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모두 즐겁게 하자고 용기를 주고 격려해 줄 것입니다.

 

스티브 잡스는 우리를 친구로 삼은 적은 없습니다. 우리가 친구하자고 제안한 적도 없습니다. 오래 전부터 우리는 그를 자연스럽게 친구로 삼았습니다. 동갑내라서가 아니라 그의 특별한 죽음은 우리의 평범한 삶을 돌아보게 합니다.

 

1989년 영화 피터 위어 감독의 죽은 시인의 사회 (Dead Poets Society)”에서 나오는 존 키팅 영어교사가 전하는 메시지는 두 가지가 있는데, “현재를 즐겨라 (Carpe Diem : 카르페디엠)”, “너의 인생을 특별하게 만들어라 (Make Your Life Extraordinary)”라는 것을 기억할 수 있습니다. 학연과 지연과 무관한 우리의 친구인 스티브 잡스는 그렇게 살다가 죽었습니다.

 

영화 속에서, 교사와 제자간의 우정, 경직된 학교와 주입식 교육에 빠진 학생들에게 따뜻하고 자유로운 정신을 심어주는 굴하지 않고 용감한 훌륭한 교사가, 희생양이 되어 학교를 떠나간다는 것이, 마치 죽은 시인의 사회와 같다고 했습니다. 그 교사는 학생의 이익만 생각하고 책임회피에 혈안이 된 모든 사회의 모순을 고발하며, 그 모순 안에서 진심으로 찾아가야 할 자신의 모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어째든, “카르페디엠을 말하고 우리가 하고 싶은 것을 한다는 것은, 엘리트만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우리 모두가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세상은 모범생이 아니라 모험생이 바꾸어 놓았습니다. 옛날부터 그랬습니다. 그들은 고정관념의 삶을 감옥으로 간주합니다. 어떤 틀 안의 삶은 그 자체가 지옥이 될 수도 있습니다. 모두가 어둠을 손님처럼 겸허하게 맞을 때 청년 토마스 에디슨은 이에 맞서 저항했습니다. 암흑의 시간을 못 견디어 하며 끈질기게 부수고 망가뜨리며 드디어 빛을 만들어 냈습니다.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실험을 즐긴 덕분에 혜택을 본 것은 누구일까. 그를 바보가 아닐까라고 의심했던 이웃들이었습니다. 에디슨은 빛을 남겼고 우리는 그에게 빚을 지게 되었습니다.

 

모두가 공중전화 부스 앞에 줄서서 평범하게 차례를 기다렸다면 이동전화는 탄생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그 줄에서 뛰쳐나온 누군가가 우리에게 여분의 시간을 선물했습니다. 우체국에 가지 않아도 됩니다. 걸어 다니며 전보를 치고 곧바로 답장을 받게 됩니다. 음악을 듣고 길을 찾을 수 있게 됩니다.

 

위인은 위대한 말을 남깁니다. 그 말이 그의 삶과 일치할 때 위인으로 인증됩니다. “다르게 생각하라고 외칠 순 있어도 다르게 생각하는 삶을 계속 보여주기는 쉽지 않은 것입니다. 항상 갈망하고 항상 대담하게 전하라고 권할 순 있지만 그대로 항상행하기는 어렵습니다. 스티브 잡스는 그렇게 해낸 우리의 친구입니다. 그가 바꾼 것은 세상이 아니라 세상을 보는 눈인 것입니다.

 

그가 남긴 사과의 향기만으로도 사람들은 각자에게 주어진 시간의 가치앞에 경의와 존경을 표명할 것입니다. 스티브 잡스의 선물꾸러미는 지금도 우리 주머니 안에서 신호를 보냅니다. 밥 먹자고 하기도하고, 술 마시자고도 합니다. 그에게서 받은 것이 있으니 우리도 무언가 주어야겠지, 이제는 괴짜를 인정해야 할 것입니다. 엉뚱한 질문을 던지는 소년에게 여행도 가보라고 용돈을 주어야 될 것 같습니다. 표정이 우울한 뉴질랜드의 청년들이 있다면 죽는 날까지 최선을 다하면, 죽는 날 그대는 최고가 된다라고 조언해 줄 것입니다. 모두 즐겁게 하자고 용기를 주고 격려해 줄 것입니다.

 

만약 천국으로 가는 입구가 있다면 스티브 잡스는 어떤 인터뷰를 했을까. 궁금합니다. 좀 다르게 질문해 보라고 곤란하게 만들지는 않았을까. 토마스 에디슨을 만나서는 어떻게 인터뷰를 했을까. 그들은 최근에 인생을 마감한 친구들을 위해 프리젠테이션을 하고 있지는 않을까. 천국에 들어가는 입구가 붐비거나 조금 소란스러울 것 같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수채화아티스트/기도에세이스트/칼럼니스트 제임스로부터.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87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선택의 자유가 많은 뉴질랜드 생활입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1.12.21 2192
486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이민 14년의 나의 자화상이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1.12.24 2209
»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모두 즐겁게 하자고 용기를 주고 격려해 줄 것입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1.12.24 2084
484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은퇴를 생각하며 건강, 아내, 돈, 친구, 취미를 꼭 챙겨둘 필요가 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2.01.04 4234
483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모두가 직분에 충실하는 것이 최선입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2.01.05 1807
482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22) : 막걸리 찬가를 소개합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2.01.05 2400
481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2012년에는 모두 투명한 사람들이 되게 하소서. 제임스앤제임스 2012.01.08 1979
480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가 사는 일상도 정말 달라져야 합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2.01.15 1816
479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친구야, 설날을 맞아 축복 있기를 바란다. 제임스앤제임스 2012.01.20 1805
478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설날에 우공이산(愚公移山)의 교훈을 새겨볼 때인 것 같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2.01.20 1877
477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한인으로서 맞는 오클랜드의 설날은 우리의 설날입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2.01.20 2323
476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뉴질랜드 희망은 이루어 가고 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2.02.01 1998
475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뉴질랜드 한인 청년들이여, 스펙뿐만 아니라 무형자산을 키우도록 해야 합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2.02.09 8787
474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23) 막걸리 찬가를 소개합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2.02.19 1750
473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Let Us Pray For The Korean Society Of Auckland. 제임스앤제임스 2012.02.26 1941
472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이민생활을 숙제하듯이 살지 않고 축제하듯이 살아갈 것입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2.03.15 1689
471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우리의 큰 변화와 큰 목적을 위해 아끼는 사람을 버릴 수도 있어야 합니다. 1 제임스앤제임스 2012.03.15 1995
470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대기업의 사회초년생의 사직서가 많은 공감을 던져 주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2.03.25 4930
469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24) 막걸리 찬가를 소개합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2.04.01 3297
468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서로 소중히 하며 사는 세상을 만들겠습니다. 1 제임스앤제임스 2012.04.02 239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7 Next
/ 27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