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유영준
2015.06.03 04:10

지하세계를 구축하는 도시들

조회 수 24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세계 인구는 날로 증가하고 있으나 지구에서 수용할 수 있는 인구는 아쉽지만 한계가 있습니다. 인구 밀집, 공간 부족 그리고 기후변화 등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많은 도시들이 위로 위로 고층빌딩을 짓고 있지만 그로 인한 그림자 형성이나 국지적 기후문제 등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번 세기말이 되면 세계 인구의 80%는 도시생활을 하게 될 거라는 인구 예측이 있습니다. 따라서 도시 계획자들은 과연 도시의 어느 공간에 그들을 거주시킬지 고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최근에는 지하 공간을 활용하는 급진적인 방법을 생각하고 시행하는 도시들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미국의 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하시설은 도시발전을 영속성있게 만드는 가장 성공적인 방식이라고 하였습니다.
자 그럼 세계적으로 지하에서의 생활을 계획하는 도시들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싱가포르
인구밀도가 아주 높은 국가중에 하나지요. 710 평방킬로미터의 면적을 가진 국가로 5백4십만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으며, 4천채 이상의 고층건물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토지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싱가포르는 4천2백명의 노동자를 수용할 수 있는 지하과학도시를 건립할 계획입니다. 지하 30~80미터에 건물이 위치할 예정이며, 생화학 또는 의료 관련 업체가 입주한다고 합니다.

멕시코시
멕시코시도 건축용 토지부족을 겪고 있습니다. 그리고 8층이상의 건물은 허가하지 않기 때문에 지하에 짓는 것이 유일한 방법입니다. 또한 기존의 건축환경을 보존하면서 필요한 건축공간을 마련하는 방법입니다.

멕시코시의 건축가들이 시의 엄격한 건축법에 따르면서도 지을 수 있는 300미터 깊이의 역피라미드 디자인의 건물 건축을 진행중입니다. 약 5천명을 수용하며, 상점, 주택 그리고 문화적 구경꺼리를 갖추고 천정에는 큰 유리를 설치하여 자연광이 지하에도 비추도록 설계했습니다.

샹하이
전에도 소개시켜드린 바가 있는 샹하이의 오성급 호텔의 건축디자인은 다소 생소한 방법으로 지하로 지어졌습니다. 폐쇄된 채석장으로 백미터 지하에 건립된 호텔은 19층에 이르며 380석의 객실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개층은 물밑에 위치하며 수족관과 식당 그리고 객실이 있게 됩니다. 최상층은 산정상보다 15미터 지상에 위치하게 되며, 정면은 밖에서 보이지만 나머지 부분은 산에 묻혀 바깥에서 보이지 않게 지어졌습니다.
헬싱키
극심한 기후조건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지하을 선택한 경우입니다. 추운 겨울을 극복하기 위해 지하공간을 마련하여 사람들을 거주시키고 있습니다. 2011년에 주요 도시계획을 마련하기 시작하여 작년까지 400채가 지어졌는데 그중에는 쇼핑몰, 스케이트장, 50미터 길이의 수영장 그리고 배트민턴장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야말로 지하에 신세계를 구축하고 있는 중입니다.

뉴욕
아마도 많은 분들이 뉴욕하면 고층건물들을 떠올리실 겁니다. 요즘 폐쇄된 전동차 정거장을 지하공원으로 탈바꿈할 계획을 발표하였습니다. 2018년에 개장할 예정으로 태양광을 에너지로 사용하여 지하에서 식물을 키우고 전구를 밝힐 계획이라고 합니다.

런던
런던은 현재 런던 역사상 최고의 인구밀도를 경신하고 있는 중입니다. 따라서 기존의 기간시설을 극대화하여 인구를 수용할 수 있는 창의적인 방법을 생각하는데 지하시설은 한가지 방법일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런던도 뉴욕과 비슷하게 사용하지 않는 지하철역들을 상점, 유흥시설, 사무실 그리고 정원등으로 바꾸려 계획하고 있습니다.

호주
호주에는 이미 지하에 구축된 도시가 있습니다. 남호주에 위치한 쿠버페디의 인구의 반은 지하에 집을 마련해 살고 있다고 합니다. 이들은 겨울의 극심한 추위 그리고 여름의 혹한을 피하기 위해 거주지를 마련한 것입니다. 4천명의 인구를 수용하기 위해 지하에는 호텔, 식당, 교회 등도 마련되어 있는데, 호주의 많은 도시들이 비슷한 사정이기 때문에 호주 도시들의 미래상을 보여주는 청사진으로 보입니다. 이상과 같이 각국이 저마다 처한 환경에 따라 대처하는 방법중의 하나로 지하공간을 개척하는 방법을 시행중입니다. 물론 지진에 취약한 뉴질랜드의 도시들은 그러한 대상에서 제외되겠지요. SF 영화에서나 보던 지하 도시들이 하나씩 건립되고 있습니다. 위 그리고 아래, 그 다음은 어디일까요? 미래의 도시 형태들이 궁금해집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12 유영준 건축 허가량 한계점 도달 플래너 2015.06.03 165
311 유영준 오클랜드와 전국의 주택시장 비교 플래너 2015.06.03 156
310 유영준 고층 건물 없이 거주 밀도 높이는 방안 플래너 2015.06.03 245
309 유영준 지방정부의 현재 및 장래 재정난 방안 플래너 2015.06.03 169
308 유영준 유럽의 최초 자전거 고속도로 승인 플래너 2015.06.03 179
307 유영준 백만장자 이주 전쟁 플래너 2015.06.03 206
306 유영준 미래 도시생활을 형성하는 6가지 주요 디자인 플래너 2015.06.03 177
305 유영준 개발업자의 새로운 주택 재정지원 방안 주목 플래너 2015.06.03 199
304 유영준 오클랜드의 장기 주택부족 플래너 2015.06.03 167
303 유영준 오클랜드 전기 충전식 자동차 공유 방안 플래너 2015.06.03 217
302 유영준 도로 역할 재조명 플래너 2015.06.03 183
301 유영준 Low Impact Development원리 주택개발에 적용 플래너 2015.06.03 189
300 유영준 미래 예측과 도시계획 플래너 2015.06.03 182
299 유영준 태양 에너지 사용 보편화 시대 도래 플래너 2015.06.03 247
298 유영준 도시를 푸르게 푸르게 플래너 2015.06.03 164
» 유영준 지하세계를 구축하는 도시들 플래너 2015.06.03 246
296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지금은 마음으로 친구와 이웃을 어루만져 주는 용기를 보여 줄 때인 것입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6.06 222
295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신데렐라 증후군, 베블렌 효과, 또한 파노플리 효과를 경험하는 한인들이 많아졌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6.13 448
294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는 오클랜드의 친구들로 말미암아 용기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6.20 202
293 제임스앤제임스 막걸리 찬가를 소개합니다. : 오클랜드에서 고유 전통 막걸리에 대한 흥미로운 사실들을 전해주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6.25 270
Board Pagination Prev 1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42 Next
/ 42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