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사회 지도층에도 도덕적 의무로써 노블레스 오블리제가 최우선입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노블레스(Noblesse)닭의 벼슬을 의미하고, 오블리제(Oblige)달걀의 노른자라는 뜻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두 단어를 합성해 만든 "노블레스 오블리제"(Noblesse Oblige), 닭의 사명이 자기의 벼슬을 자랑함에 있지 않고 알을 낳는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사회 지도층의 도덕적인 의무를 표현할 때, 사회로부터 정당한 대접을 받기 위해서는 자신이 누리는 명예(노블레스)만큼 의무(오블리제)를 다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로마제국 귀족들의 절제된 행동과, 납세의 의무를 다하는 모범적 생활은 평민들에게 귀감이 되어 국가 천년을 지탱하는데 초석이 된 것입니다. 그들은 전쟁이 일어나자, 국가에 사재를 헌납하고, 솔선수범하여 전장에 나가 피를 흘리며 싸우는 것을 영광으로 생각했습니다.

 

영국과 아르헨티나의 전쟁 때 영국의 왕자 앤드류는, 헬기조종사로 전쟁에 참여하여 많은 사람을 대신하여 죽을 수 있다는 상류층의 책임감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사회 저명인사나 상류층의 병역기피, 뇌물수수, 탈세, 부동산 투기 등이 사회 속에 오래된 병폐로 그대로 있어 수치스런 모습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조선시대 정조대왕 당시 흉년으로 인한 기근으로, 식량난에 허덕이던 제주도 사람들을 위해 전 재산으로 쌀을 사서 분배했던, “거상 김만덕처럼, "노블리스 오블리제"를 실천한 역사적인 사례도 있어 자랑스러웠습니다.

 

지금은 서울이나 오클랜드 사회에서 일부의 상류층 인사들도, 서양의 상류층 인사들의 행동을 본받아야 할 것입니다. 우리는 "노블레스 오블리제"와 비슷한 뜻으로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이 맑다"는 격언으로, 상류층에 있는 사람들이 올바른 모범을 보여 주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의 기대를 이루지 못하는 일부의 한인들이 우리를 실망시키기도 합니다. 이제는 권력이 있는 사람이나, 명예가 있거나, 재산이 많은 재력가들이, 자신의 생각을 바꾸어 나가야 할 때입니다. 과연 권력과 명예는 누가 준 것이며, 그와 같은 재산형성은 누가 가능케 한 것입니까?

 

우리는 겸손한 자세로 한인들을 섬기고, 소비자를 위해 진정으로 무엇을 할 것인가를 깨달아야 합니다. 그만큼 누리고 있다면 그만큼 의무를 다해야 합니다. 영국의 왕자 앤드류나, 조선시대의 김만덕처럼, 상류층의 인사들이 사회적 의무를 다하는 새로운 문화를 형성해 나갈 때만이, 선진화된 사회로 들어 갈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할 것입니다. 그러므로, 진실된 도덕적 의무로써 노블레스 오블리제가 최우선이어야 하는 것입니다.

 

부자와 빈자를 구분할 때, 모두가 재물의 많고 적음에만 관심을 갖지만, 참 부자는 재물의 양과 관계없이 마음이 넓고 깊으며 다른 사람을 진실로 사랑하는 사람으로서, 재물을 제대로 관리하고 사용할 줄 아는 사람인 것입니다. 재물은 많지만 다른 사람을 배려하지도 않으며 자신과 자신의 가족만을 챙기려는 사람은 홀로 부자라고 자처할 수는 있겠지만, 우리는 그 사람을 존경하지도 않으며 참 부자로 인정하지도 않는 것입니다. 가진 것은 부족하지만 마음이 넓고 깊고, 다른 사람을 먼저 배려할 줄 아는 마음을 가진 사람을 참 부자라고 볼 수 있는 것입니다. 어떻게 우리는 참 부자가 될 수 있는 것입니까? 참 부자는 자신에게 주어진 재물을 제대로 지배할 수 있지만, 가짜 부자는 모든 일에 오히려 돈의 지배를 받는다는 사실인 것을 깨달아야 하는 것입니다.

 

지금은 오클랜드 사회에서도 결국 도덕적 의무가 어려운 일이 아닐 것임을 깨닫고, 우리가 함께 노력해야 할 때인 것입니다. 영원히 살 것처럼 배우고, 내일이 오면 죽을 것처럼 열심히 살아 가는 것입니다. 우리가 사는 공동체를 위해 아무나 사회적 지도자로 자처할 수 는 없는 것입니다. (Everyone can never claim to be a social leader for our community.)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수채화아티스트/기도에세이스트/칼럼니스트 제임스로부터.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7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새해에는 상처를 치유하고 용서로 사랑할 때입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6.12.28 111
146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새해를 맞이하는 즈음에 내 친구와 내 이웃을 초대하는 것입니다. 1 제임스앤제임스 2013.01.05 5204
145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새로운 삶의 오클랜드의 생활에서 나이가 들면 신명 나는 좋은 세상을 살겠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8.03.19 47
144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살아가며 화를 내지 않아야 아름답게 나이가 들어 가게 되는 것입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3.09.02 2411
»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사회 지도층에도 도덕적 의무로써 노블레스 오블리제가 최우선입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4.06.28 1021
142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사업 안에서 성공하는 방법을 배워야 합니다. (1) 제임스앤제임스 2012.10.03 3096
141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사랑하는 우리의 오클랜드의 벗들아. 제임스앤제임스 2014.01.18 1715
140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사랑하고 감사하며 기도하고 기뻐하며 살아가야 합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3.07.21 2450
139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불쌍하고 가난하고 눈 멀고 벌거벗은 사람이 있음을 알아야 합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4.04.12 1513
138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불경기에서 살아남기 위해 가까운 곳의 행복을 찾아라. 제임스앤제임스 2011.10.10 2167
137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봄저녁 노을을 보며 꼭 오클랜드 친구에게 편지를 쓰고 싶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9.05 186
136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보타니 정원에 떨어지는 매화꽃잎들을 보면서 겸손해졌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4.11.04 714
135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모두에게 손 내밀어 잡아 주며 따뜻한 마음으로 친구가 되어 주기로 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4.03.22 1717
134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모두가 직분에 충실하는 것이 최선입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2.01.05 1807
133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모두 즐겁게 하자고 용기를 주고 격려해 줄 것입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1.12.24 2084
132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명품은 아시아인을 위해 만들었습니다. (2) 제임스앤제임스 2012.05.05 3295
131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명품은 아시아인을 위해 만들었습니다. (1) 제임스앤제임스 2012.04.28 1820
130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명예와 명성보다는 겸손과 진실을 사랑할 줄 아는 한인들이 언제나 좋아졌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8.04.06 53
129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막걸리 찬가를 소개합니다. - 마음에도 정을 담아 마음으로 취해보고 싶어 막걸리 한 잔 하고 싶습니다. 1 제임스앤제임스 2014.11.23 814
128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대기업의 사회초년생의 사직서가 많은 공감을 던져 주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2.03.25 4930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27 Next
/ 27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