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유영준
2014.06.10 05:53

위기에 강한 도시들

조회 수 111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일전에 위기에서 회복을 잘할 수 있는 도시(Resilient City)가 점점 더 각광을 받게 될 거라고 말씀 드린 적이 있습니다. 이유는 언제 어디서 자연 재해나 금융위기, 테러 등이 우리 도시를 위협할 지는 모르지만, 그 빈도나 규모 그리고 그로인한 충격은 더욱 더 커져갈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러한 이유의 기저에는 도시화, 세계화 그리고 기후변화가 주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도시화의 진행은 더 많은 인구의 집중을 의미하며 이로 인한 환경 파괴는 자연 정화능력 밖의 일입니다. 또한 세계화로 인해 기회와 발전이 있을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각국이 서로 연결되고, 역동적이며 좀더 복잡해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사스의 발병으로 아시안 국가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은 것을 잊지는 않으셨겠지요. 온난화 현상, 해수면 상승 및 기후 패턴 변화는 자연 재해의 발생 가능성을 상당히 높이고 있습니다.

영국의 한 부동산관련 회사가 조사를 진행하여 최근 세계 100대 도시들의 위기에 강한 정도에 따른 서열이 발표되었습니다. 위험에 노출된 정도와 유연한 대처능력, 이 두가지 요소들에 대한 점수를 매겨서 각 도시들을 평가했다고 합니다.

위험에 노출된 정도는 기후변화의 위험, 오염이나 도시확장에 따른 환경 저하, 기간자원, 기간시설 및 지역 공동체의 융화정도에 따라 평가되었다고 합니다.

유연한 대처능력 즉 심각한 위험을 예방하거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도시의 능력은 정부의 지도력 (민주주의, 언론의 자유, 공동체의 참여도, 투명성, 책임성 및 지도자의 장기 비젼), 강한 법령, 학습능력 (좋은 기술학교 보유 포함), 재난 대책 전문가 유무 그리고 재정적 뒷받침 등이 고려되었습니다.

놀라운 것은 캐나다의 세개의 도시 즉 토론토, 밴쿠버 그리고 캘거리가 1위에서 부터 3위를 차지하였고 미국의 도시들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뉴질랜드의 도시들은 이번 조사대상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한편 한국, 브라질, 러시아, 인도 그리고 중국이 낮은 점수를 받았는데, 빠른 경제적 성장이 장기적인 위기관리를 뒷받침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결과 나타났습니다. 

즉, 인구의 급격한 증가가 예상되는 국가들이 위기에 약한 도시들로 평가되어 큰 인명피해가 나타날 소지가 많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위기에 강한 도시로 만들려면 도시를 계획하고, 건설하고 운영하는데 좀더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크라이스트 쳐치처럼 재해가 발생된 다음에 도시를 재건하는데는 천문학적인 돈이 들어가게 되는데, 이로인해 정부로서는 다른 목표에 투자할 여력을 상실하게 됩니다. 또한 다른 도시들도 그로 인하여 정부의 지원금이 줄어들거나 취소되기도 하였으므로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또한 최근에 뉴질랜드 집값의 폭락을 주장하는 학자들의 발표로 부동산 시장에 대한 위기론이 대두되기도 했으며, 되려 집값이 하락하는 지방도시의 주택가격 하락을 더욱 부추길 수도 있어 이에 대한 위기 대책도 조만간 필요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위기에 강한 도시는 다른 도시들에게도 이익이 되며 좀더 나은 세계를 창출하는데 기여하게 되는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9 유영준 오클랜드 유니타리플랜의 주거용 죤 일부 개정 번복 플래너 2016.03.04 275
58 유영준 오클랜드 쓰나미 재난 대피지도 플래너 2014.06.10 1211
57 유영준 오클랜드 디자인 메뉴얼 플래너 2014.03.19 1022
56 유영준 오클랜드 도시전망보호 규제 플래너 2016.02.23 121
55 유영준 여가선용 낚시 공원 지역 지정 제안 플래너 2016.02.23 259
54 유영준 어린이를 위한 도시를 건설하는 방법 플래너 2016.02.23 233
53 유영준 앞으로 50년후 오클랜드는 어떤 모습일까요? 플래너 2014.03.06 1531
52 유영준 쓰레기 관리 본격화 임박 플래너 2014.06.10 1263
51 유영준 신속한 대단위 주택공급 추진 플래너 2014.03.19 1032
50 유영준 식수를 위한 자연 인프라 투자가 주는 장점 플래너 2016.02.23 229
49 유영준 시급한 기간시설 확충 플래너 2014.03.19 1229
48 유영준 수질 개선 관심 필요 플래너 2014.03.19 1421
47 유영준 수정된 오클랜드 도시계획지도 플래너 2016.03.23 467
46 유영준 소형주택으로 주택난 해소 플래너 2014.04.02 1559
45 유영준 세번째 주택조약 도시 발표 및 신주택 허가량 최고치 기록 플래너 2014.07.25 814
44 유영준 세계적인 식량 전쟁 시대 플래너 2014.09.04 853
43 유영준 세계는 스마트 도시로 플래너 2014.03.19 969
42 유영준 생물친화적 도시 각광 플래너 2014.09.04 717
41 유영준 새주택 프로젝트와 유니타리 플랜 플래너 2014.03.19 972
40 유영준 불확실한 미래 대비하는 도시 플래너 2014.09.24 65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