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유영준
2014.04.14 16:40

도시의 계획적 성장의 중요성

조회 수 137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뉴질랜드는 86%의 인구가 도시지역에 살고 있을 정도로 도심화가 잘 되어있는 국가 입니다. 특히 주요 도시의 인구는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성장은 지역마다 큰 편차를 보이고 있으며 북섬의 상부지역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인구변화 양태로 인하여, 기존과 신규 도시인구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토지사용 및 토지수요의 변화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도심지의 인구성장과 구성인구의 성별, 연령별 그리고 인종별 변화는 결국 경제적, 사회적 그리고 정치적 구조에까지 영향을 끼치기 때문입니다.

뉴질랜드의 도시지역은 공적 그리고 사적인 투자를 통하여 성장과 개발에 큰 촛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따라서 집, 상점, 여가문화시설 그리고 일터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공동체 및 사회기간시설 마련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도심지의 인구가 성장함에 따라, 고품질의 생활환경을 유지하면서도, 그에 부응하는 새로운 집과 기간시설 확충이 도시계획을 하는 사람들에게는 계속되는 크나큰 난제였습니다.

제대로 되지 않은 도시계획하에서 이루어진 성장은, 주민들의 장기간 복지를 가능하게 하는 요구와 이익을 반영할 수 없는 기능면에서 떨어지는 실패한 도시지역을 생산하게 되는 부정적인 결과를 만들게 됩니다.

우리 생활의 질과 경제에 악영향을 끼치는, 대기와 물의 오염, 교통체증, 치안문제, 과다 에너지 사용 및 비용 등등은 비효율적으로 사용된 기간시설의 결과물로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매일 겪게 되지요. 반면에 잘 계획된 성장은 좋은 생활환경을 갖춘 경쟁력있는 도시 탄생을 이끌어내게 됩니다.
더나아가, 미래세대들을 위해서는 문화적, 환경적, 경제적 그리고 사회적 영속성이 있게 도시성장이 진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지역마다 성장을 받아들일 수 있는 능력이 다를 수도 있으므로 이 또한 감안하여 도시화가 진행되어야 하겠습니다.

뉴질랜드는 환경적 그리고 지역적 다양성 뿐만 아니라 그로인해 취약성도 지니고 있습니다. 도시와 시민들은 해수면 증가, 화산폭발, 지진, 홍수, 지질학적 불안정으로 인해 언제 영향을 받을지 모릅니다.

이러한 자연재해는 도시와 시민을 지원하는 사회 경제적 구조의 붕괴를 초래하여 인적 그리고 경제적 피해를 더욱 증가시킬 것입니다. 그러나 잘 계획된 도시성장은 적합한 개발 표준을 적용하고 저위험지역에 개발을 유도하여 이러한 위기를 줄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잘 계획된 도시성장은 어떻게 이루어질 것인가? 상기글에서 간략히 언급한바대로 아마도 다음의 도시계획원칙이 반영된다면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도시지역 확대 증진
● 도시환경의 질과 제반환경에 대한 계획
● 도시 이용자들의 다양한 목적 (주거, 비지니스, 레져활동 등) 수용계획
● 재개발이나 도시지역인접 외곽지 개발 을 통한 도시성장 장려
● 주택의 선택성 및 다양성 확보
● 공공교통의 다양성 확보
● 도시성장의 결정에 지역민의 협력 장려
● 환경적 위기에 대한 분석 및 대처방안 마련

도시계획 원칙이 원칙으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실현이 되고, 각계의 전문가들과 정치인들의 좀더 많은 협력을 통해서 뉴질랜드가 당면하고 있는 도시성장문제를 해결하여, 미래에 물려줄 자랑스러운 도시 건설이 이루어졌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9 유영준 자원 관리법 개정 플래너 2015.06.03 90
38 유영준 자원 관리법 개정 임박 플래너 2015.06.03 146
37 유영준 장래 오클랜드 주택에 대한 고찰 플래너 2014.03.19 934
36 유영준 재생 에너지 이용 증가세 플래너 2014.11.13 667
35 유영준 젊은 세대의 주거 특성 플래너 2016.02.23 110
34 유영준 정부부지의 개방과 주택의 다양성 플래너 2016.02.23 119
33 유영준 종합적인 거대개발계획 달성은 공사협력사업 통해 플래너 2016.02.23 236
32 유영준 주거비용을 절약하는 사람들 플래너 2016.02.23 131
31 유영준 주택 가격상승, 누구 잘못인가 플래너 2015.06.03 163
30 유영준 주택 가치의 역동적인 변화 플래너 2014.03.19 895
29 유영준 주택 공급과 수요의 큰 격차 플래너 2016.02.23 112
28 유영준 주택가격 하락 요인 플래너 2014.06.10 1368
27 유영준 주택선택요소들 플래너 2016.02.23 99
26 유영준 주택위기 해결과제 플래너 2016.02.23 222
25 유영준 지구 온난화 문제 도시 계획에 반영 시도 플래너 2014.07.25 799
24 유영준 지구 온난화 현상 플래너 2014.03.19 1399
23 유영준 지구의 미래 운명은 도시 계획 방법에 의존 플래너 2016.02.23 225
22 유영준 지방정부의 현재 및 장래 재정난 방안 플래너 2015.06.03 169
21 유영준 지역 플랜과 컨센트 원서작성 디지털시대 임박 플래너 2016.02.23 221
20 유영준 지역간 불평등 완화 절실 플래너 2016.02.23 11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