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오클랜드의 사회에서 우리 한인들은 체면을 떨쳐 버려야 살 수 있었습니다.

 

 

"사람이 체면이 있어야지"하며 우리가 쓰는 말이 있습니다. 시대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우리 한인들에게는 위신이나 자신의 명예를 유지하려고 노력하며 살았습니다. 그래서 특히 가식적이고 위선적이고 상당히 형식적인 것에만 치중하게 되어 버려, 반드시 불화와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속담에 "난 부자지만 거지"라는 말이 있습니다. 실속은 없으면서 겉치레만 화려한 한인들을 비웃는 것이었습니다.

 

우리가 대학교를 나오면 우선 법관이나 검사나 공인회계사나 의사가 되어야 하고, 깨끗한 곳에서 돈 많이 벌며 살아야지, 그러나 삽을 들고 현장에 나서거나, 망치를 들고 공장으로 간다면, 부모들은 자녀들이 대학교까지 졸업했는데도 부모들에게는 체면도 말이 아니라고, 자녀들을 걱정하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만약에 어느 모임에 참석했다면, 그 자리에서 서로 의견을 교환할 때 한 사람의 의견과 다르게 생각되는 상황이 있습니다. 그런데 주변의 사람들이 대부분 그 사람의 의견에만 동의를 표할 때, 자기 혼자만 반대 의사를 제시할 수 없어 말도 못하고 어쩔 수 없이 동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부회뇌동(附和雷同)은 천둥소리에 맞춰 함께 한다는 뜻으로, 자신의 소신 없이 다른 사람이 하는 대로 따라 하는 것이었습니다. 이런 현상은 우리 자신의 체면과 큰 관계가 깊어서, 결국 체면이 자신을 타인화(他人化)하게 하는 것입니다. 체면이 자신을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상실해 버리는 상황이 되는 것입니다.

 

우리는 지금까지 덕충효에만 (德忠孝 : Morality, Loyalty, Filial Piety) 중점을 둔 교육을 받아 왔습니다. 지금 젊은 사람들과는 달리, 40대와 50대는 그런 교육을 많이 받고 살았습니다. 이런 교육의 영향을 받아 자신을 당당하게 충분하게 표출하는 방법이 서툴러서, 쑥스러워서 잘못 말한다면 체면이 깎일 것일 것 같아서 조심스럽게 움직일 수 밖에 없었습니다.

 

 

우리 한인들에게는, 체면이 도대체 무엇일까? "가난할수록 기와집 짓는다." "돼지 우리에 (A Pig-Pen) 주석 자물쇠로 (A Tin Padlock) 잠근다." "양반은 얼어 죽어도 짚불은 안쬔다." "냉수를 먹고 갈비 트림을 한다." 속담 속에 체면의 속성을 잘 보여 주고 있습니다. 실질보다는 외양(外樣), 외식(外式)을 중시하는 현대에 살고 있었습니다. 서양문화를 죄의식의 문화(Guilt Culture)라고 정의하면 “예와 아니오”가 분명한 문화이지만, 동양문화를 수치심의 문화(Shame Culture)라고 정의하면 “불분명한 태도를 취하는 경우”가 많은 문화인 것입니다.

 

우리 한인들에게는, 체면, 허위, 가식, 형식을 떨쳐 버릴 수 있는 것일까? "우리 아이는 어려서부터 이웃 아이들과 싸움을 한번 안하고 자란 아이"라고 부모들이 자랑하는 경우를 볼 수 있었습니다. 점잖게 자랐다는 것이고, 그것이 미덕인 때가 있었습니다. 다른 사람에게 점잖게 행하는 것은 나쁜 일이 아니지만, 그런 생각의 기본은 체면에서 시작한 것이었습니다. 우리에게는 체면이 없어서는 안될 생각의 주류이었고, 지금도 체면은 한인들에게 중요한 것이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 한인들은 체면을 떨쳐 버리고 진정으로 서로가 만날 때, 감정이입과 (Empathy) 함께 친구나 이웃이나 손님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는 것입니다. 우리의 진실된 마음이 뚜렷하게 겉으로 묻어 나고 있을 때, 그들의 마음들이 감화되고 (Touched Deeply), 감명을 (Inspired) 받고, 감동으로 (Impressed) 연결된다는 것을 알아야 하는 것입니다.

 

 

수채화아티스트/기도에세이스트/칼럼니스트 제임스로부터.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7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다른 사람보다 먼저 우리가 배푸는 오클랜더가 되겠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5.03.21 399
126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다가오는 30주년 결혼기념일의 다짐을 해봅니다. 3 제임스앤제임스 2012.05.11 7405
125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먹이는 까마귀를 반포조(反哺鳥)라고 부른 이유를 알았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7.04.28 630
124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뉴질랜드의 삶이 살아나고 회복되고 있음을 믿고 살아 갑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3.10.19 1863
123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뉴질랜드에서도 잘 살기 위한 선행조건이 있습니다. 1 1 제임스앤제임스 2012.06.29 4954
122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뉴질랜드에서 우리의 삶을 살아가는 비결을 찾아가야 할 것입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3.10.12 2188
121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뉴질랜드에도 믿음, 소망, 그리고 사랑이 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1.09.17 3179
120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뉴질랜드에 살면서 뉴질랜드를 사랑하기로 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2.10.13 2028
119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뉴질랜드에 사는 우리의 사랑은 일등 이등 삼등이 없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1.11.16 2132
118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뉴질랜드가 좋은 이유가 또 있습니다. 2 제임스앤제임스 2011.11.16 2470
117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뉴질랜드 희망은 이루어 가고 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2.02.01 1998
116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뉴질랜드 한인 청년들이여, 스펙뿐만 아니라 무형자산을 키우도록 해야 합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2.02.09 8787
115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뉴질랜드 보통의 사람들은 골프를 통해서도 인생의 지혜를 터득합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1.10.17 4121
114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노년을 향해 늙어 감에 은혜와 축복의 감사를 드릴 뿐이구나. 제임스앤제임스 2015.01.26 460
113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노년을 아름답게 사는 방법이 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1.09.30 4210
112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내가 살아보니까. 1 제임스앤제임스 2013.05.09 2995
111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남태평양 해변가인 미션베이의 노을 앞에 서면 우리의 삶들은 아름다웠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8.12.06 66
110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나의 사랑하는 한인들이여. (기도에세이) 제임스앤제임스 2011.08.28 2449
109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나는 너에게 영원한 우정을 하나님께 약속한다고 기도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1.12.12 2786
108 제임스앤제임스 제임스의 세상이야기 : 깨끗한 환경에서 행복한 한인들의 부부들로 오래 살고자 하는 아름다운 모습에 감동했습니다. 제임스앤제임스 2019.07.15 24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27 Next
/ 27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