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168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두바이는 오랜 동안 도시계획자들의 꿈의 도시였으나 외환위기이후 중국의 도시들이 그 자리를 차지했습니다. 중국의 급속한 건설붐은 도시 계획자들에게 새로운 사고방식을 가능하게 하였기 떄문입니다. 즉, 각양각색의 새로운 아이디어가 중국에서는 개발되고 실행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두바이처럼 급속한 도시화가 진행되기에 가능한 일입니다. 

대부분의 유럽 국가들의 경우 도시화가 가져다준 환경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기존의 도시들에서줄이는데 노력한 반면, 중국은 신도시에 환경 친화적인 장치들을 미리 도시계획 단계에 집어 넣을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즉, 유럽의 경우 산업화가 진행된 후 도시들이 들어설 때에 도시화의 환경적인 폐해를 완화시킬 조치들을 미리 강구할 수 없었습니다. 반면 중국은 유럽 도시들의 실수로 부터 얻은 교훈을 토대로 신도시를 계획하고 만들어 나갈 수 있는 것입니다.

기후변화가 점차 문제가 됨에 따라, 초기 단계부터 신도시들의 교통, 에너지 사용, 물사용 그리고 쓰레기 문제 등을 계획단계에 이미 고려하여 반영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이용을 줄이도록 자전거도로를 만드는 일 등이 그 예일 것입니다.

영국에 기반을 둔 한 저명한 도시계획 컨설팅회사에 따르면, 150명의 도시계획자들을 직원으로 고용하고 있는데, 100개 이상의 중국도시에서 800개 정도의 프로젝트를 완료했다고 합니다.

예를 들면, 송장신도시의 마스터 플랜을 마련하는 프로젝트도 그 회사에서 했는데, 상하이의 인근에 위치하며 상하이의 광역시에 하나로서 2001년에 상하이 도시개발위원회에서 통과된 9개도시계획의 일환으로 신도시로 개발될 예정입니다.

송장시는 영국의 정원도시개념을 이용하여 개발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단, 영국과 다른 점은 인구 밀집도가 높다는 점이고, 이를 감안하여 마스터플랜 수립과정에서 부터 반영하여 계획된다고 합니다.

송장시는 전통적인 유적과 문화를 간직하고 있는데, 전체적인 도시 디자인에 반영되도록 노력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정원 도시에 대해 잠깐 말씀드리자면, 1898년에 영국의 도시계획자인 Ebenezer Howard가 처음 제안한 개념으로 자급자족이 가능한 공동체를 중시하며, 주위의 환경과 조화를 이루며 거주민이 생활하는 도시를 일컬는 것입니다.

송장시는 전통적인 풍경에 골프코스와 같은 현대적인 여가시설이 잘 어우러지도록 세심한 배려에 의해 탄생될 것이라고 합니다.
이번 프로젝트의 중점은 문화유적을 파괴하는 것이 아니라 잘 표현하여 현대적인 삶과 교통 그리고 시설과 잘 융합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송장시에서 주목할 만한 것으로는 Shimao 원더랜드 인터컨티넨탈 호텔로, 90미터 깊이의 채석장 위에 지어질 예정이며 건축학적, 구조적 그리고 기술적으로 뛰어난 건축물로 인정받게 될 것이라고 합니다.

그 호텔은 5성급으로 기존의 풍경을 좀더 혁신적인 방법으로 표현할 것이라고 합니다. 즉, 채석장에 이미 고여 있던 물을 주요 주제로 삼아 스파와 수영장을 비롯한 수상스포츠를 위한 장소로 만들 예정이며, 해수면 이하의 지역은 수족관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합니다.

90미터 깊이라는 장소의 특이성으로 고층호텔은 짓지 못하지만 채석장을 이용하여 흥미로운 디자인을 고안하고 실행할 수 있었습니다.

물론 신도시에도 도시계획자의 역할이 필요하지만, 늘어나는 도시 인구에 대처하고 기존 도시에 새로운 변화를 주는 프로젝트도 많이 진행되고 있다고 합니다. 즉, 자가용이 늘어남에 따라 교통문제가 대두되며, 수질문제 또는 도시환경의 질적 향상도 필요하다는 겁니다.

사천성의 수도인 청두의 경우 여유로운 생활환경으로 유명했으나 급속히 성장하는 고기술산업체들의 발달로 도시의 재탄생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도심지에 저속도로를 늘리고, 횡단보도에 중간 쉽터를 제공하여 보행자 안전을 높이며, 큰 공원 주위에 상점, 식당과 같은 여가시설을 늘리고, 중요한 공공건물에 식물을 많이 사용하여 재탄생을 도모한다는 계획입니다.

성공의 관건은 지역의 특색을 잘살리는데 있다고 합니다. 청두는 재래시장들과 같이 많은 역동적인 지역들이 있습니다. 또한 강과 같은 자연적 특색도 갖추고 있고요. 이들을 무시하는게 아니라 잘 살리는게 중요합니다. 즉 도시의 재탄생은 그 도시의 특색을 파악하고 더 돋보이게 만드는 것이라고 합니다. 도시계획자의 한사람으로서 그곳에서 자신의 직업적 비젼을 실현하는 사람들이 부러울 따름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9 유영준 도보습관은 어릴때 부터 플래너 2014.03.19 1366
98 유영준 도시 계획의 사회적인 순기능 플래너 2014.03.19 1324
97 유영준 값싼 주택비와 값싼 생활비 플래너 2014.06.10 1306
96 유영준 쓰레기 관리 본격화 임박 플래너 2014.06.10 1263
95 유영준 시급한 기간시설 확충 플래너 2014.03.19 1229
94 유영준 오클랜드 쓰나미 재난 대피지도 플래너 2014.06.10 1211
93 유영준 임대 주택 관심 절실 플래너 2014.03.19 1127
92 유영준 위기에 강한 도시들 플래너 2014.06.10 1110
91 유영준 유니타리플랜과 오클랜드의 노령인구 플래너 2014.03.19 1108
90 유영준 웨스트 게이트 프로젝트 플래너 2014.03.19 1096
89 유영준 신속한 대단위 주택공급 추진 플래너 2014.03.19 1032
88 유영준 하우징 뉴질랜드 소개 플래너 2014.09.04 1027
87 유영준 오클랜드 디자인 메뉴얼 플래너 2014.03.19 1022
86 유영준 도시 형태와 에너지 플래너 2014.03.19 1011
85 유영준 새주택 프로젝트와 유니타리 플랜 플래너 2014.03.19 972
84 유영준 값싼 주택 공급 방안 플래너 2014.03.19 970
83 유영준 세계는 스마트 도시로 플래너 2014.03.19 969
82 유영준 고정화 현상 플래너 2014.03.19 956
81 유영준 장래 오클랜드 주택에 대한 고찰 플래너 2014.03.19 934
80 유영준 인간에 의한 30년간의 놀라운 지구변화 플래너 2014.03.19 92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