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79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점차 도시들이 지구 온난화 문제를 기본 도시계획을 하는데 고려하고 있다는 반가운 소식입니다. 물론 여전히 경제개발이 우선적으로 고려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지만요. 즉 도시의 수반을 맡고 있는 사람들의 대다수는 여전히 취업난, 도시성장 및 비용절감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지만 지구 온난화도 점차 그들의 의사결정단계에서 미약하나마 영향을 주기 시작했다니, 우리 후손이나 우리 자신들을 위해서도 다행이 아닐 수 없습니다. 

사실 지구 온난화 문제는 부지불식간에 우리 도시생활의 전반에 걸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그러나 실지로 도시계획에  있어서 필요불가결하게 고려된 것은 요근래 일입니다. 물론 아직도 그렇지 않은 도시들이 현실이구요. 

전세계 300개 이상의 도시들에 대한 설문조사결과에 따르면 전세계 75 퍼센트의 도시들이 지구 온난화 문제를 도시계획할 때 중요하게 반영하며, 73퍼센트의 도시들은 기후 완화와 기후 적응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고려한다고 합니다. 즉, 온실가스배출을 줄이고 장기간의 변화를 도모한다는 것입니다. 본 항목에서 호주와 뉴질랜드의 도시들은 91 퍼센트의 높은 점수를 획득했습니다. 하지만 단지 21 퍼센트의 도시들만이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지역개발의 목표를 삼고  달성하기 위해  노력한다고 조사되었습니다.

물론 환경보호와 경제개발이 함께 공존하기는 쉽지 않지만 몇몇 도시들은 장려금지급, 교육 그리고 친환경건축회사가 성장하도록 법적 장치 마련하고 있습니다. 물론 많은 도시들이 아직까지도 지구 온난화 방지 도시계획과 경제개발의 연관성을 찾지 못한 상황입니다.

그러나 경제적 목표와 환경보호는 해결책을 모색하면 상존할 수 있으나, 문제는 시도를 안하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뉴질랜드에서 시행하고 있는 정책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기후 온난화에 대한 지역적 대응을 지원하기 위한 정부의 기금 조성
●프로젝트나 프로그램을 위한 적절한 기금 마련
●고위간부의 지도력 향상
●중간간부의 지도력 형상
●에너지 가격 인상

뉴질랜드는 제도적으로 정책을 마련하고 있으나, 그 밖의 대부분의 도시들은 시장이나 고위 간부들의 지도력이 기후온난화 완화정책마련에 가장 중요한 요인 중에 하나라고 합니다. 

세계적으로 63퍼센트의 도시들이 1명에서 5명 사이의 인원을 기후 변화에 대비한 도시계획전담 직원으로 고용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북미 도시들은 1명의 직원이 기후변화에 관련하여 고용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기후변화에 대비하기 위한 충분한 직원을 고용하기 위한 예산부족이 67퍼센트의 도시들에게 심각한 어려움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지방의 사업체들은 상대적으로 기후 온난화에 대한 정책반영에 기여도가 떨어졌으며, 비영리단체와 같은 지방의 시민단체가 있는 도시들일수록 정책마련에 참여도가 높게 나타났습니다. 

한편 85 퍼센트의 도시들은 대기중에 지역온실가스량을 조사하였으며, 도시내에서 소비된 상품이나 서비스로 인한 연관온실가스 배출량을 조사한 도시는 15 퍼센트였습니다. 

아직 시작 단계이지만 이러한 정책들은 장기적으로 온실가스배출량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다행히 뉴질랜드는 이번 조사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이러한 조사나 결과물로 인하여 기후온난화와 영속가능한 도시 개발의 연관성이 점차 뚜렷해지고, 그로 인하여 기후온난화에 대한 고려가 도시계획단계에서 반드시 고려되도록, 변화가 가속화 되기를 기대해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9 유영준 2014년 주택감정가 산출 실시 플래너 2014.07.25 1402
118 유영준 Low Impact Development원리 주택개발에 적용 플래너 2015.06.03 189
117 유영준 Mixed Housing 죤 개정안 플래너 2016.02.23 99
116 유영준 가파른 성장으로 오클랜드 환경 위기 플래너 2016.02.23 219
115 유영준 값싼 주택 공급 방안 플래너 2014.03.19 970
114 유영준 값싼 주택비와 값싼 생활비 플래너 2014.06.10 1306
113 유영준 값싼주택 실행여부 의문 플래너 2014.03.19 1377
112 유영준 강과 호수의 수질개선 시급 플래너 2014.07.25 780
111 유영준 개발업자의 새로운 주택 재정지원 방안 주목 플래너 2015.06.03 199
110 유영준 건강에 좋은 도시 플래너 2014.03.19 896
109 유영준 건축 허가량 한계점 도달 플래너 2015.06.03 165
108 유영준 고정화 현상 플래너 2014.03.19 956
107 유영준 고층 건물 없이 거주 밀도 높이는 방안 플래너 2015.06.03 245
106 유영준 급속한 건축허가 증가 플래너 2014.03.19 1609
105 유영준 긍정적 도시 경험을 만드는 것은 무엇일까? 플래너 2014.09.04 853
104 유영준 뉴질랜드 최고층의 건물 플래너 2014.03.25 1463
103 유영준 뉴질랜드의 배타적 경제수역 플래너 2014.03.19 1926
102 유영준 다양한 이동방안 절실 플래너 2015.06.03 102
101 유영준 대체 투자대상 플래너 2016.02.23 114
100 유영준 도로 역할 재조명 플래너 2015.06.03 18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