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눔과 베풂 / 정연복

by 나누리 posted Aug 22, 20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정연복/ 한국기독교연구소 편집위원



“밭에서 곡식을 거둘 때에 이삭을 밭에 남긴 채 잊고 왔거든 그 이삭을 집으러 되돌아가지 말라.…
올리브나무 열매를 떨 때, 한 번 지나간 다음 되돌아가서 가지들을 샅샅이 뒤지지 말라.…
포도를 딸 때에도, 한 번 지나간 다음 되돌아가서 다시 뒤지지 말라.
그것은 떠돌이나 고아나 과부에게 돌아갈 몫이다.”(신 24:19~21)

그렇다. ‘과부 사정은 과부가 안다’고, 가난이 뭔지를 몸소 체험하는 민중들이야말로 나눔과 베풂의 소박한 삶의 지혜를 안다. 그들에게 나눔은 고상한 이론이 아니라 고단한 살림살이에도 사람과 사람을 잇는 인정(人情)의 끈이요, 삶의 희망을 지켜 가는 원동력이다. 

자유를 찾아 이집트에서 탈출하여 절박한 생존의 위기 속에 광야를 유랑하던 히브리 민중들에게 요긴한 음식이 되었을 ‘만나와 메추라기’ 이야기를 보도하면서, 성서 기자는

“모세는 그들에게 먹고 남은 것을 그 다음날을 위하여 남겨 두지 말라고 당부하였다.
그런데 모세의 말을 듣지 않은 사람들이 더러 있었다.
이튿날 아침, 그들이 남겨 둔 것에서는 구더기가 끓고 썩는 냄새가 났다.
모세는 그들에게 몹시 화를 냈다”

는 해설을 살짝 덧붙인다(출 16:19~20).

한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죽음의 땅 광야에서 변변치 않은 음식이나마 내일의 양식으로 챙기는 것은 당연지사일 텐데, 신명기 기자는 왜 그런 행동을 신랄하게 비판하는가?

그것은 앞으로 히브리 민중들이 건설해야 할 새 세상에서는 물질의 축적이나 독점은 단호히 거부되고, 공평한 나눔이 새 세상의 일상적 삶의 질서가 되어야 한다는 준엄한 가르침이 아닌가.   

예수는 어린 시절부터 히브리 민중들의 마음을 이야기로 듣고 또 생활 주변에서 목격했을 것이다.

‘일용할 양식’(마 6:11, 눅 11:3)이 절박한 문제로 대두되는 절대빈곤의 갈릴리 사람들이었지만, 그러면서도 밥 한 그릇, 떡 한 조각, 밀가루 부침개 한 장이라도 이웃과 나눠 먹을 줄 아는 그들의 인정 어린 삶의 모습을 보면서, 예수는 나눔이야말로 인간의 삶을 지탱하는 참으로 소중한 인간적 가치임을 가슴 한 구석에 남몰래 새겼을 것이다.


예수가 세리와 죄인들의 친구요, 먹고 마시기를 탐하는 자라는 손가락질을 받으면서도 이 세상의 가난하고 소외된 이들과 거리낌 없이 밥상 공동체를 이룬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마 9:11, 막 2:16, 눅 5:30).

밑바닥 민중의 아들인 예수는 어려서부터 늘 그렇게 살아왔고, 그래서 운동의 길에 들어서서도 자연스레 민중들과 개방적인 식탁 친교를 가질 수 있었다.


그리고 율법과 사회적 차별의식 때문에 죄의식과 열등감과 소외감에 짓눌려 살던 민중들은 예수와의 이런 친밀한 인간적 교제를 통해 ‘아, 나도 하나의 소중한 인격체구나’ 하는 인간으로서의 자존심과 삶의 희망을 회복할 수 있었을 것이다.


우리는 ‘오병이어의 기적’(막 6:35~44) 이야기도 같은 맥락에서 읽을 수 있다.
그것은 적은 음식이 기적적으로 불어난 ‘증식’ 기적이 아니라, 적은 분량의 보잘것없는 음식이나마 많은 사람이 사이좋게 나눠 먹은 나눔의 기적이었을 것이다.


요한복음에서는
“웬 아이가 보리빵 다섯 개와 작은 물고기 두 마리를 가지고 있었다”(요 6:9)
고 말하는데, 아마도 자기 음식을 아낌없이 내놓은 아이의 행동에 자극을 받아 다른 사람들도 부끄러운 나머지 꿍쳐 두었던 음식을 다 내놓아 많은 사람들이 조금씩이라도 골고루 나눠 먹은 나눔의 기적이 일어났던 게 아닐까.

“모두 배불리 먹었다”는 성서의 보도는 새빨간 거짓말이 아니다.  왜?
예수를 좇아 다니느라 저녁 이미 늦은 시각까지(막 6:35) 쫄쫄 굶었을 많은 사람들의 배를 채우기에는 음식이 턱없이 부족했지만, 그 대신 그들은 나눔의 기적을 통해 음식보다 더 귀한 사랑으로 배불렀을 테니까.


예수운동은 독점이 일상화된 현실에 대한 비판적 대안으로 나눔을 조직적으로 실천하는 운동이다.

따라서 예수운동의 주체는 모름지기 나눔의 소중한 인간적 가치를 몸으로 느끼는 풀뿌리 민중들일 수밖에 없으니,
“가난한 사람들아, 너희는 행복하다. 하느님 나라가 너희의 것이다”(묵 6:20)
라는 예수의 말씀의 행간에 담긴 뜻이 바로 그것이리라.


Articles

6 7 8 9 10 11 12 13 1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