어도 참다운 한인들이 필요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6.11.19 200
228 제임스앤제임스 우리 한인들에게 풍기는 인격의 향기를 사랑하고 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10.07 199
227 유영준 개발업자의 새로운 주택 재정지원 방안 주목 플래너 2015.06.03 199
226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는 서로 소중히 하며 사는 오클랜드의 세상이 좋아 벌써 20년이 되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10.17 196
225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야기 : 오클랜드에서 천천히 늙어 가고 아름다운 젊음을 유지해 가는 기적을 체험할 수 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7.02.17 196
224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의 생애에 득고인풍(得古人風)과 오유지족(吾唯知足)의 삶도 깨닫고 살겠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6.05.14 192
223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의 생활에서 우리 한인들의 긍적적인 말은 한 사람의 삶을 변하게 할 수 있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7.01.27 192
222 유영준 집값과 토지장기보유 플래너 2015.06.03 190
221 제임스앤제임스 이곳에서 오클랜더가 잘 사는 이유가 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3.04 190
220 제임스앤제임스 오클랜드의 행복은 가꾸며 가는 마음 안에 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3.25 190
219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는 진정한 우정과 사랑을 만들고 사람답게 사는 친구들이 되고 싶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7.08.04 189
218 유영준 Low Impact Development원리 주택개발에 적용 플래너 2015.06.03 189
217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의 한인들을 빛나게 보이게 하는 것들이 있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8.29 189
216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 한인들에게 좋은 뉴질랜드를 물려 주는 “뉴질랜드 타임즈”가 될 것입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9.03.16 188
215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 한인들이 새로운 자신으로 변신하려면 기존의 자신을 완전히 버려야 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7.07.28 188
214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의 20년 동안의 이민생활을 통해서 성공적인 가장(家長)이 되기 위한 표준 선택기준을 배웠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6.07.22 187
213 제임스앤제임스 막걸리 찬가를 소개합니다. : 오클랜드의 보타니 다운즈의 한인들의 사랑의 찬가를 부르고 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5.12 186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42 Next
/ 42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