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6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NZNews 1 (5-19)

중국 정부가 지원하고 있는 어학원인 공자 연구소는 뉴질랜드에서 제 2 언어 교육을 의무화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뉴질랜드 학생들의 약 80%는 제 2 언어를 배우지 않고 학교를 졸업하고 있어서 다음 세대들이 곤란한 처지에 놓이게 될 것이므로 제 2언어가 점차적으로 뉴질랜드 커리큘럼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공자 연구소는 중국어 교육을 위해 학교당 일년에 수 천 달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one news 독자들은 페이스북을 통해 제 2 언어를 배워야 한다면 중국어가 아니라 마오리어 여야 한다고 불편한 심기를 나타냈습니다.  독자들은 외국정부가 언어 교육에 기부를 하며 뉴질랜드 어린이들의 제 2언어 의무화를 언급하는 것은 문제가 많다고 말했습니다. 공자연구소는 수업시간에 티벳이나 천안문 학살과 같은 민감한 주제를 제외한다는 비난을 받고 있으나 연구소와 지원을 받고 있는 학교들은 사전 조건이 없다고 반박하고 있습니다.

NZNews 2 (5-19)

오클랜드 공중 보건 서비스는 동네 식품 소매점 dairy 에서 어린이에게 건강하지 않은 식품을 판매하는 것을 금지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탄산음료, 초코렛바, 사탕 등을 손쉽게 구입할 수 있는 데어리는 뉴질랜드 비만 문제의 한 원인이라고 말했습니다.  따라서 한 지역의 편의점 수를 제한하고 어린이에게 판매 가능한 식품을 제한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들은 카운실이 편의점과 식품 소매점, takeaway 상점들을 관리할 수 있도록, 법 개정을 위해 로비를 벌일 계획입니다.  이러한 식품들은 더 이상 달콤한 간식이 아닌 심각한 유해 식품이기 때문에 젊은 세대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규정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NZNews 3 (5-19)

뉴질랜드인은 이웃과의 관계가 소원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근 발표된 Sovereign Wellness Index에 따르면 29개 유럽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이웃과의 친밀도가 가장 떨어졌으며 처음 조사가 시작된 2013년과 비교하여도 개선되지 않았습니다. 또한 오직 4%만이 이웃과 가깝게 지낸다고 답했으며 거의 40%의 뉴질랜드인이 한 달에 한 번 이하로 사회적인 교제를 갖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그러나 오클랜드 대학교의 애덤스 교수는 특히 젊은 세대에서는 소셜 미디어로 사회적 관계를 넓혀가고 있으며 컴퓨터에서만이 아닌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neighbourly.co.nz가 작년 조사한 결과에서는 85.5%의 사람들이 이웃과 더 가까운 관계를 희망하고 있으나 71%가 이웃들을 충분히 만날 기회가 없다고 답했습니다.  반면 AUT 사회학자인 Crothers는 세계의 권위 있는 조사에 따르면 뉴질랜드인의 87%는 스포츠나 자선단체와 같은 사회 단체에 소속되어 있으며 이는 세계에서 4번째로 높은 비율이라고 말했습니다.

 

5-19

▶정부는 10월부터 2년 이내에 주택을 사고 팔 경우 취득된 자산에 세금이 부과될 것이라고 발표했으나, 일부 사람들은 이러한 조치가 해외나, 전문 투자자들에게 거의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으로 믿고 있으며, 다른 사람들은 이조치가 생각처럼 명확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뉴질랜드 전역에 대략 600 만 달러 상당의 주택을 관리하고 있는 장기 전문 투자가인 쉐인 알렌 씨는 이러한 조치에 염려를 하고 있지 않고 있습니다.

알렌씨는 우리가 사고 파는 주택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신고를 하기 때문에 이조치는 우리에게 전혀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며, 우리는 어쨌든 세금을 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전 IRD 임원은 세금 규정을 강화하는 정부의 조치가 효력을 발휘할까에 대해 회의적이며, 국민들은 결국에는 후회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로빈 올리버 씨는 IRD 에서 정책 담당 부 위원으로 16년을 근무했었습니다. 

올리버 씨는 주택 투자자들에 대한 이러한 새로운 세금 정책은 명확하게 보일 수가 있으나, 상당히 복잡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흑자에 대한 4년 동안의 약속이, 이번 회계연도 목요일 예산발표에서 정부가 굳은 약속을 어긴 것을 확인하게 됩니다.

빌 잉글리쉬 재무 장관은 다시 한번의 적자 기록이 문제는 아니라고 말하고 있으나, 야당들은 이러한 적자가 국민당이 정부의 회계장부를 관리하는데 신뢰할 수 없음이 증명됐다고 말했습니다.

노동당의 그란트 로버트슨 재무 담당 대변인은 국민들은 이러한 적자에 대해 분명히 알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중의 하나는 국민당이 선거전에 한 공약들 중 첫 번째 약속 이었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녹색당 메티리아 투레이 공동당수도 이에 동의했으며, 국민들은 실패한 경제 관리에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빌 잉글리쉬 재무 장관은, 정부가 올해에는 흑자를 달성하지 못했다 할지라도, 정부의 회계장부가 흑자를 향해 나가고 있다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뉴질랜드 일일 뉴스' 코너 안내 admin 2011.08.02 53199
715 KCR카톨릭방송(2015년5월14일) 한인회사무국 2015.05.14 41
714 KCR카톨릭방송(2015년5월15일) 한인회사무국 2015.05.15 104
713 KCR카톨릭방송(2015년5월18일) 한인회사무국 2015.05.18 80
» KCR카톨릭방송(2015년5월19일) 한인회사무국 2015.05.19 64
711 KCR카톨릭방송(2015년5월20일) 한인회사무국 2015.05.20 54
710 KCR카톨릭방송(2015년5월21일) 한인회사무국 2015.05.21 61
709 KCR카톨릭방송(2015년5월22일) 한인회사무국 2015.05.22 80
708 KCR카톨릭방송(2015년5월25일) 한인회사무국 2015.05.25 98
707 KCR카톨릭방송(2015년5월26일) 한인회사무국 2015.05.26 73
706 KCR카톨릭방송(2015년5월27일) 한인회사무국 2015.05.27 47
705 KCR카톨릭방송(2015년5월28일) 한인회사무국 2015.05.28 62
704 KCR카톨릭방송(2015년5월29일) 한인회사무국 2015.05.29 112
703 KCR카톨릭방송(2015년6월1일) 한인회사무국 2015.06.02 55
702 KCR카톨릭방송(2015년6월2일) 한인회사무국 2015.06.02 53
701 KCR카톨릭방송(2015년6월3일) 한인회사무국 2015.06.03 65
700 KCR카톨릭방송(2015년6월4일) 한인회사무국 2015.06.04 71
699 KCR카톨릭방송(2015년6월5일) 한인회사무국 2015.06.05 64
698 KCR카톨릭방송(2015년6월8일) 한인회사무국 2015.06.08 74
697 KCR카톨릭방송(2015년6월9일) 한인회사무국 2015.06.09 95
696 KCR카톨릭방송(2015년6월10일) 한인회사무국 2015.06.10 109
Board Pagination Prev 1 ...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 107 Next
/ 107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