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유영준
2015.06.03 04:04

오클랜드의 장기 주택부족

조회 수 16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정부의 사업혁신고용부 보고서에 따르면, 정부의 주택 조약 및 특별주택지구에 힘입어 새로운 주택을 토지를 마련한다고 하더라도 오클랜드의 주택부족은 최소 향후 5년에서 10년간 계속될 것이며, 최근 이와 관련된 정부의 개혁은 결국 주택 구매자보다는 개발업자에게 이익을 선사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참고로 주택조약은 시청으로 하여금 특별주택지구를 선정하여 신속한 승인과정을 거쳐 주택 개발을 빠르게 진행하도록 정부와 해당 시청이 맺은 한시적 조약입니다. 한편 본지구의 일정비율에 해당하는 주택은 소득범위내에서 구입가능한 주택이어야 합니다.

사업혁신고용부의 모델링에 따르면, 향후 10년간 오클랜드는 오클랜드 시청이 목표로 하는 5만채의 주택에 더불어 2만2천채의 주택이 추가로 필요하다고 합니다.

반면에 크라이스트쳐치는 2017년에 주택부족이 모두 해소될 것이라고 합니다. 유례없는 건축허가서에 따른 건축진행상황이 그러한 예측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본 보고서에 따르면 특별주택지구 선정으로 인해 1,360 헥타르에 이르는 새로운 개발택지가 오클랜드에 공급되어 약 만3천채의 주택이 마련되게 되는데, 이는 단지 인구증가율을 따라가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합니다.

주택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정부가 하는 노력중의 일환으로 자원관리법의 개정이 있는데, 이로 인해 많은 투자가 유치될 것으로 정부는 예상하고 있지만, 향후 5년에서 10년 사이에 오클랜드가 필요로 하는 주택개발 투자금이 110억에서 130억불에 이른다고 하는데 과연 이러한 천문학적인 금액을 어떻게 마련할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주택부족이 있는 지역에서 최근의 두가지 정부 방안들은, 결국에는 주택구매자들 보다는 개발업자들에게 더욱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고 합니다.

그 두가지 방안은, 수입된 건축자재에 대한 무역장벽 철폐와 기간시설에 대해 시청이 개발분담금을 요구할때 좀더 투명하게 내역을 밝히도록 하는 법개정 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보고서의 권고사항 중에 하나는 정부의 땅을 주택지로 허용하는 것입니다. 오클랜드에 이러한 토지가 7만 헥타르에 이르는데, 이중에는 시청의 공원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저도 일전에 이러한 방안을 제시한 적이 있는데, 토지부족문제를 해소하며 이미 개발된 지역에 토지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우징 뉴질랜드 주택과 같은 공공주택이나 그 밖의 주택들을 포함하여 이미 주택지 중심에 많은 땅이 정부 소유입니다. 

하우징 뉴질랜드의 토지중 50헥타르 이상의 대단위 개발이 현재 향후 10년간 오클랜드의 주택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의미있는 방안이라고 보고서는 밝히고 있습니다.

한편 5헥타르나 10헥타르에 해당하는 작은 개발들은 특정지역의 주택부족문제에 대해 일단 숨통을 트는 역할을 할 뿐입니다. 

하지만 그러한 개발계획에 따른 주택공급은 이미 누적된 주택부족을 극복하기에는 역부족인 것으로 보입니다. 
주택문제는 국가적으로 신속한 해결안이 요구됩니다. 하지만 수요와 공급의 엄청난 격차를 볼때, 정부에서 해결하기에는어찌보면 현재의 상황은 역부족일 수도 있어 보입니다.  그리고 저희 후손들은 렌트가 당연한 세대일 것으로도 보입니다. 급격한 제도 변화로 주택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겠지만, 자원관리법, 건축법, 이민제도 등 다각적으로 장기간에 걸쳐 해결점에 접근한다면 점진적으로 상황이 개선되지 않을 까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9 유영준 특별주택지구와 주택시장 플래너 2014.05.01 1611
78 유영준 도심철도구간 플래너 2014.05.01 1614
77 유영준 위기에 강한 도시들 플래너 2014.06.10 1110
76 유영준 오클랜드 쓰나미 재난 대피지도 플래너 2014.06.10 1211
75 유영준 값싼 주택비와 값싼 생활비 플래너 2014.06.10 1306
74 유영준 주택가격 하락 요인 플래너 2014.06.10 1368
73 유영준 쓰레기 관리 본격화 임박 플래너 2014.06.10 1263
72 유영준 강과 호수의 수질개선 시급 플래너 2014.07.25 780
71 유영준 향상된 대기 오염 지수 플래너 2014.07.25 913
70 유영준 지구 온난화 문제 도시 계획에 반영 시도 플래너 2014.07.25 799
69 유영준 2014년 주택감정가 산출 실시 플래너 2014.07.25 1402
68 유영준 세번째 주택조약 도시 발표 및 신주택 허가량 최고치 기록 플래너 2014.07.25 814
67 유영준 밀집된 형태 도시와 주택 가격 플래너 2014.07.25 860
66 유영준 생물친화적 도시 각광 플래너 2014.09.04 717
65 유영준 세계적인 식량 전쟁 시대 플래너 2014.09.04 853
64 유영준 홉슨빌 지역의 특별주택지구 플랜변경 진행 플래너 2014.09.04 918
63 유영준 긍정적 도시 경험을 만드는 것은 무엇일까? 플래너 2014.09.04 853
62 유영준 하우징 뉴질랜드 소개 플래너 2014.09.04 1027
61 유영준 집이냐 상업용 건물이냐? 플래너 2014.09.24 853
60 유영준 불확실한 미래 대비하는 도시 플래너 2014.09.24 65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