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올해 아파트를 비롯한 전국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작년보다 3.65% 올랐다.

서울 아파트 공시가격은 7.86% 올랐지만 세종은 3.28%, 대구는 2.90% 내렸다.

 

서울과 지방 사이 아파트값 양극화가 공시가격으로 여실히 나타난 것이다.

 

반포, 압구정 등 아파트값이 급등한 강남권에선 올해 보유세 부담이 20∼30%가량 큰 폭으로 오르는 곳이 많을 것으로 보인다.

올해 1가구 1주택 종합부동산세 대상이 되는 공시가격 12억원 초과 주택 수는 31만8천308가구(2.04%)로, 지난해 26만6천780가구(1.75%)에서 5만1천528가구 늘었다.

국토교통부는 올해 1월 1일 기준으로 조사·산정한 전국 공동주택(아파트·다세대·연립주택) 1천558만가구의 공시가격을 공개하고 다음 달 2일까지 소유자 의견을 받는다고 13일 밝혔다.

정부는 2023년 공시가격부터 3년 연속 시세 대비 공시가격 비율(현실화율)을 69.0%로 적용해 공시가를 산출했다. 이에 따라 시세 변동 폭만 공시가격에 반영됐다.

현실화율 69.0%는 공시가격의 시세 반영률을 단계적으로 90%까지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문재인 정부가 도입한 '공시가격 현실화 로드맵' 도입 전인 2020년 수준이다. 정부는 로드맵 폐기를 추진하고 있지만 이를 위한 법안이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다.

올해 전국 공동주택의 평균 공시가격은 3.65% 상승하며 지난해(1.52%)에 이어 2년 연속 높아졌다.

2005년 공동주택 공시제도를 도입한 이래 지난해까지 연평균 상승률인 4.4%보다는 낮은 수치다.

 

공시가격의 시도별 편차는 작년보다 더 뚜렷해졌다.

17개 광역시·도 중 7곳의 평균 공시가격이 올랐지만 10곳은 떨어졌다.

전국에서 가장 공시가격이 많이 오른 곳은 서울로 7.86% 상승했다.

서울과 함께 경기(3.16%), 인천(2.51%) 등 수도권의 상승이 두드러졌다.

전북(2.24%), 울산(1.07%) 공시가격도 올랐고 충북(0.18%), 충남(0.01%)은 현상 유지 수준이었다.

지난해 전국에서 공시가격이 가장 많이 상승(6.44%)했던 세종은 올해는 가장 많이 떨어지며 롤러코스터를 탔다. 작년보다 3.28% 내렸다.

세종에 이어 대구(-2.90%), 광주(-2.06%), 부산(-1.66%), 경북(-1.40%), 대전(-1.30%)의 공시가격 하락 폭이 컸다.

대구, 부산, 광주, 전남, 경북, 경남, 제주 7곳은 3년 연속 공시가격이 내려갔다. 집값이 계속 내리고 있다는 뜻이다.

 

 

 

서울 내에서도 구별로 공시가격 변동에 편차가 나타났다.

강남 3구 공시가격은 서초 11.63%, 강남 11.19%, 송파 10.04% 등 일제히 10% 이상 뛰었다.

'마용성'으로 묶이는 성동(10.72%), 용산(10.51%), 마포(9.34%)의 상승 폭도 컸다.

광진(8.38%), 강동(7.69%), 양천(7.37%)이 뒤를 이었다.

그러나 도봉(1.56%)과 강북(1.75%), 구로(1.85%)는 1%대 상승 폭을 보였다.

 

공시가격은 정부가 조사·평가해 공시하는 부동산 가격으로, 종합부동산세·재산세 등 각종 세금 부과는 물론 건강보험료 사정, 기초연금·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선정 등 67개 행정 제도의 기준으로 사용된다.

이에 따라 공시가격이 평균 10% 이상 뛴 서울 강남권 아파트 소유자의 올해 보유세 부담은 단지에 따라 많게는 30%대까지 늘어날 수 있다.

종부세 부과 기준이 되는 공시가 12억원(1가구1주택자 기준) 초과 아파트의 88.2%(28만667가구)가 서울에 몰렸다. 부과 주택 10가구 중 1가구가 서울에 있는 것이다.

작년엔 공시가격이 12억원 밑이라 종부세를 내지 않았던 마포래미안푸르지오 국민평형(전용면적 84㎡)도 올해 공시가격이 14.9% 오른 13억1천600만원이 되면서 종부세 27만원을 내게 됐다.

올해 공동주택 공시가는 다음 달 30일 결정·공시된다. 결정·공시 이후 5월 29일까지 한 달간 이의 신청을 받고, 재조사 및 검토과정을 거쳐 6월 26일 조정·공시하게 된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82 무드등 태양 2025.03.20 12
1081 한국 의료서비스 전문 기업 에스제이바이브 입니다. ( 협력사 모집 ) sjvibe 2025.03.20 10
1080 와이파이 태양 2025.03.19 10
1079 "착공 면적 줄었는데 금리는 인하"…상업용 부동산 회복 기대감↑ test 2025.03.19 10
1078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개발 본격화… 부동산 시장도 기대 test 2025.03.19 10
1077 구글 태양 2025.03.18 11
1076 명언 나라 2025.03.18 11
1075 동문건설, 삼성효과 기대감 ‘평택 화양 동문 디 이스트’ 공급 이명숙 2025.03.17 13
1074 대단지 매력 '용인 푸르지오 원클러스터 2·3단지 test 2025.03.17 11
1073 분상제 적용 ‘평택 브레인시티 수자인’ 잡아야 하는 이유 test 2025.03.17 11
1072 '구미하이테크밸리 대광로제비앙 메가시티' 7월 오픈예정 용시후 2025.03.17 13
1071 시계 태양 2025.03.17 12
1070 초기 자금 부담 적은 동문건설 ‘평택 화양 동문 디 이스트’ 눈길 하앙 2025.03.16 12
1069 대우건설, 평택 브레인시티 푸르지오 12월 분양 장놘 2025.03.16 11
1068 대단지 매력 '용인 푸르지오 원클러스터 2·3단지'…반도체 클러스터 수혜 단지 김형배 2025.03.16 12
1067 대우건설, 전체 2043가구… 대규모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직접 수혜 송영준 2025.03.16 11
1066 평택 아주대병원 수혜 대단지 브레인시티 푸르지오 ‘미분양이슈 제외단지’ 김형배 2025.03.16 13
1065 동문건설 ‘평택 화양 동문 디 이스트’ 입주시까지 부담 없는 계약조건 관심 후니 2025.03.16 12
» 올해 서울 아파트 공시가 7.86%↑…강남 일부 보유세 30%대 뛸 듯 주영환 2025.03.14 12
1063 운전도 힘들게 만드는 백내장...위험 낮추는 식품 4 gsl 2025.03.14 13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57 Next
/ 57
CLOSE