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742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 뉴질랜드가 한국보다 좋은 이유가 있습니다. 역이민을 꿈꾸는 사람들에게. “다시 한국행을 꿈꾸십니까?”>
 
불황 탓일까요? 요즘 다시 한국에 가서 살고 싶다는 사람들이 꽤 있습니다. “사람 사는 재미가 없고 늘 바쁘기만 했다. 실속 없는 이민생활에 지쳤다.” “이민생활 내내 먹고 사는 문제부터 영어까지, 설움이 말도 못했다. 아이들도 다 컸으니 지금부터 내 나라 내 땅에서 살고 싶다.”
 
이런 말들을 하는 것은 그만큼 뉴질랜드 생활이 밋밋하거나 힘들다는 반증일 것입니다. 죽으라고 고생만한 세월이 서러워서 아니면 갈수록 더 호사함을 누리고 있는 요즘의 고국을 보면서 느끼는 상대적 따돌림 같은 감정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오랜 이민생활 끝에 이런 저런 이유로 고국으로 돌아가고자 하시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한국 정부도 지난해 영주귀국한 사람이 전년보다 증가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유학이나 취업으로 왔다가 돌아간 사람, 고국에서 은퇴생활을 하기 위한 사람, 외국생활에 싫증 난 사람, 영주권이나 시민권을 포기하지 않고 한국에 들어가 사는 사람, 혹은 양쪽을 오가며 사는 사람들도 꽤 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말이 “역이민”이지 다시 돌아가는 것이 말처럼 쉬운 것일까요? 달라진 문화, 달라진 환경은 이미 떠나올 때의 그것이 아닐 것입니다. 완전히 사회활동을 접은 은퇴자가 아니라면 당장 벌어 먹고 사는 일도 문제입니다. 거기다 값싼 노동력 대가를 비교해서 말할 수 있습니다. 한국 물정을 몰라 가져간 돈을 날리거나 사기를 당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고 들었습니다. 그래서인지 고국 생활에 적응 못하고 이런 저런 이유로 다시 “역역이민”을 오는 사람도 적지 않다고 들었고 또한 보았습니다.
 
사실 뉴질랜드에서 살 것인가, 다시 돌아갈 것인가는 전적으로 개인적인 선택(Option) 문제입니다. 하지만 그 선택은 “어디에 살 것인가”라기 보다 “어떻게 살 것인가”를 선택하는 것입니다. 누군가가 나에게 “너는 어느 쪽이냐”고 물어오면 조심스럽지만 나는 “뉴질랜드”라고 대답합니다. 두 가지 이유에서 그렇습니다.
 
하나는, 그래도 뉴질랜드가 좀 더 “감사”를 느끼며 살 수 있는 곳이라는 과거 14년의 체험 때문입니다. 더 많은 시간을 가족과 함께 할 수 있고, 남의 간섭이나 눈치 살피지 않고, 개성대로, 크기대로, 성격대로, 색깔대로, 향기대로, 살 수 있는 사회적 환경이 그렇습니다. 어떻게 보면 단조로운 생활이지만 그로 인해 오히려 작은 일, 사소한 일에도 기쁨을 찾을 수 있는 곳이 바로 이곳이라는 이유도 있습니다.
 
다른 하나는, “자유함”입니다. 한국에선 무엇이든 경쟁이었습니다. 모든 것이 비교가 되었고 남이 하면 무조건 나도 해야 했습니다. 그런 평균적이고 획일적인 것이 싫었습니다. 피곤한 인간관계나 복잡하고 어지러운 환경, 지나칠 정도로 사람 손이 닿은 지연 조차도 생각해볼 때, 뉴질랜드에 온 것이 잘 했다는 생각을 하게 만듭니다. 물론, 나도 뉴질랜드 생활이 불편하고, 답답하고, 괴로울 때가 있습니다. 때로는 한국이 그립기도 하고, 돌아가는 사람을 보면 부러운 마음도 들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곳이 힘들다고 또 다른 탈출구나 피난처로 다시 한국을 선택할 일은 아닌 것 같습니다.
 
태어난 고국은 내가 선택할 수 없었지만, 뉴질랜드 이 땅은 분명히 내 발로 찾아온 곳입니다. 그 선택의 순간은 누구에게나 절실하고 엄숙했을 것입니다. 그러기에 많은 분들이 처음 적도와 남태평양을 건널 때를 떠올리며 첫 마음을 지키며 이민생활에 지친 마음을 어루만지는 것입니다. 우리 이민자들에게 소망의 땅은 이제 한국이 아니라 이곳 뉴질랜드입니다. 나와 우리 후손들의 미래도 모두 이곳에 있습니다. 우리가 숙명적으로 사랑하고 정을 붙여야 할 땅은 그래서 뉴질랜드인 것입니다.
수채화아티스트/기도에세이스트 제임스로부터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7 제임스앤제임스 크리스마스가 되면 오클랜드의 가족과 함께 가까이 있는 행복에 감사하고 있습니다. 1 제임스앤제임스 2014.12.14 651
526 제임스앤제임스 추석만 되면 좋은 오클랜드의 한인친구들이 그리운 날이 많아졌습니다. 1 제임스앤제임스 2015.09.28 202
525 제임스앤제임스 첫마음을 지켜 오던 자랑스런 오클랜드의 친구들이여. 제임스앤제임스 2015.04.23 111
524 제임스앤제임스 참 아름다운 오클랜드의 친구들이 정말 있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1.22 457
523 제임스앤제임스 지금의 계절은 부모님을 생각하고 돌보아 해드리는 오클랜드의 계절입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4.12.21 687
522 제임스앤제임스 지금은 친구에게 첫 봄편지를 쓰고 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4.08.15 568
521 제임스앤제임스 지금은 때가 무르면 오고 갈 때마다, 함께하면서 즐겁게 참여하며 실아 가는 오클랜드가 좋아졌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4.08 184
520 제임스앤제임스 조국과 오클랜드에 사시는 어버이의 은혜에 감사드리는 시간을 드리고 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5.08 123
519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샹이야기 : 우리의 소망들이 함께하는 새해를 기원합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4.01.03 1903
518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한인들의 사랑들은 진정으로 베풀고 줄수록 삶들이 아름다운 것 같았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9.07.29 45
517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화목한 가족의 시간을 만들기 위해 주자십회훈을 생각해보는 것입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3.11.23 2034
516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한인으로서 맞는 오클랜드의 설날은 우리의 설날입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2.01.20 2323
515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한인사회에 꼭 필요하고 진정한 매력을 지닌 한인들을 많이 보았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5.09 126
514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한인부모들은 자신들의 삶을 살고 있는지 자녀들의 삶을 살고 있는지 궁금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9.03.03 56
513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한인들이 행복을 찾아 가는 삶에 충실하는 보통사람의 평등의 법칙을 알았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7.11.23 93
512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한인들이 함께 모이면 열정과 창조적인 기적을 만들어 가는 즐거움이 두 배가 되어 좋았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7.03.03 225
511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한인들의 화합으로 단결할 때 희망이 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3.11.09 1815
510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한인들의 세대를 통해 일상의 삶들의 가치관들이 변화하고 매우 중요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9.10.07 69
509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한인들의 생애를 통해 누리는 축복에서 오는 기회들을 갖고자 원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9.09.02 31
508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한인들의 덕목을 갖고 열심히 사는 오클랜드의 친구들은 우리에게 영원할 것입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6.07.08 25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7 Next
/ 27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